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황제펭귄 (토론 | 기여)
111번째 줄:
 
=== 미하엘리스 - 멘텐 식 ===
이것을 {{본문|미하엘리스-멘텐 식이라 한다.식}}
[[파일:Michaelis-Menten saturation curve of an enzyme reaction.svg|thumb|350px|right|효소 반응시 기질농도에 따른 초기속도의 의존성]]
 
[[미하엘리스-멘텐 식]]은 [[정류 상태 근사법]]을 이용하여 효소 반응의 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미하엘리스 - 멘텐 식을 이용하여 기질농도에 따른 초기속도의 그래프를 대수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ref>{{cite journal|author=Michaelis L., Menten M.|year=1913|title=Die Kinetik der Invertinwirkung|journal=Biochem. Z.|volume=49|pages=333–369}} [http://web.lemoyne.edu/~giunta/menten.html English translation]. Retrieved 6 April 2007.</ref>
다음 식을 살펴보자. (<math>k_{1}</math>, <math>k_{-\!1}</math>,<math>k_{2}</math> : 속도상수)
 
<math>
E + S
\begin{matrix}
k_1 \\
\longrightarrow \\
\longleftarrow \\
k_{-1}
\end{matrix}
ES
\begin{matrix}
k_2 \\
\longrightarrow\\
\
\end{matrix}
E + P
</math>
 
ES의 생성과 분해에 대한 반응 속도는 다음과 같다.
 
ES 생성속도 : <math>k_{1}</math> ([<math>E_{t}</math>]-[ES]) [S] (<math>E_{t}</math> : 효소의 전체 농도)
ES 분해속도 : <math>k_{-\!1}</math> [ES] + <math>k_{2}</math> [ES]
 
반응의 초기에 [ES]의 생성속도와 분해속도는 같게 된다. 이를 항정상태라 하며 다음과 같은 식이 유도된다.
 
<math>k_{1}</math> ([<math>E_{t}</math>]-[ES]) [S] = <math>k_{-\!1}</math> [ES] + <math>k_{2}</math> [ES]
 
 
이 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ES] = <math> {[E _{t} ][S]} \over {[S] + {(k _{2} +k _{-1}) } /{ k _{1}}} </math>
 
여기서 (<math>k_{2}</math> + <math>k_{-\!1}</math>)/<math>k_{1}</math> 을 미하엘리스 상수라고 정의하고 <math>K_{m}</math>으로 나타낸다.
 
이것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다.
[ES] = <math>{[E _{t} ][S]} \over {[S]+K _{m}}</math>
 
초기 속도 <math>V_{0}</math>=<math>k_{2}</math>[ES]이므로 이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math>V_{0}</math> = <math>{k _{2} [E _{t} ][S]} \over {K _{m} +[S]}</math>
 
기질 농도가 증가하여 더 이상 반응할 효소가 남지 않을 때, 즉 [<math>E_{t}</math>]=[ES]일 때 반응은 최대속도 <math>V_{max}</math>가 되고 <math>V_{max}</math>=<math>k_2</math>[<math>E_t</math>]이므로
 
다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math>V_0</math> = <math>{V _{max} [S]} \over {K _{m} +[S]} </math>
 
이것을 미하엘리스-멘텐 식이라 한다.
 
== 효소의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