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 보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robot Adding: es:Corrección gamma
내용정리
1번째 줄:
'''감마 보정'''({{llang|en|gamma correction, gamma compensation}})은 어떤 이미지를 다시 보여 주는 장치나 수단을 사용할때 원래의 이미지를 가능한 원래 그대로 보여주기 위해 사람의 눈의 생리적 특성과 장치, 수단이 가지고 있는 물리적 특성을 감안하여 차이를 줄이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비디오 카메라]], [[컴퓨터 그래픽]] 등에서 [[비선형]] [[전달 함수]](nonlinear transfer function)를 사용하여 [[빛]]의 강도(intensity) 신호를 비선형적으로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이는 감마재현을 보정(gamma위해 correction)이란사용되는 용어가모니터 널리디스플레이같은 쓰이나,기기의 대부분의특성에 경우의한 감마차이를 부호화(gamma줄인다. encoding)란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기계나 전달 수단간의 차이에 의해 같은 이미지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표현이없앨 적절하다있다.
 
하지만 예술적 표현을 위해 일부러 이러한 감마보정 기술을 이용하여 작가가 표현하기 원하는 형태로 바꾸는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감마보정'(gamma correction)이란 용어가 널리 쓰이나, 대부분의 경우 감마 부호화(gamma encoding)란 표현이 더 적절하다.
 
비선형 전달 함수는 보통 다음과 유사하며, [[감마]]( γ, gamma) 값으로 그 특성이 결정된다.
줄 12 ⟶ 16:
 
== 감마 보정의 목적 ==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한다. ([[청각]]과 같은 다른 [[감각]]들도 자극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한다.) 이 때문에, 채널 당 8 bit와 같이 비교적 한정된 bit depth가 주어졌을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bit depth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선 Rec. 709 transfer function과 같은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비선형적으로 부호화해야 한다.
 
줄 18 ⟶ 21: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gamma compensation)이란 용어는 비선형 부호화의 목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오해의 여지가 많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감마 보정은 [[CRT]] 등 출력 장치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오해를 한다. 실제 목적은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려는 것이므로, 많은 경우 감마 부호화(gamma encoding)라는 표현이 더 적합하다.
 
== 감마 보정에 대한 오해 ==
 
* 감마 보정은 [[CRT]]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 감마 보정을 통해 비선형적으로 부호화하는(nonlinear coding) 주된 이유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대응하여, 주어진 bit depth 하에서 최대한 좋은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 이다. [[CRT]]의 비선형성은 감마 보정의 주된 이유가 아니다.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