명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 [[불상응행법]] 또는 [[심불상응행법]] 중 [[언어]]와 관련된 3가지 [[법 (불교)|법]]인 '''명신'''(名身: 낱말, 특히 명사){{.cw}}[[구신 (심불상응행법)|구신]](句身: 문장){{.cw}}[[문신 (심불상응행법)|문신]](文身: 글자 또는 음소) 가운데 하나이다.
 
명신(名身)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명(名)의 집합[身]'이다. 명신에서 '''명'''(名, {{llang|sa|[[:en:nāma|<span style="color: black">nāma</span>]]}})은 [[명색]](名色)의 경우에서처럼 정신적 존재 또는 현상 일반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에서의 '''명사'''(名詞), 또는 '''명사적 개념''' 또는 '''개념단어''' 뜻하며, [[신 (3업)|신]](身, {{llang|sa|[[:en:kāya|<span style="color: black">kāya</span>]]}})은 일반적인 뜻인 [[몸 (불교)|몸]](신체)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집합]] 또는 [[복수]]를 뜻하는 복수형 접미사 '~들'로 사용된 경우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578&DTITLE=%A6W 名]".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名: 梵語 nāman。音譯那摩。為心不相應行法之一。俱舍七十五法之一,唯識百法之一。通常指名稱而言,然在佛學上之解釋,則為隨音聲呼召物體,使人聞其名而心中浮現物體之相,能令人生起覺慧之義。據俱舍論卷五載,名,作想之義;如說色、聲、香、味等想。此係將「名」與主觀印象聯繫起來而論,故又稱名想;又因「名」與事物之相狀一致,故亦稱名相;若就「名」含有確定之內容而言,則稱為名義。另據俱舍論光記卷五舉出,「名」有隨、歸、赴、召等諸義,意即「名」能隨音聲,歸赴於境,呼召色等事物。同書並舉出,「名」能詮顯「義」,而使人生覺慧。<br>
 關於名之種類,據俱舍論光記卷五舉出名、名身、多名身三種,例如,色字或香字等單一字,稱為名;色香二字合併之複字,稱為名身;而三字以上之色香味,或色香味觸等,則稱為多名身。此係就「一字生」而論,若為「二字生」時,則二字稱名,四字稱名身,六字以上稱多名身;若為「多字生」時,則準此類推。<br>
 另就「名」、「句」、「文」三者之關係而論:文(梵 vyañjana,音譯便膳那),即指字,如阿、伊等字。文為名、句之所依,其自體無義。名,即由文之連續使用始構成事物之名稱,依此方能表示出事物個別之意義。句(梵 pada,音譯鉢陀),即連結名成為一個完整意義之章句,如「花是紅色的」一句。此三者皆為心不相應行法之一。文、句之種類與名相同,若為兩兩並列者,稱為文身、句身;三個以上並列者,稱為多文身、多句身。<br>
22번째 줄:
 (一)梵語 kāya。音譯迦耶。屬六根之第五,即身根。指觸覺器官之皮膚及其機能。然有部主張,身根乃眼所不能見之精妙物質(淨色),亦即指勝義根而言。然通常所說身與心並稱為身心,身與語(或口)、意並稱身語意(或身口意)之「身」則係指身體、肉體而言。<br>
 (二)集合之意。即附加於語尾,表示複數之語,如六識身。<br>
 (三)梵語 śarīra。身骨、遺骨之意。(參閱「舍利」3495)"}}{{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5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29a09 T29n1558_p0029a09 - T29n1558_p0029a15].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quote=<br>"名身等類其義云何。頌曰。<br>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들에 따르면, '''명'''(名)은 정신적 혹은 물질적 현상{{.cw}}사물 또는 존재 즉 [[법 (불교)|법]](法)의 [[자성 (불교)|자성]](自性: 본질)을 가리키고 설명하는 언어적 개념 또는 명칭을 뜻하는데, 특히 [[명사]] 또는 명사적 [[개념]]을 의미한다. 쉽게 말하자면 [[문장 (언어학)|문장]]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낱말]]들을 뜻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개념]]이 담겨있는 [[낱말]]들인 [[명사]]들을 뜻한다. 이러한 명사, 명사적 개념, 또는 개념을 전통적인 술어로는 '''[[상 (불교)|상]]'''(想, {{llang|sa|[[:en:saṃjñā|<span style="color: black">saṃjñā</span>]]}}: 개념){{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5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29a09 T29n1558_p0029a09 - T29n1558_p0029a15].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quote=<br>"名身等類其義云何。頌曰。<br>
  名身等所謂  想章字總說
<br>論曰。等者等取句身文身。應知此中。名謂作想。如說色聲香味等想。句者謂章。詮義究竟。如說諸行無常等章。或能辯了業用德時相應差別。此章稱句。文者謂字。如說[褒-保+可]阿壹伊等字。"}}{{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5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257 257 / 1397].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quote=<br>"[불상응행법 총론에서 언급한] 명신(名身) 등의 종류는 그 뜻이 어떠한가?
줄 34 ⟶ 32:
마땅히 알아야 한다. 여기서 명(名)이란 이를테면 색·성·향·미 등의 상(想)을 설하는 것과 같은 작상(作想)을 말하며,<sup style="color: blue">135)</sup> 구(句)란 뜻을 드러내는 구경(究竟)인 문장[章]을 말하는 것으로, 이를테면 '제행은 무상하다'는 따위의 문장을 설하는 것과 같다. 혹은 [이것에 의해] 동작[業用] 성질[德] 시제[時]의 상응과 차별을 능히 이해하게 되니, 이러한 문장을 '구'라고 칭한 것이다. 그리고 문(文)이란 문자[字] 즉 음소를 말하니, 이를테면 아(, ā)·아(阿, a)·일(壹, i)·이(伊, ī) 등의 문자를 설하는 것과 같다.
<br><sup style="color: blue">134)</sup> 본 게송에서는 말의 의미를 드러나게 하는 힘으로서의 불상응행을 밝히고 있는데, 여기에는 명신(名 身)·구신(句身)·문신(文身) 세 가지가 있다. '명(nāma)'이란 물질·소리·향기 등과 같은 명사적 개념적 단어[想, saṃjñā]를, '구(pada)'란 '제행은 무상하다'와 같은 문장[章, vākya]을, '문(vyañjana)'이란 a·i·ka·kha와 같은 문자[字, aksara] 즉 음소를 말하며, 이러한 세 가지 존재의 집합[總說, samukta]을 명신 등이라고 한다. 즉 유부에서는 이러한 존재가 개별적으로 실재함으로 해서 세계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다고 하였는데, 경부에서는 예외 없이 이를 가설로서만 인정하고 있다.
<br><sup style="color: blue">135)</sup> 작상의 '상(saṃjñā)'은 10대지법의 하나. 이를테면 책상이라는 명칭은 그것을 듣는 이로 하여금 그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힘을 갖는데, 이같이 상(想)을 떠올리게 하는 명사적 단어를 '명(名)'이라 하는 것이다."}}{{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4권. p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412c27 T29n1562_p0412c27 - T29n1562_p0413a13].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quote=<br>"名身等類。其義云何。頌曰。<br>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들에 따르면, '''명'''(名)은 정신적 혹은 물질적 현상{{.cw}}사물 또는 존재 즉 [[법 (불교)|법]](法)의 [[자성 (불교)|자성]](自性: 본질)을 가리키고 설명하는 언어적 개념 또는 명칭을 뜻하는데, 특히 [[명사]] 또는 명사적 [[개념]]을 의미한다. 쉽게 말하자면 [[문장 (언어학)|문장]]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낱말]]들을 뜻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개념]]이 담겨있는 [[낱말]]들인 [[명사]]들을 뜻한다. 이러한 명사, 명사적 개념, 또는 개념을 전통적인 술어로는 '''[[상 (불교)|상]]'''(想, {{llang|sa|[[:en:saṃjñā|<span style="color: black">saṃjñā</span>]]}}: 개념){{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5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29a09 T29n1558_p0029a09 - T29n1558_p0029a15].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5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257 257 / 1397].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4권. p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412c27 T29n1562_p0412c27 - T29n1562_p0413a13].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quote=<br>"名身等類其義云何。頌曰。<br>
  名身等所謂  想章字總說<br>
論曰。等者等取句身文身名句文身。本論說故。諸想總說。即是名身。諸章總說。即是句身。諸字總說。即是文身。言總說者。是合集義。於合集義中。說嗢遮界故。想謂於法分別取著。共所安立。字所發想。即是眼耳瓶衣車等。如是想身。即是名身。謂眼耳等。章謂章辯。世論者釋。是辯無盡。帶差別章。能究竟辯所欲說義。即是福招樂異熟等。如是章身。即是句身。謂如有說。<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