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염오'''(染污)는 이와 같이 [[일체법]]을 [[3성 (불교)|3성]](三性)으로 분류할 때, '''불선과 유부무기를 합한 것'''에 해당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663&DTITLE=%ACV%A6%C3 染污]".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염오(染污)|quote=<br>"染污: 梵語 klista。煩惱之別稱。又作雜染、染。指有漏法中,妨礙悟道者,即不善與有覆無記之法。"}}
 
[[일체법]] 또는 특정한 법들의 그룹을 [[3성 (불교)|3성]](三性)으로 분류하는 것, 즉 [[3성 (불교)|3성]](三性)의 관점으로 나누는 것을 전통적인 용어로 '''[[3성 분별]]'''(三性分別)이라 하는데, [[3성 분별]]은 이들 [[법 (불교)|법]]들 중에서 무엇이 [[선 (3성)|선]]이며 무엇이 [[악 (3성)|악]](불선)이며 무엇이 [[선 (3성)|선]]도 [[악 (3성)|악]]도 아닌 것인지 분류하는 것으로, 간단히 말하자면, [[도덕]]적 기준에서 해당 [[법 (불교)|법]]들을 나누어보는 것이다. [[일체법]]에 대해 [[3성 분별]]을 해보면, 당연히 [[선 (3성)|선]]의 그룹이나 [[악 (3성)|악]]의 그룹보다 훨씬 그 개체수가 많은 것은 산하대지를 포함한 온갖 [[무생물]]과 인간을 포함한 온갖 [[생물]]이 소속되는 [[무기 (3성)|무기]]의 그룹이다. 하지만, [[무기 (3성)|무기]]의 그룹은 [[선 (3성)|선]]도 [[악 (3성)|악]]도 아니므로 [[불교]]의 [[선악 (불교)|선악]] 개념의 관점에서는 현재보다 나은 상태나 현재 나쁜 상태를 가져오지 않고 단지 현재 상태와 유사한 상태를 지속시킬 뿐이므로, [[깨달음의 길]]이라는 측면에서는 [[선 (3성)|선]]의 그룹과 [[악 (3성)|악]]의 그룹이 중요하며 그리고 [[무기 (3성)|무기]]의 그룹 중에서는 [[바른 지혜]]가 생겨나는 것을 방해하는 [[유부무기]](有覆無記)가 중요하다. 말하자면, 무엇이 [[깨달음의 길]]에서 장애가 되는 [[법 (불교)|법]]이며 무엇이 깨달음의 길에서 나아가게 하는 [[법 (불교)|법]]인지를 가려내어, [[선 (3성)|선]]으로 [[악 (3성)|악]]을 막고 또한 [[선 (3성)|선]] 그 자체를 증대시킴으로서 [[깨달음]]에로 더 나아가게 하려는 것이 [[3성 분별]]의 목적이고 의의이다.
 
[[번뇌]]로 인해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혼탁해진 것을 흔히 '''번뇌에 물들었다'''고 표현한다. 그리고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번뇌]]에 물든 것을 '''염심'''(染心), '''잡염심'''(雜染心), '''염오식'''(染污識), '''염오심'''(染污心), 즉 '''염오한 마음''', '''오염된 마음''' 또는 '''번뇌에 물든 마음'''이라 한다. 염오한 마음, 즉 [[번뇌]]에 물들어 혼탁해진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사물]][事]과 [[이치]][理]를 명료하게 [[요별|알지]] 못하는 [[무지 (불교)|무지]](無知)의 상태에 있게 된다.{{sfn|권오민|2003|pp=69-81}}{{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104&DTITLE=%A4G%B5L%AA%BE 二無知]". 2012년 10월 8일에 확인}} 그리고, 염오심(染污心: 염오한 마음), 즉 [[사물]][事]과 [[이치]][理]를 명료하게 알지 못하는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무기 (3성)|무기]](無記)이지만, 나[我, 자아]에 대한 그릇된 [[믿음 (불교)|믿음]]을 촉진시키다는 점에서 [[바른 지혜]]가 생겨나는 것을 방해하므로 [[유부무기]]에 속한다.{{sfn|권오민|2003|pp=6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