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487,756
번
{{출처 필요}}
'''주 양자수'''(principal quantum number)는 네 개의 [[양자수]](주 양자수, [[방위 양자수]], [[자기 양자수]], [[스핀 양자수]])중의 하나로 '''''n''''' 으로 나타낸다. 주 양자수는 오직 양의 정수의 값만을 가질 수 있다.
== 유도 ==
몇개의 양자수는 원자의 에너지 상태와 관련되어 있다.''n'', ''ℓ'', ''m'', 그리고 ''s'' 의 네 숫자는 원자 내에서 한 전자의 [[파동함수]] 또는 [[오비탈]]이라 불리는 유일한 양자 상태를 정의 한다. [[파울리의 배타원리]]에 따라 한 원자 내에서 두 전자는 같은 네 개의 양자수를 가지지 못한다. [[양자역학]]에서 원자의 오비탈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었을 때 처음 세 개의 양자수가 나타난다. 따라서 세 양자수에 관한 방정식들은 서로 연관되어있다. 주 양자수는 파동 방정식의 방사상 부분의 해에서 나타난다.
여기서 ''n'' = 1, 2, 3, … 는 주 양자수이고 ''h''는 [[플랑크 상수]]이다. 각운동량의 크기는 [[방위 양자수]]로 나타내기 때문에 양자역학에서 이 공식은 옳지 않으나 에너지 준위는 정확하고 이는 고전적으로 포텐셜과 운동에너지의 합에 해당한다.
주 양자수 ''n'' 은 전체적인 오비탈의 에너지를 나타내고 핵과의 거리가
주 양자수는 지름 양자수, ''n''<sub>''r''</sub> 과 관련이 있다.
''ℓ'' 은 [[방위 양자수]]이고 ''n''<sub>''r''</sub> 은 방사상 파동함수의 [[마디 (물리)|마디]]의 수와 같다.
== 같이 보기 ==
* [[전각운동량 양자수]]
* [[슈뢰딩거 방정식]]
== 바깥 고리 ==
* [http://www.colorado.edu/physics/2000/applets/a2.html 각 원소에 대한 주 양자수와 방위 양자수를 보여주는 주기율표 애플릿]
[[분류:양자화학]]▼
▲[[분류:양자화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