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1번째 줄:
 
* '''[[사 (선심소)|사]]'''(捨)는 [[내려놓음 (불교)|내려놓음]]{{.cw}}[[버림]]{{.cw}}[[고요]]{{.cw}}[[적정]]{{.cw}}[[평정]]{{.cw}}[[평정심]]{{.cw}}[[평온]]{{.cw}}[[균형]]{{.cw}}[[평형]]의 [[선 (3성)|선]]한 [[마음작용]][心所法]을 말한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2_p0481c19 T31n1602_p0481c19 - T31n1602_p0481c23]. 사(捨)|quote=<br>"捨者。謂總攝無貪無瞋無癡精進為體。依此捨故得心平等得心正直心無發動斷發動障為業。如前乃至增長捨為業。由不放逸除遣染法。由彼捨故於已除遣不染污住。如經說為除貪憂心依止捨。"}}{{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K.571, T.160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1&startNum=19 19 / 293]. 사(捨)|quote=<br>"사(捨)<sup style="color: blue">101)</sup> 심소는 무탐{{.cw}}무진{{.cw}}무치{{.cw}}정진을 모두 포섭함을 체성으로 삼는다. 이것에 의지해서 놓아버리기 때문에 마음의 평정을 얻고, 마음의 정직을 얻으며, 마음이 동요하지 않고, 동요의 장애를 끊음을 업으로 삼으며,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 사(捨)를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불방일로 말미암아 염오법(染汚法)을 없애고, 그 사(捨)로 인하여 이미 없애버린 불염오법에 머문다. 경전에서 “탐욕과 근심의 마음을 없애기 위해서 사(捨)에 의지한다”고 말한 바와 같다.
<br><sup style="color: blue">101)</sup> 사(捨, upekṣā) 심소는 ‘평정’ 즉 혼침이나 들뜸[掉擧]이 아닌 마음의 평정상태를 이루게 하는 심리작용이다. 행사(行捨)라고도 부른다."}} [[사 (선심소)|사]](捨)는 [[4무량심]](四無量心) 가운데 [[사무량심]](捨無量心)에 해당한다.
 
* '''[[사 (부정심소)|사]]'''(伺)는 [[제6의식]]이 [[대상 (불교)|대상]]의 [[세상 (불교)|세상]](細相) 즉 자세한 모습을 분별할 때의 [[마음작용]][心所法]을 말한다.{{sfn|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T.1613|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3_p0854a22 T31n1613_p0854a22 - T31n1613_p0854a24]. 사(伺)|quote=<br>"云何伺。謂思慧差別。意言伺察。令心細相分別為性。細相者。謂於瓶衣等。分別細相成不成等差別之義。"}}{{sfn|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K.619, T.1613|loc=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2&startNum=17 17 / 24]. 사(伺)|quote=<br>"무엇을 사(伺)라고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