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학사사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File:KAOCS 1 1.JPG|thumb|250px|right|창설기 학사사관 1기생 훈련모습]]
[[File:KAOCS 14.jpg|thumb|250px|right|최근의 학사사관 훈련모습]]
학사장교는 [[1980년대]] [[대한민국]]의 대내외적 안보환경이 불안했던 시기,''' '문무를 겸비한 장교'''' 양성을 기치로 1981년 [[육군 학사장교|학사사관]] 제도가 창설되었다. 이에 전투병과 위주의 정예 간부 629명이 학사 1기로 광주 상무대에서 임관하였다. 학사 2기부터는 생도과정이 폐지된 육군3사관학교에서 장교양성교육을 받고 임관하게 되었으며, 80년대 중순부터는 [[군장학생]] 제도를 도입하여 매년 2개 기수씩 임관하였는데, 전반기에 임관하는 '홀수 기수'와 후반기에 임관하는 '짝수 기수'로 나누어 졌고 행시, 외시, 기시 출신자 및 군장학생은 전반기에 입대하였다. 2010년이후 연 1개기수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육군 학사장교는 2011년 까지 [[육군3사관학교]]에서 16주 간의 장교양성 과정을 이수하고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2012년 부터는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장교양성교육을 받고 임관하고 있다. [[2013년]]까지 총 58개 기수, 45,446명의 정예 장교가 학사사관 과정으로 배출되었다. 2013년 현재 2명의 장성([[정현석 (군인)|정현석]] 준장(학사3기), [[이상윤 (군인)|이상윤]] 준장(학사6기))을 배출하였다.
 
=== 학사장교의 진출현황 ===
37번째 줄:
== 선발 제도 ==
=== 선발 ===
[[육군 학사장교|학사사관]]의 경우 4년제 대학교 졸업자(예정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 소지자(예정자)로서 임관일 기준 만 20~27세의 남성 사관후보생을 선발하고 여군사관은 4년제 대학교 졸업자(예정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 소지자(예정자)로서 임관일 기준 만 20~27세의 여성 사관후보생을 선발하며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육군 학사장교|학사사관]]과 여군사관이 함께 입교하여 교육을 실시한다. 국가고시 합격자와 박사과정 수료자는 만 29세까지 지원할 수 있다. 군의/수의사관, 전문사관, 간부사관, 법무사관, 군종사관, 준수사관 등은 각 과정별로 학력 지원자격 등 상이한 선발기준과 교육기간을 가지고 있으며 별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임관한다.
 
=== 제도의 변천 ===
44번째 줄:
* 학사사관의 군장학생은 임관구분을 최초 홀수기수로 배정 했으며 단기복무장교는 주로 짝수기수로 배정되었다. 현재는 년 1개기수의 학사사관 통합기수로 재조정된 상태이다. [[학군사관]]과 같이 대학생활과 군사훈련의 병행을 원하지 않으면서, [[장교]]로서 군복무를 희망하는 자원을 위하고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가 아닌 일반 4년제 대학교 재학생에게 학비전액을 지원하므로 장차 고급장교로 활용이 가능한 우수자원을 조기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 [[육군 학사장교|학사사관]]의 군장학생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으로 많은 학사사관 출신장교들이, 군에서 주요 보직과 업무에 근무하고 있으며, 원활하고 안정적인 중대장, 대대장 및 연대장요원 수급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2010년 육군학사사관 출신장교중에서도 장군 진급자가 배출됨으로써 계속해서 장군 진급자 다수를 배출할 것으로 본다. 이는 미국(OCS)과 마찬가지로 정규4년제 대학 출신 육군학사장교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됐음을 의미한다. 또한 국방부는 대학 재학생중에서 우수자원을 사전에 확보하기 위해 학사예비장교 후보생 및 군사학과 졸업생 확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기타 ===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2012년 이후 [[간부사관]]은 [[육군 학사장교|학사사관]]으로 통합될 예정이다. 군의 한 관계자는 "간부사관 정원을 100명가량 줄이는 대신 학군 및 학사장교의 [[군장학생]]을 400명가량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일반대학의 군사학과 출신 임관자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학군장교 등 20개에 이르는 [[장교]] 양성 과정을 통폐합해 8개로 줄이는 방안을 국방개혁기본계획에 포함시켰다. 이 방안에 따르면 [[군의관|군의]], [[군법무관|법무]], [[군종장교|군종]], [[교수]], [[통역장교|통역]] 등 특수 직역의 간부를 선발하는 11개 [[특수사관]] 선발 과정은 '전문사관'으로 통합된다.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는 또 학군사관, [[학사사관]], [[여군사관]], [[간부사관]]의 4개 선발과정을 2개(학사 및 학군사관)로 통폐합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907/h2009072402524191040.htm 한국일보 : 육해공 3軍사관학교 통합 안한다)</ref>
 
== 교육과 임관 ==
71번째 줄:
[[File:KAOCS_4.jpg|thumb|250px|right|육군학사장교 임관식]]
각군 양성과정의 전 장교와 부사관 후보생을 대상으로 임관종합평가가 실시되며, 예외적으로 특수사관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훈육목표와 중점이 양성과정에 따라 상이한 점에서 기인한다.<ref>(http://www.armyofficer.mil.kr/leftmenucontext/hunyukmokpyo.html 육군 학생군사학교 - 훈육목표 및 중점)</ref>
* [[육군 학사장교|학사사관]], [[여군사관]]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일반과정'의 훈육목표는 '올바른 가치관과 지휘력을 갖춘 장교 양성'이며 중점은 다음과 같다.
** 장교로서 올바른 가치관과 품성 배양
** 군인기본자세 확립
84번째 줄:
 
=== 진급 ===
[[육군 학사장교|학사사관]] 양성과정을 받고 임관한 장교는 학사장교로 분류되어 단기자원은 3년, 군장학생 출신은 장학금 수혜기간에 해당하는 복무연장 근무후 대부분 전역을 하고 있으며 우수한 인원 중 장기 복무자로 선발될 경우 영관급, 장성급 장군으로 진급하여 복무할 수 있다. 학사 3기로 임관한 [[정현석 (군인)|정현석]] 준장과 항공병과 장군인 학사6기 [[이상윤 (군인)|이상윤]] 준장이 유명하다.
 
== 주요 출신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