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위키위트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위키위트1 (토론 | 기여)
10번째 줄:
한 나라의 국민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 산업의 상대적 중요성을 산업구조라고 한다. 좁은 의미로 산업구조를 해석할 때에는 산업의 생산력구조를 뜻하게 되나, 넓은 의미로서는 산업의 존재양식 내지 그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넓은 의미의 산업구조는 문제의식에 따라 산업의 국제적인 구조, 생산력구조, 경영적 구조, 국가방위적 구조 등의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산업은 국내산업군과 무역산업군, 생산재산업군과 소비재산업군, 평화산업군과 군사산업군 등으로 분류한다. 산업구조는 경제진보에 따라 그 변화해 가는 관계를 역사적 또는 국제적 비교를 통해 실증적으로 고찰할 때 보다 더 큰 의의를 갖는다. <ref name="글로벌 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통상·산업/산업의 경영형태/산업구조와 경영형태/산업구조와 경영형태〔서설〕|산업구조와 경영형태〔서설〕]]〉</ref>
 
각 산업에 관한 다른 분류방법으로는 영국의 경제학자 콜린 클라크()와 같이 제1차산업·제2차산업·제3차산업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성을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라크는 이를 가지고 산업발전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제1차산업은 원시산업, 제2차산업은 공업과 광업이 주가 되고 있으며, 제3차산업은 서비스업이다. 그는 이러한 산업분류에 의해서 각국의 통계를 세밀히 분석함으로써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노동인구가 [[제1차 산업]] 중심으로부터 [[제2차산업제2차 산업 중심]]으로, 다시 [[제2차 산업]] 중심에서 [[제3차 산업]] 중심으로 옮겨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일반적 경향을 "농업보다는 제조업에 의하는 것이, 또한 제조업에 의하는 것보다는 상업에 의하는 것이 이익이 훨씬 많다"라고 한 페티(Sir William Petty)의 말을 인용, 이것을 페티의 법칙(Petty's law)이라고 하고 있다. 이 법칙은 일반적인 경향에 불과하며 각국이 갖는 자연적 조건 또는 역사적 특수성에 의해 차이를 이루게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은 [[제2차 산업]]의 비중이 점차 낮아지고, [[제3차 산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ref name="글로벌 서설"/> [[경제학]] 등의 학문에서는 클라크의 분류를 산업 분류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ref>후타쓰키 고조, 김윤희 역, 직장인을 위한 공부 기술, 청년정신, 295쪽. ISBN 89-87999-96-3 </ref> 또 같은 형식의 분류방법이지만, 표현방법을 달리하여 원시사업(또는 채취산업), 제조업(또는 가공산업), 서비스 산업으로 나누는 방법도 있다. 경영관리상의 특성이라는 관점에서 흔히 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분류로, 자본적 제약산업(資本的制約産業)과 인적 제약산업(人的制約産業)이라는 관점에 위에서 말한 분류방법을 가미할 수도 있다. <ref>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통상·산업/산업의 경영형태/산업구조와 경영형태/산업별 기업경영의 특색#산업과 경영|산업과 경영]]〉</ref> 여러 나라의 [[정부]]는 산업 관련 정책을 위해 보다 세밀하게 산업을 분류하고 있는데, 대한민국의 경우 20개의 [[카테고리]]로 묶어 산업을 분류하고 있다.<ref>국가기록원, [http://contents.archives.go.kr/next/content/listSubjectDescription.do?id=002166&pageFlag=C 한국표준산업분류]</ref> 상공부의 산업분류를 보면 대분류·중분류·소분류로 나뉘어 있는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업종별(業種別)이라고 하는 것은 중분류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것은 수십 종에 달하고 있다.
 
=== 클라크의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