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림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opektro (토론 | 기여)
잔글 불필요한 링크 해제
29번째 줄:
미림(美林)팀은 1960년대 중반 [[중앙정보부]]가 정치인 등 주요 인사들의 동향 파악을 위해 운영하던 정보 수집팀의 별칭으로 미림이라는 팀명은 고급 술집의 마담 등을 협조자(속칭 '[[망원]]')로 활용한 데서 비롯됐다. 내부적으로는 '여론조사팀'이 공식 명칭이었다. 그러나 [[안기부]]내의 직원들 중에도 '여론조사팀'의 존재 여부를 모르는 직원들도 존재하였다.
 
[[안기부]]는 [[노태우 정부]] 말인 [[1991년]] 9월 공운영을 팀장으로 조직을 정비하면서 [[도청장비]]를 이용한 [[첩보수집]]에 들어갔으나 대통령 선거 직전인 [[1992년]] 12월 보안 문제 등 때문에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이어 [[문민정부]] 출범 이후인 [[1994년]] 6월 2차 미림팀으로 재건돼 [[1997년]] 11월까지 활동했다.<ref name="miriness"> {{뉴스 인용 | 제목 = 미림팀 도청 자료, 대통령에게도 보고 | url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65695 | 언론사 = 중앙일보 | 기자 = 조강수 | 쪽 = | 작성일자 = 2005.12.15 | 수정일자 = 2006.05.11 }} </ref> [[검찰]]은 2차 미림팀이 활동한 3년 5개월 동안 하루 1개, 일주일에 5개씩 모두 1000여 개의 불법 도청 테이프가 생산된 것으로 추산했다. 미림팀의 도청 대상은 [[여야]] 최고위 [[정치인]], [[언론사주]], [[청와대]] 수석, [[국무총리]], [[보안사령관]], [[참모총장]] 등이 망라되었다.<ref name="miriness"/>
 
=== 운영 ===
미림팀은 [[안기부]]내에서도 극소수의 인물만 알고 있었던 비밀조직망. 김영삼 정부시절에 활동을 해왔으며 97년 대통령 선거전이 치열할 때 가장 활발하게 운영된 것으로 알려졌다.<ref name="puseg">[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sectionId=1010030000&subSectionId=1010030000&newsId=20050722000014 <nowiki>[</nowiki>안기부 불법도청 테이프 파문<nowiki>]</nowiki> 미림팀은 어떤 조직] 부산일보 2005.07.22</ref> [[안기부]] 내부의 업무는 부서끼리 서로 교류하고 인사 발령 등을 통해서 정보를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림팀의 존재와 활동은 안기부 내에서도 일부만이 알고 있었고, [[안기부]]의 직원들 조차도 미림팀의 존재를 언론 발표 이전까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극비조직인만큼 [[팀장]]을팀장을 4급 [[서기관]]으로 해서 2~3명 등 소수로 운영됐으며 이른바 '망원'(일반인 정보협조자)을 활용해 도청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주로 도청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유력인사들의 단골 술집과 밥집을 미리 파악한 뒤 도청기를 설치해 바로 옆방이나 건물주변에서 도청을 해왔다.<ref name="puseg"/>
 
== 도감청 활동 ==
104번째 줄:
 
=== 보고 라인 ===
미림팀의 도청 정보는 일반적으로 팀장인 공씨→과장→부국장→국장으로 이어졌다. 그 뒤 국장이 보고서의 내용에 따라 배포할 곳을 정하고 봉투에 ‘엠(M·미림팀의 이니셜) 보고’라고 쓰고 밀봉한 뒤 안기부장과 차장에게 전달했다.<ref name="doors"/> [[2005년]] [[12월 14일]] [[서울지방검찰청]] 발푱[ 의하면 당시 [[김덕]] [[안기부장]]과 [[황창평]] 차장은 [[보고서]]를 받은 사실을 부인하고 있지만 [[권영해]](68) [[안기부장]]은 인정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검찰은 “시기에 따라 보고 방식은 일정하지 않으나 어떤 형태로건 [[안기부장]]과 [[안전기획부 차장|차장]]에게 보고됐다”고 밝혔다.<ref name="doors"/>
 
미림팀 도청 정보는 안기부 차장들을 통해 [[김현철]]과 [[이원종]] 정무수석에게 전해졌다.<ref name="doors"/> 이는 국장 혹은 안기부장, 차장이 전달하는 형식이었다. 사안에 따라서는 국장이 안기부장이나 차장에게 보고하지 않고 직접 들고 와서 이원종 수석이나 김현철, 혹은 대통령 비서실 등에 전달되었다. [[김현철]]은 도청 정보를 보고받은 것을 부인했으나, 이 수석은 “김현철씨가 나에게 정치인들의 대화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를 보내준 일이 있다”고 진술했다.<ref name="doors"/> 오정소 차장도 “내가 미림팀을 관장하는 동안 녹취보고서를 토대로 필요한 내용을 몇 차례 김현철씨에게 보고한 사실이 있다”고 말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이 수석은 오정소씨가 차장에서 물러난 뒤 임아무개 2국장으로부터 보고를 받았다.<ref name="doors"/>
124번째 줄:
[[1995년]] 당시부터 일부 [[안기부]] 퇴직자들이 테이프 등으로 기업인 혹은 반대파 인사를 협박하는 일이 있어 물의를 빚어왔다. 그런데 [[1998년]] 공운영은 [[국정원]]에서 면직(免職)당하게 된다. 이에 동료 임모를 통해 소개받은 재미교포 박인회에게 문제의 도청테이프를 전달한다.(전달한 동기에 대해서는 당사자간 의견이 갈린다)<ref name="inhoi"> {{뉴스 인용 |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0067812 | 출판사 = 오마이뉴스 | 제목 = <nowiki>[</nowiki>일지<nowiki>]</nowiki> 안기부 '미림팀' 결성에서 검찰 수사까지 | 작성 일자 = 2005-07-28}} </ref> 공운영이 박인회에게 건넨 테이프들 중에는 일부 재벌과 정치인, 정경유착과 재벌, 정치인들의 축재, 뇌물, 접대 등 다양한 정보들이 담겨 있었다.
 
한편 안기부 퇴직자들이 테이프로 기업인들을 협박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를 이용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났다. 공운영에게 일부 테이프를 건네받은 재미교포 박인회는 [[1999년]] [[이학수]] 당시 [[삼성그룹]] 구조조정본부장 등 삼성 관계자들을 수차례 만나 거액의 금품을 요구하였으며, [[김대중 정권]]의 실세였던 [[박지원]]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에게도 녹취록을 전달한다.<ref name="inhoi"/> [[삼성]]은 박인회의 거액의 금품 제의를 모두 거절하였다. 삼성의 제보를 받은 [[천용택]] 당시 [[대한민국 국가정보원|국정원장]]은 [[국정원]] [[감찰]]실에감찰실에 X파일 회수를 지시하기도 하였다.<ref name="inhoi"/>
 
x파일로 인하여 아무런 이득을 취할 수 없을을 인지한 박인회는 [[2004년]] 10월, 이상호 MBC 기자에게 X파일의 실체를 제보한다. 이들의 만남은 [[2004년]] 12월 말에서 [[2005년]] 1월 초 이상호 기자가 [[미국]]에 취재출장을 가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결국 이상호 기자는 미국출장 중 박인회와 접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안기부]] 도청테이프 원본을 입수한다.
138번째 줄:
사건 이후 미림팀의 각종 정치, 언론, 관계, 여야 인사 도청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안기부]]의 불법 도감청 문제에서 [[삼성그룹]]의 운영 상 부조리와 비자금 문제로 주제가 바뀌게 되었다.
 
이에 대해 당사자인 [[이학수]]와 [[홍석현]]은 [[문화방송]]을 상대로 테이프 관련 내용을 일체 보도하지 말 것을 내용으로 하는 [[방송금지 가처분신청]]을가처분신청을 하였고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가처분결정을 내렸다. [[MBC]]는 당일 [[MBC 뉴스데스크|뉴스데스크]]를 통해 당사자들의 실명을 거론하지 않고 모 중앙일간지 사주와 대기업의 고위관계자라는 내용의 뉴스를 보도 하였다. 그 후 다른 [[언론기관]]이 가처분결정에서 거론 되지 않은 녹취보고서 3장을 토대로 실명을 직접 거론하는 보도를 하게 되자 [[MBC]]는 다음날인 [[2005년]] [[7월 22일]]부터 27일까지 X파일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보도하게 되었다.
 
== 도청 테이프 압수 ==
145번째 줄:
압수된 도청테이프에 등장하는 도청 피해자는 646명이었고, 내용은 대선 동향과 정당활동 등 정치권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확인됐디.<ref name="daethong"/> 누군가에 의해 MBC 방송국과 언론에 테이프가 유포되었는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테이프의 존재와 일부 내용을 보도한 언론사와 방송사들에게는 압력이 가해져 논란거리가 되기도 했다. 검찰은 불법도청의 결과물임을 알고도 보도한 것은 실정법 위반이라며 MBC 이상호 기자와 월간조선 김연광 편집장을 불구속 기소했다.<ref name="daethong"/> 첫 유출 이후 1만여 건의 녹음 테이프들이 돌아다녔고, 테이프들은 대부분 압수되었다. 나중에는 공운영 팀장도 일부 내용을 유출시켰다. 공운영 전 미림팀장이 유출한 도청테이프 274개에는 정치인 273명과 고위 공직작 84명 등 주요인사 646명이 도청됐고, 내용별로는 대통령 선거 관련 동향과 대책과 정당활동에 관한 사항이 300여건으로 가장 많았다.<ref name="docsaci"/>
 
그러나 [[삼성 X 파일X파일 사건]]이 대대적으로 터지면서 [[안기부]]의 불법 도감청행위는 묻히게 된다. [[12월 14일]] [[검찰]] 도청수사팀은 불법도청 및 X파일 수사결과를 발표하였다.
 
== 파장 ==
155번째 줄:
 
== 논란 ==
[[민주주의]]를 지향한 정부의 행동이라는 점, 군사 정권과 독재정권에 대한 비판과 동시에 [[역사바로세우기]] 등을 추진하던 [[문민정부]]가 행했다는 점에서 많은 논란과 비판을 불러오고 있다.
 
=== 대통령 보고 논란 ===
미림팀이 입수한 정보가 어느 선까지 올라갔느냐에 대한 것도 수사 당시 쟁점이 되었다. 미림팀이 작성한 보고서가 누구 선까지 도달했는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김영삼]]의 측근인 [[박종웅]]은 [[2005년]] [[7월 22일]] '도청에 대해서는 안기부에서 한 일이라 사실 여부를 알 수 없다"면서도 "한 가지 확실한 것은 YS는 그런 보고를 받지도 않았고 받으려하지도 않았다는 것"이라고 연계성을 부인했다.<ref name="julsim"/> 그러나 [[서울중앙지검|서울지검]]의 수사 결과 [[안기부]] 도청조직 미림팀의 불법도청 내용은 당시 김영삼 대통령에게까지 보고되었다. 다만 보고서는 첩보를 종합한 정제된 형태로, 대통령은 도청에 의한 자료인지 인식할 수 없었다는 단서를 달았다. 하지만 불법 정보가 정치 권력의 최상부에서 활용됐다는 것만은 확인된 셈이었다.<ref name="daethong"/>
 
[[안기부]]에서 획득한 이 정보는 [[김영삼]] [[대통령]] 외에도 [[이원종]]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과 [[김현철]], 일부 [[김영삼]]의 측근들에게로도 흘러들어갔다. 이 정보는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 씨와 이원종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 등의 실세에 보고돼 정치에 활용되었다.<ref name="daethong"/> 수사 결과 이들은 불법 정보라는 것은 제외하고 [[김영삼]]에게 보고되었다.
173번째 줄:
 
=== 기업체 협박 논란 ===
미림팀의 도청 테이프가 유출되었는 과정에서 일부 전직 직원들이 테이프 내용을 미끼로 재벌이나 정관계 인사들을 협박하는 일도 발생하였다. [[2005년]]에도 [[삼성 X 파일X파일]] 테이프의 유출 과정에 대해 일각에서는 퇴직한 안기부 직원이 테이프를 들고 나가 이를 미끼로 삼성에 수억원을 내놓으라고 협박했다는 의혹이 거론되고 있다.<ref name="mijae"/> 안기부 전직 직원은 [[삼성]]에 돈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삼성은 이를 무시하고 [[안기부]]에 신고했지만 결과적으로 테이프가 외부에 흘러나간 계기가 됐다는 것이다.<ref name="mijae"/>
 
== 국정원 도청사건과의 비교 ==
180번째 줄:
[[안기부]]와 [[국정원]]이 수집한 도청 정보를 유통하는 체계도 매우 흡사했다.<ref name="dochchong"/> 안기부의 경우 도청 시작은 과학보안국이 도청 대상자 명단과 회합 장소 등을 수집하는데서 출발한다. 이를 총괄하는 4국장에게 서면 또는 내부 [[통신망]]을 통해 회합 장소를 알려 주면 미림을 총괄하는 국장이나 과장이 미림팀장인 공운영에게 [[도청]]을 지시한다.<ref name="dochchong"/> 이후 미림팀이 [[도청]]을 통해 얻은 정보는 국장이 보고서의 내용에 따라 배포선을 정한 후 보고서를 만들어 밀봉, 'M보고'라는 별칭으로 [[안기부]]장 [[비서]]실, 국내담당 차장 보좌관실 등에 배포된다.<ref name="dochchong"/>
 
국정원 역시 도청 정보를 '[[통신첩보]]'라는 제목으로 밀봉해서 A·B·C급으로 구분한 뒤 국정원장이나 차장에게 배포한 것으로 밝혀진 만큼 사실상 거의 동일한 셈이다. 하지만 이번 검찰 수사를 통해 미림팀의 도청 정보가 보고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된 정황은 포착된 데 반해 [[국정원]]의 불법[[감청]]으로 얻은 정보가 정치권 등에 빠져나간 단서는 잡히지 않았다.<ref name="dochchong"/>
 
== 관련 항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