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쇼 데모크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r.SamA (토론 | 기여)
용어정정
22번째 줄:
[[러일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일본에서는 [[1905년]] 도쿄에서 [[중국동맹회]]가 결성되는 등 자유 민주주의의 쟁취를 목적으로 하는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한편 자본주의가 급속히 발전하여 시민계급이 성장하기 시작하여, 일본시민들도 정치적, 시민적 자유를 자각하였다. 그리하여 각종 과제를 내건 자주적인 집단이 설립되어 자유와 권리의 쟁취, 억압으로부터의 해방등에 소리를 높이는 시대적 배경이 가능해졌다.
 
이 상황에서 [[1911년]] 중국에서 [[신해 혁명]]이 발발하여,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건국되었다. 중국정세의 혼란을 틈타, 세력확장의 호기라고 판단한 육군대신 [[우에하라 유사쿠]]는 당시 제3차 [[사이온지 긴모치]] 내각에 조선에 2개 사단을 증설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사이온지는 [[러일 전쟁]]에 기인한 재정난과 국제 관계의 문제를 들어 거부하였고, 우에하라는 군부대신의 현역무관제를 이용하여 일왕에게천황에게 단독으로 사표를 제출하며 후임자를 추천하지 않음으로써, 사이온지 내각을 붕괴시키고 육군주도의 내각을 출범시키려고 하였다.
 
이런 가운데, 사쓰마-조슈번이 지배하던 군부(군벌)에서 조슈출신으로 육군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가쓰라 타로]]의 3차 내각이 조직되었다. 이 가쓰라 타로에 대해 국민들은 분노하였고, 또 중의원 의원인 [[오자키 유키오]]와 [[이누카이 츠요시]]가 사쓰마-조슈의 번벌(藩閥) 정치로서 가쓰라 내각을 비판하였다. 그래서 [[1912년]] "벌족타도, 헌정옹호"의 기치를 내걸고 제1차 호헌운동이 발전되어 제3차 가쓰라내각은 조각 53일만에 총사직하였다.
33번째 줄:
 
==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흐름 ==
=== 민본주의와 일왕기관설천황기관설 ===
1913년 이시다 토모지등은 언론잡지 "다이산테이고쿠"《{{llang|ja|第三帝国}}, "제3제국"》 등을 창간하였고, 또 [[1916년]]에는 [[도쿄 제국대학]]의 요시노 사쿠조가 민본주의에 의한 정치를 주장하였는데, 이의 배경에는 활발하게 전개된 보통선거법 운동이 있다.
 
또한 [[미노베 다쓰키치]]가 [[천황기관설]]을 주장하여, 국가가 통치권의 주체라고 주장하고, 정당내각제를 지지하였다. 반면 [[우에스기 신키치]]는 일왕주권설의천황주권설의 입장에서 일왕기관설을천황기관설을 비판하였으나, 일왕기관설은천황기관설은 의회정치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헌법해석의 주요 근거로서 자주 인용되었다.
 
또 [[도쿄 제국대학]] 출신인 요시노, 미노베 두 명 이외에 [[주오대학]] 출신인 하세가와 뇨제칸과 [[와세다 대학]]출신인 오야마 이쿠오등이 저널리스트와 학자로서 발언도 민본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