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행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d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인터위키 링크 4 개가 위키데이터d:q906420 항목으로 옮겨짐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div style="border:1px solid gray; padding: 5px ;margin: 5px; float: right; text-align: center; width: 180px; background: #eee;">
사행동시 윤축의 움직임<br />
[[그림파일:Hunting oscillation section.gif|150px|사행동시 윤축의 움직임]]<br />
단면방향<br /><br />
[[그림파일:Hunting oscillation plan.gif|150px|사행동시 윤축의 움직임]]<br />
평면방향<br />
</div>
10번째 줄:
== 발생의 기구 ==
=== 1륜축의 기하학적 사행동 ===
[[그림파일:답면구배.png|right|280px|thumb|차륜의 답면구배]]
철도차량의 차륜은 원통형이 아닌 원추형으로, 플랜지 측(안쪽)의 직경은 크고 바깥쪽의 직경은 작다. 이 차이를 답면구배(踏面勾配)라고 부르며, 차축이 레일의 한쪽 편으로 치우쳤을 경우 올바른 위치로 되돌리는 복원력을 주며 곡선 통과를 원활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좌우의 차륜이 직결되어 있는 철도 차량의 윤축에 자기조향 기능을 주는 것으로, 없어서는 안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답면구배에 의한 자기 조타 기능은 윤축에 좌우 방향의 운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즉, 윤축이 한쪽의 레일로 치우쳤을 경우 그것을 원래대로 되돌리려고 하는 복원력에 의해 반대측의 레일에 치우쳐, 거기에 역방향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반복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을 1륜축의 기하학적 사행동이라고 부르며, 파장 L은 이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파일:1축 사행동.PNG|right|300px|thumb|1축 사행동의 파장]]
<math>L=2 \pi \sqrt{\frac{er}{\lambda}}</math>
 
75번째 줄:
 
== 참고문헌 ==
*石井幸孝 "入門鉄道車両" 交友社, 1970년 {{쪽}}
*伊原一夫 "鉄道車両メカニズム図鑑" グランプリ出版, 1987년{{쪽}}
 
[[분류:철도차량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