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사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번째 줄:
=== 육군 ===
{{참고|육군 학사장교}}
[[육군 학사장교]]은 1980년대 [[대한민국]]의 대내외적 안보환경이 불안했던 시기, '문무를 겸비한 장교양성'을 기치로 1981년 학사사관 제도가 창설되었다. 이에 정예 간부 629명이 학사 1기로 광주 상무대에서 임관하였다. 학사 2기부터는 생도과정이 폐지된 육군3사관학교에서 장교양성교육을 받고 임관하게 되었으며, 80년대 중순부터는 [[군장학생]] 제도를 도입하여 매년 2개 기수씩 임관하였는데, 전반기에 임관하는 '홀수 기수'와 후반기에 임관하는 '짝수 기수'로 나누어 졌고 행시, 외시, 기시 출신자 및 군장학생은 전반기에 입대하였다. 2010년이후 연 1기수로 통합되였다. 육군 학사장교는 2011년 까지 [[육군3사관학교]]에서 16주 간의 장교양성 과정을 이수하고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2012년 부터는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장교양성교육을 받고 임관하고 있다. [[2013년]]까지 총 58개 기수, 45,446명의 정예 장교가 학사사관 과정으로 배출되었다. 2013년 현재 2명의 장성([[정현석]] 준장(학사3기), 이상윤 준장(학사6기))을 배출하였다.

학사장교는 학군장교와 비슷하게 대부분 단기 의무복무후 전역하여 사회 각개각층에서 활약을 하고 있다. 학사장교 제도가 정착되기 시작한 80년대말 부터 장기복무자가 늘어나기 시작하여 2013년 현재 10,000여명이 현역으로 복무하고 있으며, 2명의 장성, 약 3,000여명의 영관장교, 중{{·}}소대장의 40%를 담당하고 있다. 의무복무를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학사장교는 전문분야의 지식과 군에서 채득한 장교로서의 리더십과 군인정신을 바탕으로 사회 각개각층에서 눈부신 활약을 하고 있다.

정관계에서 現안전행정부장관인 [[유정복]](1기) 새누리당 의원, 現총동문회장인 [[김동완]](1기) 새누리당 의원, [[전병헌]](1기) 민주당 원내대표, [[김희국]](2기)새누리당 의원등이 있다. 또한 정승(1기) 식약처장, 김덕중(7기) 국세청장, 이전환(7기) 국세청차장, 이종호(7기) 중부지방국세청장, 박동훈(8기) 청와대행정자치비서관, 김낙회(8기) 국무조정실 조세심판원장, 오균(9기) 청와대국정과제비서관, 정재근(5기) 안행부 지방행정실장, 김준동(13기)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김의도(17기) 통일부 남북출입사무소장등 5급 이상의 공직자 1,000여명있다. 현직 단체장 가운데는 이종배(1기) 충주시장, 이성(1기) 서울 구로구청장, 전귀권(1기) 양천구청장 권한대행 등이 있다. 법조계는 양부남(5기) 대구지검 2차장검사를 포함한 40여명, 경찰은 윤종기(5기) 서울경찰청 차장등 약 300여명, 교육계에는 구본충(1기) 청양대총장을 포함한 대학교수 약600여명, 김옥기(2기) 연세중교장을 포함한 교사 800여명, 경제계에는 [[윤홍근]](1기) 제네시스회장을 포함한 4,000여명등이 활약을 하고 있다.<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529011008 서울신문 : 학사장교 출신 공직 새 파워엘리트 인맥 부상 )</ref>
 
=== 해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