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웅우 왕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YFdyh-bot (토론 | 기여)
잔글 r2.7.3) (로봇이 더함: ar:أسرة تونغو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인터위키 링크 16 개가 위키데이터Q519718 항목으로 옮겨짐. 이동 완료.; 예쁘게 바꿈
1번째 줄:
'''따웅우 왕조'''([[1531년]]~[[1752년]])는 [[버마]]의 [[왕조]]이다. [[버간 왕조]]가 멸망한 다음 버마 지역에는 [[샨족]]의 [[아바 (미얀마)|잉와]], [[버마족]]의 따웅우, [[몬족]]의 [[바고 (미얀마)|버고]](홍사워디) 등 3왕조가 병립했는데 따웅우 왕조가 강력해져서 버마를 재통일했다. [[16세기]] 후반 [[바인나웅]] 왕 때 현재의 미얀마 이외에 [[타이]], [[라오스]] 지역까지 진출해 [[란나]]를 복속시키고 일시적으로 [[란쌍 왕국]], [[아유타야 왕국]]까지 점령했으나, 후대 왕들의 [[타이]]를 겨냥한 확대 정책이 버마, 타이 양국의 국력을 피폐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수도]]는 해안 지역의 고도(古都) [[바고 (미얀마)|버고]]에 두었으며, [[포르투갈]]이나 [[에스파냐]]의 상인이 내왕하였다. 후에 수도는 잉와로 옮겨졌고 해안 지역 몬족의 반란으로 멸망했다.
 
== 시초 ==
1280년 두 명의 버마족 형제가 [[따웅우 산맥]] 사이에 방벽을 치고 마을을 만든 것이 따웅우 왕국의 수도 [[타웅우|따웅우]]의 시초이다. 당시 따웅우 산맥은 [[버간 왕조]]의 영향권 안에 있었는데, 버간의 왕권을 인정하지 않는 많은 버마족들이 이주하여 대도시 따웅우를 형성하였다. 이곳은 험준한 [[버고 산맥]]의 한가운데에 있어 동북부의 샨족과 중앙 평원지로부터의 공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혜의 요지였다. 그러나 [[잉와 왕국]]의 통일 정책에 휩쓸려 따웅우는 결국 얼마간 잉와의 지배 아래 놓였다가 16세기 들어 잉와가 약해지자 독립하게 되었다.
 
== 기틀을 다진 군주 민찌뇨 ==
{{본문|민찌뇨}}
 
16세기 초 따웅우의 지도자 '''민찌뇨'''는 용맹한 무사로, 쇠락한 잉와의 왕 [[슈웨난쪼신]]과 협상하여 그의 딸을 아내로 맞고 중부 버마 관계수의 공급지 [[짜욱세]]를 얻어 왕국의 기틀을 다졌다. 민찌뇨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주변의 잉와 왕국 관할지인 [[야메띤]], [[따웅뇨]], [[뺘가웅]], [[슈웨묘]], [[낀따]] 등을 손에 넣음으로써 버마 통일의 기틀을 다졌다. 또한 그는 도성인 따웅우 성 안에 거대한 인공 호수를 조성하여 식수 문제를 해결하고, 농토와 과수원 개간 사업에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 이에 버고와 란나 왕국은 민찌뇨를 한 왕국의 지배자로서 인정하게 되었다.
 
== 떠빈슈웨티와 버마의 통일 ==
{{본문|떠빈슈웨티}}
 
== 바인나웅과 팽창 정책 ==
{{본문|바인나웅}}
 
== 난다버인과 아유타야 전쟁 ==
{{본문|난다버인}}
 
24번째 줄:
한 번도 이기지 못하면서 연이은 전쟁만을 계속하는 난다버인에 대한 불만은 이제 임계점에 달하여, 삐의 영주였던 난다버인의 아들이 삐 지역의 독립을 선포하고 이어 따웅우, 치앙마이, 잉와의 영주도 독립을 선포하였다. 또 이를 틈타 아유타야의 나레수안은 치앙마이를 복속시켰다. 이런 상황에서 왕위 찬탈을 노리는 따웅우의 영주는 라카인을 끌어들여 수도 버고를 점령하고 난다버인을 생포하였으며, 따웅우 영주군이 돌아간 후 라카인군은 버고를 약탈했다. 이들이 돌아간 후 아유타야의 나레수안이 버고에 공격해 들어왔으나 폐허가 된 버고에서 아무것도 얻지 못하여 붙잡힌 난다버인의 항복을 받기 위해 다시 따웅우-라카인군을 공격하였지만 승리하지 못했다.
 
== 냐웅얀의 즉위와 냐웅얀 왕조 ==
{{본문|냐웅얀 왕}}
 
아유타야 전쟁의 영향으로 국력을 엄청나게 소진한 버마 지역에서는 여러 군벌들이 난립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 [[포르투갈]]인 [[드 브리투]](De Brito, 버마식으로 응아진까)가 하부 버마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고, 삐, 따웅우, 잉와 등이 각각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하여 버고 중심의 정통 정권에 맞섰다. 난다버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난다버인의 동생 '''냐웅얀'''(재위 1599~1605)은 [[냐웅얀]] 지역을 중심으로 영향력을 확장하여 잉와를 접수하였고, 이후 버고와 삐의 잔존세력을 흡수하여 잉와에서 대관식을 올렸다. 그러고 나서 냐웅얀은 다시 버마의 통일을 위해 정복전쟁을 벌였으나 병에 걸려 얼마 못 가 숨졌다. 이후의 이 냐웅얀의 혈통을 중심으로 하는 따웅우 왕조를 '''냐웅얀 왕조'''라고도 하는데, 이제부터는 따웅우 지역이 독립적인 역할을 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또 폐허가 된 버고 역시 정치적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에 왕국의 정치적 중심은 잉와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 아나욱펫룬과 포르투갈인의 정치적 소멸 ==
{{본문|아나욱펫룬}}
 
냐웅얀의 아들 '''아나욱펫룬'''(재위 1605~1628)은 다시 통일 전쟁을 벌여 1610년까지 삐와 따웅우를 재편입하고 드 브리투의 세력을 공격하여 평정하였다. 나아가 포르투갈계 잔여 세력을 라카인의 왕이 섬멸하여, 버마에 세력권을 구축하려던 포르투갈의 시도는 완전히 좌절되었다. 이후 아나욱펫룬은 치앙마이를 재복속하여 조금 더 세력을 확장하고, 버고에 왕성을 다시 지어 버고를 부흥시키려 노력하였으나, 아들 민예데익바와의 치정 사건에 휘말려 살해되었다.
 
== 따룬의 안정기 ==
{{본문|따룬}}
 
41번째 줄:
이러한 바탕 위에서 따룬은 내치에 주력하여, 짜욱세의 관개시설을 개수하여 농토를 넓히고 전국적인 [[인구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세법]]을 명확히 하고 지역의 단위 인구 수와 농토의 크기에 따른 세금 징수 체계를 확립하였다. 또한 [[관습법]]을 손질하여 정리하고 새로운 법전을 편찬하였는데, 이 법전은 이전처럼 [[팔리어]]로만 작성하지 않고 일반 민중도 읽을 수 있도록 [[버마어]]로 작성한 것이었다. 따룬은 신실한 불교 신자로서 불교 건축물 조성에도 힘썼으며, 불교의 정화를 위해 노력하여 승려들이 계율을 보다 엄격히 지키도록 하였다.
 
== 쇠퇴기 ==
따룬 이후 따웅우 왕조의 버마는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따룬 시기에 내치는 안정되었으나 거꾸로 긴 평화 때문에 신경쓰지 않은 군사력이 약해졌고, 그의 뒤를 이은 [[삔들레]](재위 1648~1661)의 시기에는 [[남명]]의 마지막 황제를 구심점으로 하는 패잔병으로 구성된 유입 세력이 북동부에서 마음껏 약탈을 벌이며 활개를 치는 것조차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였다. 이들은 다음 왕인 [[삐 (왕)|삐]](재위 1661~1672) 왕 시기에 [[청]]으로 인도되었으나, 왕의 권위는 이미 상당히 약화되어 있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민예쪼틴]](재위 1673~1698) 왕은 아유타야 정벌을 시도해 보지만 무참히 실패하여 왕권은 더욱 약화되어 버렸다. 유럽의 [[영국]]과 네덜란드, [[프랑스]] 세력에 대해서도 외교적 주도권을 잡지 못하고 끌려다니기만 하는 상황이 지속되었다.
 
나중에는 란나 왕국도 독립을 선언하고, 바인나웅 시대에 복속시켰던 인도 동부의 [[마니푸르]]와의 전투에서도 패배하여 국왕 [[뜨닌가누웨]](재위 1714~1733)가 전사하는 등 주변 세력의 지속적인 영토 잠식이 이어졌다. 그러다가 결국 따웅우 왕조는 몬족과 프랑스 연합군에 의해 왕궁이 점령당하고 왕이 포로로 잡히는 수모를 겪으며 멸망하기에 이르렀다.
 
== 같이 보기 ==
* [[바고 (미얀마)|버고]]
* [[라카인 왕국]]
* [[잉와 왕국]]
* [[아유타야 왕국]]
* [[란나 왕국]]
* [[란쌍 왕국]]
* [[나레수안 대왕]]
 
== 참고 문헌 ==
* 김성원, 《미얀마 왕조사》,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1, 157-197쪽.
 
{{글로벌}}
62번째 줄:
[[분류:아시아의 옛 나라]]
[[분류:미얀마의 역사]]
 
[[ar:أسرة تونغو]]
[[ca:Regne de Taungoo]]
[[de:Königreich Taungoo]]
[[en:Taungoo Dynasty]]
[[es:Dinastía Toungoo]]
[[fr:Dynastie Taungû]]
[[id:Dinasti Toungoo]]
[[it:Dinastia di Toungoo]]
[[ja:タウングー王朝]]
[[ml:ടോങ്കു രാജവംശം]]
[[my:တောင်ငူခေတ်]]
[[no:Taungoo-dynastiet]]
[[pt:Dinastia Taungû]]
[[th:ราชวงศ์ตองอู]]
[[vi:Triều Taungoo]]
[[zh:東吁王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