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섬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알맞는→알맞은
2번째 줄:
 
== 개요 ==
재생섬유이든 반합성섬유이든, 원료 셀룰로오스나 단백질은 이미 길다란 쇄상고분자(鎖狀高分子)이며, 그 형태를 바꾸거나 필요에 따라 분자를 가공하여 섬유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이와는 달리 조그만 분자를 처음부터 서로 연결시켜 커다란 고분자로 만들고 섬유가 되게 한 것이 합성섬유이다. 이처럼 진정한 의미로서의 합성섬유는 [[나일론]] 합성에서부터 시작되어, 그 후 [[비닐론]] 등과 같은 합성섬유가 잇달아 탄생되었다. 이들 섬유를 만드는 분자는 플라스틱 항(項)에서 관찰된 바 있는 것이 많음을 알게 될 것이다. 사실 어떤 것은 플라스틱 항에서 예시(例示)한 고분자와 동일한 것이 섬유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면 섬유로서 사용되려면 어떤한 성질을 필요로 하는가를 생각해 보자. 플라스틱으로 쓰이는 쇄상고분자는 상온(常溫) 부근에서는 고체나 액체라고도 할 수 없는 이른바 유리상(glass 狀)으로서, 온도를 올리면 점점 유동화(流動化)하여 변형시킬 수 있는 성질이 요구되는 것은 이미 밝혔다. 섬유가 될 자격으로서 쇄상고분자에 요구되는 점은 용융(溶融)·용해되고, 가는 구멍으로 밀어내 가는 실의 형(型)으로 가공하기 쉬워야 한다. 또한 만들어진 가는 실은 잡아당겼을 때에 늘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거기에 흡습성(吸濕性)·착색성(著色性)이 좋을 것 등도 요구된다. 특히 잡아당겼을 때에 알맞는알맞은 탄력과 항장력(抗張力)을 지니는 것은 중요하며, 결정성(結晶性)이 좋은 것이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으로 쓰이는 폴리펩티드·폴리염화비닐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결정성(結晶性)이 좋은 것이 섬유로서 쓰인다. 즉 용해해서 가는 구멍으로부터 가는 실로 밀어내어져 응고할 때, 쇄상고분자가 적절하게 배열됨으로써 분자 사이에서 결정을 만들게 됨에 따라 항장력을 갖게 되는 것이 섬유로서 쓰인다. 이것은 이미 폴리에틸렌의 항에서 결정성 폴리에틸렌은 섬유로 만들어지지만 비결정성(非結晶性)폴리에틸렌은 필름(film)으로 쓰인다고 말한 그대로이다. 나일론이든 테트론이든 그 종류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쓰이냐 섬유로서 쓰이냐는 이들 분자구조(分子構造)와 분자의 결정성(結晶性)을 만들기 쉬운 정도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다. 이것은 천연의 셀룰로오스에서도 미셀(micelle)이라고 하는 결정을 만들고 있는 것과 같다. 그러나 섬유의 전체가 한결같이 이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졌다고 가정하면 섬유는 너무 굳어서 구부러질 수가 없으며 뻣뻣한 것이 될 것이다.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섬유는 이 같은 결정구조를 가진 부분과 그것이 여러 가닥으로 풀린 유연(柔軟)한 부분이 알맞는알맞은 비율로 존재하고 있다. 즉 결정구조에 따라 어느 정도의 섬유로서의 강도(强度)를 부여하고 있으며, 유연한 부분이 있음으로써 부드러운 성질이라든가 흡수성(吸水性)·구부러지기 쉬운 성질 등을 갖고 있다.
 
==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