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Astor/작업장3: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stor (토론 | 기여)
Astor (토론 | 기여)
177번째 줄:
* {{언어고리|en}} [http://www.usno.navy.mil/USNO/astrometry/optical-IR-prod 미해군 천문대의 측성 목록 및 관련 결과물]
* {{언어고리|en}} [http://astrometry.net/ Astrometry.net]
 
 
 
 
{{Astronomy subfields|state=uncollapsed}}
{{Astronomy천문학 navbox}}
 
[[Category:위치천문학| ]]
줄 188 ⟶ 185:
 
 
19세기 중엽에는 베셀이 항성의 연중 미세한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최초로 항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곧 우리 은하의 크기 그리고 전체 우주의 크기를 정하는 밑바탕이 되었습니다. 현대천문학에서 위치천문학의측성학의 주요 연구 분야는 항성의 정밀한 삼각시차와 고유운동 측정에 의한 우주의 거리척도 확립, 그리고 가시광선과 전파방출 천체를 통합한 정밀한 관성좌표계 구현 등을 들 수 있습니다있다.
http://www.bongkim.com/bongkim/skin/board/b_webzine/print.php?bo_table=b04_17&wr_id=19
 
 
 
위치천문학의 과거에 대표적인 선두자로 16세기에 티코 브라헤라는 사람을 뽑을 수 있습니다. 그의 정밀한 태양계 천체위치 측정성과를 바탕으로 요아네스 케플러는 행성의 운동을 태양을 중심으로 한 타원궤도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곧 뉴턴의 만유인력법칙 발견으로 이어졌다. 이것이 바로 위치천문학이 천체역학을 탄생시킨 것입니다.
 
19세기 중엽에는 베셀이 항성의 연중 미세한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최초로 항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곧 우리 은하의 크기 그리고 전체 우주의 크기를 정하는 밑바탕이 되었습니다. 현대천문학에서 위치천문학의 주요 연구 분야는 항성의 정밀한 삼각시차와 고유운동 측정에 의한 우주의 거리척도 확립, 그리고 가시광선과 전파방출 천체를 통합한 정밀한 관성좌표계 구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위치천문학의 분야
위치천문학의 주요분야로는 구면천문학(球面天文學:spherical astronomy)과 측지천문학(側地天文學:geodetic astronomy)을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천체의 위치는 지구운동 때문에 나타나는 빛의 속도와의 복합효과인 광행차(光行差)나 태양이나 행성의 외력(外力) 때문에 지축이 이동하는 현상인 세차(歲差) 운동, 지구자전축의 주기적인 변화인 장동(章動) 운동 때문에 계속적으로 변화합니다. 그러므로 천체의 정확한 위치는 이런 모든 것들을 고려해서 보정해준 후에야 가능한데 이런 분야를 구면천문학에서 다룹니다.
 
그리고 측지천문학은 측지학 분야에서도 기하학적 측지학에 속하며 PZT(polar zenith telescope)를 써서 자오선을 지나는 별을 관측함으로서 정확한 시간의 측정, 3차원 위치의 결정등을 하는 위치천문학 분야입니다.
 
천체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분석하는 천문학의 한 분야. 위치천문학이라고도 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측성학은 가장 오래된 천문학 분야로서 천체위치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책력을 만들고 시각을 측정하는 등 실용적인 필요에 의해 연구가 촉진되었다. 측성학 연구의 주요 대상인 태양계 천체위치측정은 천문학사에서 근대적인 우주관 형성과 천체역학 탄생에 큰 역할을 하였다. 16세기에 T.브라헤에 의해 이루어진 정밀한 태양계 천체위치 측정성과를 바탕으로 J.케플러는 행성의 운동을 태양을 중심으로 한 타원궤도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곧 뉴턴의 만유인력법칙 발견으로 이어졌다. 19세기 중엽에는 베셀이 항성의 연중 미세한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최초로 항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었다. 이는 곧 우리은하의 크기 그리고 전체 우주의 크기를 정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현대천문학에서 측성학의 주요 연구 분야는 항성의 정밀한 삼각시차와 고유운동 측정에 의한 우주의 거리척도 확립, 그리고 가시광선과 전파방출 천체를 통합한 정밀한 관성좌표계 구현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