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현왕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9번째 줄:
 
===갑술환국과 복위===
폐출된 지 5년이 지난 후인 [[1694년]] 4월 1일, 숙종이[[숙종]]이 남인들을 몰아내고 서인들을 기용하여 정권을 교체하였는데 이를 [[갑술환국]]이라 한다. 하지만 이 당시 숙종은 폐인(민씨)를 신원하는 자는 역률로 다스린다는 명을 내려 왕비를 교체할 마음이 없음을 선포했다. 하지만 4월 9일, 숙종은 마음을 바꾸어 민씨를 서궁으로 이전해도 좋다는 명령을 내렸고, 4월 12일 서궁으로 입거한 그녀에게 왕비 복위령이 내려졌다. 동시에 왕비였던 장씨는 국모가 둘일 수 없다는 이유로 왕비의 아래 지위인 빈으로 강등되어 본래의 희빈의 작호를 돌려 받았다.
 
이에 대해 서인이 다시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되었는데, 애초 노론은 폐비 민씨의 복위를 주장하였던 반면에 소론은 장씨의 왕후직을 그대로 둔 채 궐 밖 사가에 거주 중인 민씨가 궐 내 서궁에 입주하기만을 주장하였던 탓이다.<ref>숙종실록 20년(1694 갑술 / 청 강희(康熙) 33년) 4월 1일(무진) 2번째기사 ‘노당은 폐비를 복위시키려 하고, 소당은 폐비를 별궁(別宮)에 옮기려 한다.’</ref> 숙종의 명이 번복되자 병조판서 [[서문중]]과 이조참판 [[박태상]] 등의 소론 거두들은 민씨가 먼저 왕비였고 더 오래 왕비의 자리에 있었지만 세자의 어미인 장씨가 더 귀하니 장씨가 강등되고 민씨가 복위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였고<ref>숙종실록 20년(1694 갑술 / 청 강희(康熙) 33년) 4월 12일(기묘) 6번째기사 </ref>, 정원(政院)은 조정백관과 신중히 공론을 한 후에 결정지어질 때까지 명을 받들 수 없다는 거부의사를 표명했다.<ref>숙종실록 20년(1694 갑술 / 청 강희(康熙) 33년) 4월 13일(경진) 2번째기사 </ref> 뒤이어 우의정 [[윤지완]], 공조판서 [[신익상]], 한성부우윤 [[임상원]], 병조참의 [[이유]] 등의 소론의 대표 인물들이 줄을 이어 사직상소를 올리는<ref>승정원일기 숙종 20년 4월 16일 (계미) 원본356책/탈초본18책</ref> 등 강경한 거부 의사를 보여 [[갑술환국]]이 있기까지 합심하였던 노론과 소론이 강하게 대립하게 되었다..<ref group="주석">숙종실록에는 소론의 반발과 윤지완 등이 단체로 사직 상소를 올린 기록이 완전히 누락되어 있고 승정원일기에서만 확인이 가능하다. 대신 숙종실록에는 '거칠고 학식이 없어 무식한 소수의 무리(서문중, 윤지완 등을 지목함)'가 '의리가 어두워지고 윤리를 잃어' '뒷날의 화복(세자의 즉위)만 생각하고', '흉당(남인과 희빈)에 아부하였다.', '사람들이 손가락질하고 더러워했다.'는 표현을 수차례 반복해 다른 기사에 나누어 실었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