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4번째 줄:
3시(施)의 하나. 계를 지니어 남을 침해하지 아니하며, 또 두려워 하는 마음이 없게 하는 것. ⇒보시(布施)"}}가 있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3%B4%EC%8B%9C&rowno=5 報施婆羅蜜(보시바라밀)]".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報施婆羅蜜(보시바라밀):
6바라밀의 하나. 재물보시ㆍ법보시ㆍ무외보시 따위의 대행(大行). 이 대행은 나고 죽는 이 언덕에서 불생불멸하는 열반의 저 언덕에 이르는 배와 같으므로 바라밀이라 함."}}{{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3%B4%EC%8B%9C&rowno=4 布施(보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布施(보시):
【범】dāna 단나(檀那)라 음역. (1) 6바라밀의 하나. 자비심으로써 다른 이에게 조건 없이 물건을 줌. 이것을 재시(財施). 보시는 재시ㆍ법시ㆍ무외시(無畏施)의 3종으로 나누며, 또 4종, 5종, 7종, 8종으로 나누기도 한다. ⇒재시(財施)ㆍ법시(法施)ㆍ무외시(無畏施) (2) 4섭법(攝法)의 하나. 보살이 재시ㆍ법시로써 중생을 섭수(攝受)하여 화도(化導)하는 것. (3) 지금은 흔히 신도들이 스님들에게 독경을 청하거나 불사를 행하고 보수로 금전이나 물품을 주는 것을 보시라고 말한다."}} 따라서,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보살]]은 성문과 [[연각]]과는 달리 자신과 남의 [[깨달음]] 즉 [[자리 (불교)|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동시에 추구하는 수행자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459&DTITLE=%A5%AC%ACI 布施]".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布施:
 梵語 dāna,巴利語同。音譯為檀那、柁那、檀。又稱施。或為梵語 daksinā 之譯,音譯為達嚫(嚫又作[貝*親])、大嚫、嚫,意譯為財施、施頌、嚫施。即以慈悲心而施福利與人之義。蓋布施原為佛陀勸導優婆塞等之行法,其本義乃以衣、食等物施與大德及貧窮者;至大乘時代,則為六波羅蜜之一,再加上法施、無畏施二者,擴大布施之意義。亦即指施與他人以財物、體力、智慧等,為他人造福成智而求得累積功德,以致解脫之一種修行方法。大乘義章卷十二解釋布施之義:以己財事分散與他,稱為布;惙己惠人,稱為施。小乘布施之目的,在破除個人吝嗇與貪心,以免除未來世之貧困,大乘則與大慈大悲之教義聯結,用於超度眾生。<br>
 施財之人,稱為檀越(梵 dānapati,布施主之意,意譯為施主、檀那主,簡稱為檀那);而所施之財物,稱為嚫資、嚫財、嚫金、嚫錢、堂嚫(對僧堂之僧施物之意)、俵嚫(分與施物之意)、信施(信徒施物之意)。此外,獻上錢財,稱為上嚫;施物供於佛前,稱為下嚫。於日本,信者所屬之寺院,稱為檀那寺;而道場所屬之信者,稱為檀家、檀中、檀徒、檀方。<br>
 布施乃六念之一(念施),四攝法之一(布施攝),六波羅蜜及十波羅蜜之一(布施波羅蜜、檀波羅蜜)。布施能使人遠離貪心,如對佛、僧、貧窮人布施衣、食等物資,必能招感幸福之果報。又向人宣說正法,令得功德利益,稱為法施。使人離開種種恐怖,稱為無畏施。財施與法施稱為二種施;若加無畏施,則稱三種施。以上三施係菩薩所必行者。其中法施之功德較財施為大。布施若以遠離貪心與期開悟為目的,則稱為清淨施;反之則稱不清淨施。至於法施,勸人生於人天之說教,稱為世間法施;而勸人成佛之教法(三十七菩提分法及三解脫門),稱為出世法施。此外,關於施、施波羅蜜之區別,據優婆塞戒經卷二載,聲聞、緣覺、凡夫、外道之施,及菩薩在初二阿僧祇劫所行之施,稱為施;而菩薩於第三阿僧祇劫所行之施,則稱為施波羅蜜。<br>
 據菩薩善戒經卷一序品載,在家菩薩行財施與法施;出家菩薩行筆施、墨施、經施、說法施等四施;而得無生忍之菩薩則具足施、大施、無上施等三施。俱舍論卷十八舉出八種布施,即:隨至施、怖畏施、報恩施、求報施、習先施、希天施、要名施、為莊嚴心等施。同書卷十八亦舉出施客人、施行人、施病人、施侍病者、施園林、施常食、隨時施等七種布施。舊譯華嚴經卷十二「十無盡藏品」則有修習施、最後難施、內施、外施、內外施、一切施、過去施、未來施、現在施、究竟施等十施。上述乃就布施行為之內容、態度、目的等之不同,而有種種分類方式。又施者、受者、施物三者本質為空,不存任何執著,稱為三輪體空、三輪清淨。〔中阿含卷三十福田經、增一阿含經卷四、卷九、卷二十、大般若波羅蜜多經卷四六九、卷五六九、菩薩地持經卷四、布施卷、大智度論卷十四、卷二十九、瑜伽師地論卷三十九〕(參閱「達嚫」5677) p1901"}}
 
그리고, 대승불교에서는 이러한 3승의 교의에 의거하여, 성문과 연각이 [[자리 (불교)|자리]](自利)에만 치중하는 수행자로서, 이러한 태도에 의해 결과적으로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을 수 있을 뿐 [[법공]](法空)의 이치는 깨닫지 못한다고 보았다. 즉, 성문과 연각이 완전히 깨달았다고 하는 상태는 단지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은 상태일 뿐으로 [[부처]]의 상태가 아니며 따라서 그들이 이상으로 하고 있는 [[아라한]]이란 '[[부처]]의 다른 명칭으로서의 [[아라한]]'이 아니라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은 [[성자 (불교)|성자]]일 뿐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성문승]](聲聞乘){{.cw}}[[연각승]](緣覺乘)의 [[2승]](二乘)으로는 '[[아라한]]' 즉 '[[아공]](我空)의 이치는 완전히 깨달은 [[성자 (불교)|성자]]'는 될 수 있어도 '[[아공]]과 [[법공]]을 모두 깨달은 [[성자]]'인 [[부처]]는 영원히 될 수 없다고 보아, [[부처]]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길 즉 [[아공]]과 [[법공]]을 모두 깨달을 수 있게 하는 길로서의 자신들의 [[보살승]]과 구별하였고, [[성문승]]{{.cw}}[[연각승]]의 [[2승]](二乘)을 통칭하여 [[소승]](小乘)이라고 폄칭하였다. 달리 말하면, [[대승불교]]에서는 [[6바라밀]]을 통해서는 [[부처]]가 될 수 있지만 다른 [[유정 (불교)|유정]]의 [[깨달음]]을 돕는 실천 즉 [[재시]]{{.cw}}[[법시]]{{.cw}}[[무외시]]의 [[보시]]가 결여된 [[4제현관]]이나 [[12연기]]의 [[현관 (불교)|현관]]만을 통해서는 [[부처]]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