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 경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위키위트1 (토론 | 기여)
6번째 줄:
계획 경제가 완전히 중앙 당국에서 순조롭게 이어지기 위해서는 특정 자원에 대한 국민의 수요 또는 공급을 조사해야 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일반적인 품목을 확실히 조사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공식적인 생산 과정이 공식화되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기도 하다. 생산 및 자원 할당에 관한 책임을 가진 지방의 공공 단체는 계획 경제를 수행하기 위한 생산 요소를 할당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전력을 준비해놔야 하며 엄격한 경제의 유통 체제 감독을 해야 한다. 계획 경제의 가장 광범위한 형태는 [[지령 경제]]로 지칭된다.<ref>[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127708/command-economy 경제학 관련 홈페이지1]</ref> 이러한 계획 경제체제에서는 정부 또는 주의 역할이 매우 중요시된다. 계획 경제는 생산, 유통 또한 그에 따른 적당한 가격 책정 및 국외 투자 결정은 거시 경제 계획에 따라 각자의 이익보다는 국가 자체의 이익을 중요시하며, 그에 따라 타국의 자율적 기업에 의해 만들어진 시장 경제와 제안된 자기 관리 경제 등 계획되지 않은 경제 체제와도 상호 협력을 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를 간혹, '시장 계획 경제' 정책이라고도 한다. [[베트남]]의 [[도이 머이]] 정책과 [[중국]]의 중국식 시장사회주의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ref>이 항목은 대니 미어스의 《Construction Economics》를 참조하라.</ref><ref>이 항목은 존 바클리의 《Comparative Economics in Transforming World Economy》를 참조하라.</ref>
 
계획 경제는 국유화된 국영 기업, 협동 기업, 국가가 감독한 민간 기업 유형의 조합으로만 구성 할구성할 수 있다. '계획 경제'와 '지령 경제'종종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지령 경제는 사유 산업지가 허용되며 민간 기업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 대한 계획을 각 산업지에 지령하지만 가격 책정, 자원의 분배까지 나아가 계획하지 않는다. 지령 경제는 다양한 규제의 유형을 철저하게 실행한다. 그리고 '계획 경제'의 경우는 정부가 모든 산업지를 소유하며 제어, 생산, 유통, 가격 등을 모두 조절하는 경제 체제이다. [[동구권]], [[아프리카]] 등등의 수많은 정부가 계획 경제를 통해 국가 연장선을 지켰지만,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에 [[소련 붕괴]]의 조짐이 보이고 나서 부터 계획 경제와 일부 혼합한 [[시장 경제]]화를 시작하게 되었으며, 대표적으로는 [[중국]]과 [[라오스]], [[베트남]]이 있다. 다만 [[쿠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벨로루시]]는 아직 계획 경제 체제를 사용하고있다.<ref>이 항목은 브란반트의 《The Planned Economies and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를 참조하라.</ref>
 
=== 계획 경제와 지령 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