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언어 틀 정비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Anvil shaped cumulus panorama edit crop.jpg|섬네일|오른쪽|400px|적란운, [[오스트레일리아]]의 빅토리아 Swifts Creek 상공]]
'''구름'''은 [[지구]], [[행성]] 또는 [[위성]]의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의 모임이다. (별 사이의 구름처럼 보이는 부분을 '성운(星雲)'이라 부르는데, 이는 성간물질이[[성간물질]]이 모인 것이다. [[은하수]]는 구름이 아닌, 별들의 모임이다.) 구름을 연구하는 [[기상학]]의 분야를 '[[구름학]]'이라 한다.
 
지구상의 구름은 대부분 수증기로부터[[수증기]]로부터 생성된다. 알갱이들의 반지름은 주로 약 0.02~0.05mm로 되어 있으며 수십억 개의 작은 물방울들이 모이면 구름으로서 관측할 수 있게 된다. 짙은 구름은 [[반사율]]이 70%에서 95%에 육박하기 때문에 구름 상단은 하얗게 보인다. 하지만 구름 속 물방울들이 빛을 산란시키므로 아래로 내려갈수록 회색이 된다. 이 밖에도 햇빛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색이 바뀌기도 한다. 구름은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한다.
 
[[강수]] 현상과 같은 기상현상도 구름에 의해 발생한다.
17번째 줄:
|-
|}
구름은 크게 [[층운]]과 [[적운]]으로 구분하며 고도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 [[수직 발달 구름]], 이렇게 네 가지로 나뉜다. 구름의 높이는 밑면에 따라 결정되며 이러한 분류는 [[1802년]] 아스케시안 협회(Askesian Society)에서 루크 하워드가 제안하였다.
 
=== 상층운 ===
[[상층운]](上層雲)은 지상 5천 ~ 1만 3천 미터의 [[대류권]]의 저온부에서 형성된다. 극지방에서는 3천 미터의 낮은 곳에서도 형성된다. 이 높이에서는 수증기가 얼어붙어 구름은 얼음 결정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대체로 희미하고 투명할 때도 있다.
 
* [[권운]] (Cirrus, Ci)
26번째 줄:
 
* [[권층운]] (Cirrostratus, Cs)
:권층운(卷層雲)은 [[털층구름]]·[[면사포구름]]·무리구름이라고[[무리구름]]이라고 한다. 태양이나 달의 무리([[햇무리]]·[[달무리]])를 나타나게 하는 반투명의 흰 베일과 같은 구름으로 5,000 ~ 13,000m 높이에 나타나며 구름 입자는 빙정이다[[빙정]]이다.
* [[권적운]] (Cirrocumulus, Cc)
:권적운(卷積雲)은 [[털쌘구름]]·[[비늘구름]]·조개구름이라고[[조개구름]]이라고 한다. 생선비늘 또는 잔물결 같은 모양을 하며 5,000 ~ 13,000m 높이에 나타난다. 작은 구름은 서로 붙거나 떨어져 어느 정도 규칙적으로 배열한다. 구름 입자는 빙정이며[[빙정]]이며, 때때로 무지갯빛 구름이나 코로나를[[코로나]]를 볼 수 있다.
 
=== 중층운 ===
중층운은 [[중층운]]은 2천 ~ 7천 미터 높이에서 형성된다. 이들은 물방울로 구성되며 [[과냉각]]된 경우도 있다.
* [[고층운]] (Altostratus, As)
:고층운(高層雲)은 [[높층구름]]·흰색차일구름이라고[[흰색차일구름]]이라고 하며 때로는 상층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얼룩이 없는 고른 모양을 나타낼 때도 있고, 줄기가 있는 섬유나 털 모양의 조직을 나타내기도 한다. 2,000 ~ 7,000m의 이상의 높이에 나타나며, 두께는 수백 m에서 수천 m에 이른다. 구름의 정상은 10,000m 높이까지 이르기도 한다. 따라서 두꺼운 고층운의 상층부는 빙정, 중층부는 [[빙정]]·[[눈송이]]·과냉각물방울의[[과냉각물방울]]의 혼합물, 하층부는 대부분 과냉각물방울이나[[과냉각물방울]]이나 물방울로[[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얇은 구름은 물방울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얇은 고층운은 해와 달을 희미하게 볼 수 있지만, 두꺼운 고층운은 해와 달을 완전히 가린다. 간혹 꼬리구름과[[꼬리구름]]과 유방구름이[[유방구름]]이 함께 생긴다.
 
* [[고적운]] (Altocumulus, Ac)
:고적운(高積雲)은 [[높쌘구름]], 양떼구름이라고[[양떼구름]]이라고 한다. 색깔은 흰색이나 회색이며 그림자가 나타나므로 입체감이 있다. 약 2,000 ~ 7,000m의 높이에 나타나며, 구름의 입자는 대부분 작은 물방울이지만 기온이 매우 낮을 때에는 빙정도[[빙정]]도 나타난다. 구름 덩어리의 둘레가 얇고 반투명하며 여러 가지 고운 빛깔이 나타나는데, 이를 무지갯빛구름이라고 한다. 또 태양이나 달을 배경으로 한 [[광환]](光環)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바람이 강하게 불 때에는 흔히 산 너머 하늘에 렌즈 모양의 [[고적운]], 즉 렌즈구름이[[렌즈구름]]이 생긴다.
 
=== 하층운 ===
하층운은 [[하층운]]은 2천 미터 이하에서 형성된다. 하층운이[[하층운]]이 땅에 닿으면 '[[안개]]'로 부른다. 이 구름은 비를 머금고 있는 경우가 많다.
 
* [[층운]] (Stratus, St)
:층운(層雲)은 층구름 또는 안개와 비슷하여 안개구름이라고도[[안개구름]]이라고도 한다. 안개가 공중으로 떠오른 것 같은 낮은 구름으로 여러 조각으로 나뉜 구름 조각이 되는 수도 있어, 구름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일 때도 있다. 고도 2,000m까지 나타나는 작은 물방울의 집합체로서, 구름이 아주 엷을 때는 [[달무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지형의 영향으로 발생하므로 한정된 범위에서만 나타나며, 오랫동안 남아 있는 경우는 드물고 조각조각 흩어져 사라지며, 맑은 날씨를 이룰 때가 많다. 층운에서 내리는 비는 이슬비가 보통이다.
 
* [[층적운]] (Stratocumulus, Sc)
51번째 줄:
 
* [[난층운]] (Nimbostratus, Ns)
:난층운(亂層雲)은 [[비층구름]]·비구름이라고도[[비구름]]이라고도 하는 어두운 회색 구름으로 비나 눈을 오게 한다. 때로는 상층과 하층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주로 2,000 ~ 7,000m 높이에서 나타나며 하늘 전체를 덮고 두꺼운 층을 이룬다. 고층운의[[고층운]]의 운층이 점차로 두꺼워지면서 구름의 바닥이 낮아져서 난층운이 되는 경우가 많다. 난층운 아래에는 흔히 조각구름이[[조각구름]]이 나타난다.
 
* [[적란운]] (Cumulonimbus, Cb)
:적란운(積亂雲)은 쌘비구름이라고도[[쌘비구름]]이라고도 하며 적운과[[적운]]과 비슷하지만, 적운보다 수직으로 더 치솟아 있어 산이나 큰 탑처럼 보인다. 구름의 윗부분은 빙정, 아랫부분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중간 부분은 빙정과 작은 물방울이 섞여 있다. 구름 밑면의 높이는 땅에서 2km 이하이나, 꼭대기의 높이는 12km에 이를 때도 있다. 적란운은 흔히 소나기를 동반하며, 심할 때에는 우박과 뇌우, 그리고 더 심할 때에는 [[용오름]]을 동반한다. 구름 속에 전하가 모여 있어 [[번개]]도 동반하므로 [[뇌운]](雷雲)이라고도 한다. 때때로 [[우박]]과 살인적인 [[토네이도]]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 [[적운]] (Cumulus, Cu)
:적운(積雲)은 쌘구름·뭉게구름({{문화어|더미구름}})이라고도 한다. 맑은 하늘에 떠 있는 뭉게구름으로 햇빛을 받는 곳은 눈부시게 희며, 구름의 밑면은 어둡고 거의 수평을 이룬다. 지상 부근과 2,000m 높이 사이에서 나타나지만, 발달하면 구름 꼭대기의 높이가 10,000m에 이른다. 적운은 흔히 맑은 날 햇볕이 내리쬐어 나타난 대류현상 때문에 나타난다. 이러한 적운은 아침에 나타나기 시작해 낮동안 발달하고 저녁이 가까워지면서 사라진다. 적운에서는 비가 오지 않으며, 오더라도 그 양이 매우 적다.
 
이상이 열 가지 구름 종류의 주요 형태이나 이 밖에도 구름의 모양에 따라 분류되는 이름도 상당히 많이 있다. 그 대표적인 구름에 대해 예를 들면 [[렌즈구름]](렌즈 모양의 구름으로서 권적운이나 고적운에 많다)·파상운(물결과 같은 배열을 하고 있는 구름으로서 [[권적운]]·고적운에[[고적운]]에 많다)·[[철상운]](鐵床雲:적란운의:[[적란운]]의 정상으로부터 모루 모양으로 퍼진 구름)·유방운(유방과 같이 구름의 밑면에 돌출부를 나타내는 구름으로서 적란운에서[[적란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등이 있다.
 
<gallery>
70번째 줄:
== 구름의 생성 ==
구름은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공기 안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며 생기는 것이다. 구름의 생성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구름이 생성되려면 먼저 공기가 상승해야 한다.
* 지표면이 불균등하게 가열될 때
* 공기가 산을 타고 상승할 때
* 공기가 모여드는 저기압의 중심일 때
*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날 때
* 저기압 중심으로 공기가 모여들 때
 
 
 
공기가 상승하는 요인으로는 크게 4가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