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인터위키 링크 28 개가 위키데이터Q161936 항목으로 옮겨짐. 이동 완료.; 예쁘게 바꿈
8번째 줄:
대부분의 문명권에서 사신은 남성적인 모습으로 묘사되나, 슬라브 문명권과 같이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 인도 및 유럽 신화 ==
=== 헬레니즘 문명권 ===
[[파일:Column temple Artemis Ephesos BM Sc1206 n3.jpg|thumb|right|200px|날개 달린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묘사된 타나토스. 아르테미스 신전 벽화.]]
[[고대 그리스]]에서는 사신을 불가항력의 존재로 여겼는데, 때문에 사신이란 존재를 순수한 악의 존재로 여기지는 않았다. 사신은 주로 날개와 수염을 가진 남성으로 묘사되었으나, 한편으로는 어린 소년의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이는 [[타나토스]]란 명칭으로 불렸고, 삶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작용하여, 죽음은 곧 남성, 삶은 여성으로 대표되었다. 사신으로서의 타나토스는 잠의 신 [[힙노스]]의 쌍둥이 형제로, 주로 그와 함께 등장하며 선하고 온화한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타나토스는 죽은 자를 [[하데스]]의 왕국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며, [[스틱스 강]]의 [[카론]]에게 죽은 자를 넘김으로써 그 역할을 끝마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카론은 현대에는 서양권에서 주로 표현되는 검은 망토에 낫을 든 해골의 이미지로 묘사되기도 하며, 죽은 자를 스틱스 강 너머로 데려다 주기 전 뱃삯을 받지 못하면 그를 하데스의 왕국으로 인도하는 것을 거부하게 되며, 이렇게 남겨진 죽은 자는 100년 간을 스틱스 강가에서 떠돌아야 한다고 하여 그리스에서는 죽은 사람의 입 안에 동전을 넣는 관습이 생기기도 하였다. 또, 타나토스에게는 [[케레스]]라는 여동생들이 있는데, 이들은 사람들의 전쟁, 질병, 암살 등으로 인한 요절과 관련이 있으며 죽은 자의 영혼이 하데스의 왕국으로 간 후 그 육신으로부터 흡혈을 하여 배를 채운다고 하여 타나토스와 달리 악한 존재로 묘사된다. 이들은 송곳니와 발톱, 핏빛 의복을 입고 있다.
 
=== 켈트족 신화 ===
[[웨일즈]]인들에게 사신은 앙규(Angeu, 영국식으로는 Ankou)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 존재는 검은 후드와 대낫을 든 남성, 혹은 해골로 묘사되며, 수레를 타고 돌아다니며 죽은 자의 영혼을 모은다고 한다.
 
=== 폴란드 ===
[[폴란드]]에서의 사신은 흔히 알려진 사신의 모습과 대체로 일치하나, 검은 망토가 아닌 흰 망토를 입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 발트 해 신화 ===
[[리투아니아]]인들은 사신을 글리튼(Giltinė)이라 부른다. 글리튼은 길고 푸른 코와 치명적인 독성을 띠는 혀를 가진 못생긴 노파로 묘사된다. 전설에 따르면 글리튼은 원래 젊고 아름다우며, 수다스러운 처녀였으나 7년 간 관 속에 갇히게 된 후 이러한 모습을 띠게 되었다고 한다. 이 죽음의 여신은 삶과 운명의 여신인 [[라이마]]와 자매이며, 이 둘의 관계는 시작의 끝의 관계를 상징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리투아니아인들은 흔히 알려진 낫과 망토를 걸친 사신의 이미지를 이후 대신 받아들이게 되었다.
 
=== 힌두교 ===
[[힌두교]] 경전에서는 [[염라대왕|야마]]라는 죽음의 군주가 존재한다. 야마는 검은 [[물소]]를 타고 밧줄로 된 올가미를 들고 다니며 죽은 자를 [[야말록]]이라는 죽은 자의 공간으로 돌려보낸다고 한다. 또한 [[야마두트]]라 불리는 여러 명의 사신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역시 죽은 자들을 야말록으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며 그 중 한 명은 자신을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위장하고 다닌다고 한다. 이 때 각 사람들의 업보는 [[치타굽타]]라는 신에 의해 낱낱이 기록되었다가, 후에 야마가 그 영혼을 내세에 어떤 곳에서 살게 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한다고 하는데, 이는 힌두교의 [[윤회]] 교리를 대변하는 것이다. 야마는 또한 마하바라타에서 뛰어난 철학자이며 최상층 브라만에게 매우 헌신적이라고 한다.
 
야마는 [[달마라지]], 혹은 달마, 정의의 왕으로도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정의는 모든 산 자와 죽은 자에게 그들이 업보나 운명에 따라 공정하게 행해진다고 하며, 이 교리는 [[판다바]] 중 맏이이며 정의의 화신으로 불리는 [[유디슈티라]]가 [[쿤티]]가 야마에게 기도하여 태어났다는 종교적 사실로 더욱 확고히 입증된다.
 
== 일본 설화 ==
[[고사기]]에 따르면, 불의 신 [[카구츠키]]를 낳은 후 [[이자나미]]는 이를 낳을 때 입은 화상으로 인해 사망한 후 [[요미]]라는 황천으로 떨어지게 되었으며, 그 남편이었던 [[이자나기]]는 그녀를 되살리기 위해 황천으로 여행을 떠났으나 이에 실패하였다. 이 때 그는 이자나미가 이전과 같이 아름답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 때 둘간의 짧은 언쟁이 오고갔으며, 이 때 이자나미는 매일 인간 천 명의 목숨을 빼앗을 것을 약속하였고 이로 인하여 죽음의 여신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36번째 줄:
이외에 [[시니가미]]라는 죽음의 신도 존재하는데, 이는 서양의 사신과 흡사한 존재이다. 다만 이는 단일 신이 아닌 복수 명칭이며, 현대 미술 및 소설에서만 등장할 뿐, 고전 설화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존재이다.
 
== 시크교 ==
시크교에서의 사신은 숱한 천사들 중 하나이며, 와헤구루라는 신의 종으로 묘사된다. 시크교의 창시자 [[구루 나나크]]의 찬송가 일부에서는 "신새벽의 날, 죽음의 천사가 그대의 영혼을 데려갈 것이며 아무도 그대가 어디가 간 것인지 알지 못할 것이다"라는 이야기가 언급된다. 구루 나나크에 따르면, 그 때 죽은 자가 갖고 있던 모든 훌륭한 것들은 천상의 왕국에서 아무런 쓸모가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시크교의 경전 [[아디그란트]]에 언급된 예언에 따르면, 미래에 인류는 죄악에 빠져들 것이며, 신의 말씀은 지구상에서 쓸모없는 것으로 전락할 것이며, 이렇게 되면 신은 사신으로 하여금 지구상에서 인류를 불러모은 뒤 죄인들을 모두 주살하도록 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후 죄가 없어 살아남은 자는 신의 이름을 가슴 깊이 새겨둘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44번째 줄:
 
[[분류:죽음의 신| ]]
 
[[af:Skoppensboer (dood)]]
[[bat-smg:Gėltėnė]]
[[cs:Smrtka]]
[[de:Sensenmann]]
[[en:Death (personification)]]
[[eo:Mortulo]]
[[es:Muerte (personificación)]]
[[et:Vikatimees]]
[[fa:مرگ (تجسم)]]
[[fi:Kuolema (henkilöitymä)]]
[[fr:La Mort (mythologie)]]
[[he:האנשה של המוות]]
[[is:Maðurinn með ljáinn]]
[[it:Morte personificata]]
[[ja:死神]]
[[lt:Giltinė]]
[[lv:Nāve (personāžs)]]
[[nds:Knakenmann]]
[[nl:Magere Hein]]
[[no:Mannen med ljåen]]
[[pl:Śmierć (personifikacja)]]
[[pt:Morte (personificação)]]
[[ru:Образ смерти]]
[[simple:Death (personification)]]
[[sv:Liemannen]]
[[szl:Śmjertka]]
[[th:บุคลาธิษฐานของความตาย]]
[[vi:Thần chế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