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야사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1978년]] 국사교과서의 한국 고대사를 둘러싼 [[역사교과서 파동 (대한민국)#고대사 논란|논쟁]]에 대한 보도에서 ‘이른바’ 또는 ‘세칭(世稱)’과 함께 ‘재야사학’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데, 대학에 소속되지 않았거나 학회에 가입하지 않은 학자들을 ‘재야(在野)’라 불렀다고 설명하였다.<ref>이것이 韓國古代史다 (1) 說話와 正史 혼동말아야, 《경향신문》, 1978.11.7.</ref><ref>民族史의 在照明, 《경향신문》, 1979.1.9.</ref> 이후로 사학계의 일반적인 [[역사]]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달리하여 학계에서 위서로 인식하거나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사실을 중심으로 신빙성이 낮다고 보는 사서들을 연구하며 고대 [[한국]]([[동이]])의 영토나 [[역사]]를 연구하는 이들을 '재야사학가' 또는 ‘재야연구가’, 이들의 역사 연구를 ‘재야사학’이라 부르고 있다.
 
== 연구의주요 주제와연구 내용과 방법 ==
재야사학자들의 연구는 주로 [[삼국시대]] 이전의 고대사에 집중되어 있다. [[역사학]]을 직접 전공한 경우가 [[강단사학]]에 비해 많지 않고 기존의 [[역사학]]의 방법과 성과를 무시하거나 이와는 부합하지 않는 방법으로 연구하여 사학계의 주장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9270085 “단군조선, 동북아문명의 공동발원지”], 동아일보, 2007년 9월 27일자;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6150051 초대석 - ‘다시 보는 한국역사’ 연재 마친 신용하 석좌교수], 동아일보, 2007년 6월 15일자</ref><ref>[http://www.kukinews.com/special/article/opinion_view.asp?page=1&gCode=opi&arcid=0920485218&cp=nv 한마당―김상온 春秋筆法], 국민일보, 2007년 3월 21일자</ref><ref>[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0250848&section_id=106&menu_id=106 102세 최태영 박사, 한국고대사 책 내], 연합뉴스, 2007년 10월 7일자</ref><ref>이덕일, 《살아있는 한국사》, 2003년.</ref> 이들은 기존의 학계가 [[일제 강점기]] [[일본]]에 의해 왜곡된 역사를 고집하고 있다고 여기며, 근대 이후에 등장한 《[[환단고기]]》류의 사료를 주로 참조하고 사서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내린다. [[대종교]]나 [[단군교]] 등의 관점을 중심으로 고대사를 정리하여, 연구자들마다 제각각 [[한민족]]이 [[단군조선]] 이전에 대제국을 이루었다고 주장하거나 [[대륙사관]]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한국]]의 옛 나라들이 지금의 [[중국]]에 위치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9번째 줄:
재야사학에서는 기존의 역사학자를 강단사학자(講壇史學者)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들이 대개 [[역사학]]을 전공하여 [[학위]]를 취득하고 학계를 중심으로 [[대학]] 등에서 강의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재야사학자들은 주류 강단사학자들을 일제 [[식민사학]]의 후예라 비판해왔고, 강단사학자들은 재야사학자들을 실증은 없고 주장만 난무하는 비전문가들이라 비판해왔다. 현재는 사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까지 받은 재야사학자도 배출되고 있다.
 
== 비판비판과 평가 ==
재야사학자들은 강단사학을 [[일제 강점기]]의 이론이나 [[식민사학]]의 영향을 받아 《[[환단고기]]》를 위서(僞書)라 주장하며 [[단군]]을 [[신화]]로 매도하고 [[동이]], [[배달겨레]], [[한민족]]의 [[역사]]를 축소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강단사학자들은 재야사학이 《[[규원사화]]》나 [[20세기]]에 쓰여진 위서(僞書) 《[[환단고기]]》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성과를 무시하고, 지명의 유사성과 같은 단편적인 일치를 확대 해석하고 논리를 비약하여 [[한민족]]의 [[중국]] 대륙 지배의 증거라고 내민다고 비난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4016938|제목=“동해가 아니라 한국해, 동해 대응전략 바꿔야” 재미사학자 폴김박사|언어=한국어|이름=유세진 기자|작성일자=2011-08-11|출판사=뉴시스|확인일자=2012-01-03}}</ref><ref>최진섭, 《희망에 반하여 희망하라》, 1999년; 임지현, 《이념의 속살(억압과 해방의 경계에서)》, 2001년, 220쪽.</ref> 일각에서는 ‘재야사학’과 ‘강단사학’의 호칭을 아예 인정하지 않거나 반감이나 비판의 의미를 담기도 한다.<ref>[http://news.donga.com/3//20070615/8454473/1 ‘다시 보는 한국역사’ 연재 마친 신용하 석좌교수], 《동아일보》, 2009-09-27</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