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행: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br>解釋:
<br>trīṇi duścaritāni, duścaritaṃ trayam, mano-duścaritaṃ tridhā
<br>頁數: p6"}} [[불선 (3성)|불선3악행]](不善)은의 반대를 [[악 (불교)|악3묘행]](三妙行)이라고도 하며,또는 [[현세3청정]]나 [[내세]]에 자기와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 (불교三清淨)|성질]]을 가진 것을이라 말한다한다.{{sfn|운허星雲|loc="[http://buddhaetext.donggukfgs.eduorg.tw/bs_detailetext6/search-1-detail.aspxasp?typeDINDEX=detail2060&from=&to=&srchDTITLE=%ECA4T%A7%AE%95A6%85&rowno=39E6 惡(악)三妙行]". 2012년2013년 9월6월 2일에3일에 확인|quote=<br>"惡(악)三妙行:
  梵語 trīni sucaritāni,巴利語 tīni sucaritāni。又作三清淨。為「三惡行」之對稱。指三種智者所愛樂,能招可愛之果之行。(一)身妙行(梵 kāya-sucarita),指亙一切加行、根本、後起等一切善之身業。(二)語妙行(梵 vāksucarita),亦為亙一切加行、根本、後起等一切善之語業。(三)意妙行(梵 manah-sucarita),一切善思,亦即無貪、無瞋、正見等三種意業。 <br>
 三妙行與善業道有所別,即業道乃唯以粗品之根本為其性,不攝其餘之善;妙行則含攝一切之善。又說一切有部主張意業以思為體,謂思與無貪等各有別體,故立意業及非業之無貪、無瞋、正見等為意妙行。經量部則主張無貪等離思即無別體,故即是意業,在意業之外,不立無貪等為意妙行。此外,大毘婆沙論卷十七以諸身妙行即身清淨,諸語妙行即語清淨,諸意妙行即意清淨,而稱三妙行為三清淨。〔雜阿含經卷十一、集異門足論卷三、大毘婆沙論卷一一二、阿毘達磨順正理論卷四十一〕 p553"}} [[불선 (3성)|불선]](不善)은 [[악 (불교)|악]](惡)이라고도 하며, [[현세]]나 [[내세]]에 자기와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 (불교)|성질]]을 가진 것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5%85&rowno=39 惡(악)]". 2012년 9월 2일에 확인|quote=<br>"惡(악):
<br>[1] 【범】 a [앟] (또는 痾ㆍ噁) 실담 12운(韻)의 하나. 50자문의 하나. 이것은 아음(阿音)에서 달라진 소리. 점 없는 (아) 자의 곁에 열반점 : (데바나가리에서는 :을 Visarga라고 함. 세상의 장해를 없애는 뜻. 또 해탈 등의 뜻이 있는 데서 해석하는 말인 듯)을 덧붙인 것. 『문수문경(文殊問經)』에는 악자를 말할 때 침몰의 소리라 하고, 『금강정경(金剛頂經)』에 “악자문(惡字門), 일체법원리불가득고(一切法遠離不可得故)”라 한 것은 이러한 뜻에서 전석(轉釋)한 것.
<br>[2] akuśala 3성(性)의 하나. 불선(不善)이라고도 함.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대하여 좋지 아니한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