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체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7번째 줄:
===문화적 정통성===
;간체자의 입장
한자는 수천년 동안 끊임없이 변화해왔다. [[갑골 문자]](甲骨文字), [[금문]](金文), [[전서]](篆書), [[예서]], [[해서]](隸書)에 이르기까지 한자의 모양은 계속 변해왔다. 더욱이, 현대 간체자 체계가 채택한 간략화 방법은 이미 예전부터 禮를 礼로도 썼듯이 수 세기 동안 역사적으로 통용되어 온 방법을 사용하였거나 시대를 거치며 지나치게 복잡화되었던 몇몇 정체자를 과거의 쉬운 형태로 복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후자의 예는 云으로 이 글자는 처음에 구름의 뜻으로 쓰였는데 이를 운(云)과 모양이 중복되어 雲이 이후 통용되었다. 이에 현대 간체자를 옛 모양으로 복원시켜 雲 대신 云을 구름으로 쓴다.)
;정체자의 입장
그 동안 진행되어 온 한자의 변화는 양식의 사소한 변경에 불과하지 문자 구조의 변경은 아니다. 특히 [[진시황]] 이후의 역사는 더욱 그러하다. 중국 대륙의 정부가 진척시킨 간체화 사업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그들이 내세우는 근대화라는 정치적인 목표의 달성을 위해 중국의 전통 문화를 곡해하기 위한 사업이다. 인위적이고 무리한 문자의 변경은 부수, 뜻, 소리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한자의 특질을 무시하고 파괴하는 것이다. 聖을 圣으로 간화한 것은 聖의 부수인 耳을 버리고 엉뚱한 土를 부수로 취한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