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25.185.152.42(토론)의 편집을 Neoalpha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문서 내용을 "니 몇살임 개쇙캬"으로 바꿈
1번째 줄:
니 몇살임 개쇙캬
{| style="float:right; width:300px; border: 1px #aaa solid; margin-left: 16px"
|colspan="2" style="background:#eeeeee; text-align:center; font-size:115%; margin:0.5em"|'''생물학'''
|-
|[[파일:EscherichiaColi NIAID.jpg|150px]] || [[파일:Tree Fern.jpg|150px]]
|-
|[[파일:Goliathus goliatus dos.jpg|150px]] || [[파일:Thompson's Gazelle.jpeg|150px]]
|-
|colspan= "2" style="font-size:80%;"|생물학은 다양한 생물을 연구한다.<br />왼쪽 위에서 부터 시계방향으로 [[대장균]], [[고사리]], [[가젤]], [[아프리카골리앗딱정벌레]]
|}
'''생물학'''(生物學)은 [[생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자연과학]]이다. 생물학은 생물의 구조, 기능, 생장, 기원, 진화, 서식, 분류 등을 탐구한다.<ref>[http://www.bio.txstate.edu/~wetlands/Glossary/glossary.html Aquarena Wetlands Project glossary of terms.]</ref> 현대 생물학은 [[카를 프리드리히 부르다흐]], [[고트프리드 라인홀트 트레비라누스]],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와 같은 학자들에 의해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자리잡았다.<ref>Junker Geschichte der Biologie, p8. </ref><ref>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pp 1–2. </ref>
 
생물학은 많은 하위 학문을 포괄하는 광대한 주제를 다루는 학문이다. 이 가운데 현대 생물학의 주요한 핵심 연구 분야는 [[세포생물학|세포 이론]], [[진화]], [[유전자]], [[에너지]], [[항상성]] 등을 들 수 있다.<ref name="Avila">Avila, Vernon L. (1995). Biology: Investigating life on earth. Boston: Jones and Bartlett. pp. 11–18. ISBN 0-86720-942-9. </ref> 생물학의 하위분야는 연구의 방법과 목적에 따라 나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생물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현상을 연구하는 [[생화학]],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생명 현상을 탐구하는 [[분자생물학]], 세포에서 일어나는 생명 현상을 다루는 [[세포생물학]], [[기관 (생물학)|기관]]이나 [[조직 (생물학)|조직]]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생리학]], 환경에서 다양한 생물 개체들이 맺는 관계를 탐구하는 [[생태학]]등이 있다.<ref>[http://community.weber.edu/sciencemuseum/pages/life_main.asp Life Science, Weber State Museum of Natural Science]</ref>
 
생물학에서는 생물의 특성과 분류에 따른 [[학명]]을 명명하는데 [[동물]]은 [[동물 학명 국제 코드]]에 따르며, [[식물]]과 [[균류]]는 각각 [[식물 학명 국제 코드]]와 [[균류 학명 국제 코드]]를 따른다. 이외에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프리온]]과 같은 바이러스성 유기체는 [[바이러스 분류 및 명명 국제 코드]]를 따르고 있다.<ref>[http://www.ictvonline.org/virusTaxonomy.asp ICTV Virus Taxonomy 2009]</ref><ref>[http://www.ncbi.nlm.nih.gov/ICTVdb/Ictv/fs_pospi.htm "80.001 Popsiviroidae - ICTVdB Index of Viruses."] (Websit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ebsite. Retrieved on 2009-10-28. </ref><ref>[http://www.ncbi.nlm.nih.gov/ICTVdb/Ictv/fs_prion.htm "90. Prions - ICTVdB Index of Viruses."] (Websit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ebsite. Retrieved on 2009-10-28. </ref><ref>[http://www.ncbi.nlm.nih.gov/ICTVdb/Ictv/fs_satel.htm "81. Satellites - ICTVdB Index of Viruses."] (Websit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ebsite. Retrieved on 2009-10-28. </ref> 한편, 여전히 분류되지 않은 바이러스 종들이 존재한다.
 
== 역사 ==
[[파일:Tree of life by Haeckel.jpg|thumb|[[에른스트 헤켈]]이 제안한 생물 계통도]]
비록 오늘날의 생물학과는 다른 형태라 할지라도 생물에 대한 연구는 고대에서부터 있어왔다. [[메소포타미아]], [[고대 이집트]], [[고대 인도]], [[고대 중국]]과 같은 [[고대 문명]]에서는 일찍부터 [[자연 철학]]이 발달하여 있었다. 이 가운데 현대 생물학의 연구 방법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것은 [[고대 그리스]]였다.<ref>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ref> [[히포크라테스]]는 [[의학]]의 일부로서 생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물에 관한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동물의 역사》와 그 밖의 저술에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많은 생물들을 연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뒤를 이어 [[아테네 학당]]을 계승한 [[테오프라스토스]]는 [[식물]]과 관련된 저술을 남겼으며 그의 책은 [[중세]]에까지 [[식물학]]에 큰 영향을 남겼다. 이후 생물학은 [[중세 이슬람 의학자]]들에 의해 큰 발전을 이루었다. 아프리카계 아랍인 [[알자히즈]](781년–869년)가 [[동물학]]에 대한 저서를 남겼고<ref>Mehmet Bayrakdar, "Al-Jahiz And the Rise of Biological Evolutionism", The Islamic Quarterly, Third Quarter, 1983, London. </ref>, [[쿠르드족]]이었던 [[알디나와리]](828년–896년)가 식물학 저서를 남겼으며, <ref>Fahd, Toufic. "Botany and agriculture". p. 815. , in Morelon, Régis & Roshdi Rashed (1996), Encyclopedia of the History of Arabic Science, vol. 3, Routledge, ISBN 0-415-12410-7 </ref> [[페르시아]]의 [[알라지]]는 [[해부학]]과 [[생리학]]에 업적을 남겼다. 이들은 그리스의 철학에 바탕을 둔 생물학 이론을 발전시켰다. 특히 의학은 그리스 학자들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예를 들면 중세 이슬람 의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을 받아들여 생명 사이의 위계 질서를 당연히 여겼다.<ref group="주해">아리스토텔레스는 신-인간-동물-식물-무생물 로 이어지는 위계 질서를 주장한 바 있다.</ref>
 
근대에 이르러 [[안톤 판 레이우엔훅]]이 발명한 [[현미경]]의 도입으로 생물학은 장족의 발전을 할 수 있었다. 생물학자들은 현미경을 사용하여 그 동안 볼 수 없었던 [[정자]], [[박테리아]], [[원생동물]]과 같은 작은 생물체를 관찰하게 되었다. [[네덜란드]]의 [[얀 스왐메르담]]은 [[곤충]]을 연구하면서 미세 표본의 제작, 표본 염색법 등 오늘날 사용되는 현미경 관찰 기술들을 도입하였다.<ref>Magner,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pp 133–144 </ref>
 
현미경의 도입은 생물에 대한 생각 자체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19세기초 생물학자들은 [[세포]]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1838년과 1839년, [[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슐라이덴]]과 [[테오도르 슈반|슈반]]은 1)세포가 생물의 기초 단위이며 2)독립된 세포 역시 생물이 갖는 모든 특징을 갖고 있고 3)모든 세포는 다른 세포의 분열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학설을 발표하였다. 이후 1860년대에 이르기까지 [[로베르트 레마크]]와 [[루돌프 피르호]]의 연구에 힘입어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이 이러한 [[세포 이론]]을 받아들이게 되었다.<ref>Sapp, Genesis, chapter 7; Coleman, Bi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chapters 2</ref>
 
한편, [[분류학]] 역시 큰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칼 폰 린네]]는 1735년 기본적인 생물 분류표를 작성하여 출간하였고 1750년대에 자신의 분류표에 있는 모든 생물 [[종 (생물학)|종]]에 대한 [[학명]]을 부여하였다.<ref>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chapter 4 </ref>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은 분류학에 [[공통조상]]의 개념을 도입하여 생물종이 하나의 공통조상에서 서로 [[분화]]하여 진화하였다는 학설을 제시하였다. 뷔퐁은 [[진화 이론의 역사]]에서 선구자였으며, 그의 업적은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와 [[찰스 다윈]]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ref>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chapter 7 </ref>
 
본격적인 진화이론을 최초로 제시한 학자는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이다. 그 후 [[찰스 다윈]]이 [[현대 진화 이론]]을 성립하였다. 다윈은 [[알렉산더 폰 훔볼트]], [[찰스 라이엘]] 등의 [[지질학]] 업적과 자신의 발견을 종합하여 [[자연선택]]에 따른 진화이론을 정립하였다. 한편 같은 시기의 생물학자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역시 독자적인 연구를 통해 자연선택에 따른 진화 이론을 수립하였다.<ref>Mayr,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chapter 10: "Darwin's evidence for evolution and common descent"; and chapter 11: "The causation of evolution: natural selection"; Larson, Evolution, chapter 3 </ref>
 
19세기말 [[그레고어 멘델]]은 [[멘델의 유전법칙]]을 정리하여 [[유전학]]의 기초를 쌓았다. 그의 이론은 한동안 외면되었으나 20세기에 독자적인 실험을 통해 재발견되어 생물학자들의 인정을 받게 되었다. 이후, 1940년대에서 1950년대에 이르는 동안 [[집단유전학]]의 발달은 진화이론을 실험실 수준에서 관찰하는 성과를 이루게 되었다. 1953년 [[DNA]]가 발견된 이후 현대 생물학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1990년대에 이르러 생물학은 인간의 [[게놈]] 지도를 작성하기 시작하였고 2003년 마침내 완성하였다.
 
== 현대 생물학의 기초 ==
현대 생물학의 기초를 이루는 개념은 [[세포 이론]], [[에너지]], [[항상성]], [[유전학]], [[진화]]의 다섯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ref name="Avila" />이 외에 [[발생 (생물학)|발생]]을 생물학의 기초 개념 가운데 하나로 추가할 수 있다.<ref name="주해">말론 호아클랜드 / 버트 도드슨, 황현숙 역, 생명의 파노라마, 사이언스북스, ISBN 89-8371-050-0</ref>
 
=== 세포 이론 ===
{{본문|세포 이론}}
[[파일:Endomembrane system diagram en (edit).svg|thumb|동물 세포의 모형도]]
 
[[세포 이론]]에서는 [[세포]]를 [[생명]]의 기본 단위로 파악한다. ([[조개]]의 [[외골격]]을 이루는 조가비와 같이 세포에서 나온 [[분비물]]에서 형성된 것들을 함께 다루기도 한다.) 모든 세포는 [[세포 분열]]을 통해 다른 세포에서 분리되어 나와 형성된다. [[다세포 생물]]의 경우 몸을 이루는 모든 세포는 단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알]]에서 출발한 것이다. 세포는 생물의 [[물질대사]]가 일어나는 기본 단위이기도 하다.<ref>Mazzarello, P (1999). "A unifying concept: the history of cell theory". Nature Cell Biology 1 (1): E13–E15. doi:10.1038/8964. PMID 10559875.</ref> 모든 세포에는 그 생물의 완전한 [[DNA]]가 들어있다. DNA는 세포 분열과 함께 새로 형성된 세포로 전달된다.
 
=== 에너지 ===
{{참조|에너지}}
생물은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에너지]]를 소비한다. 화학 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는 생체 내의 에너지 교환을 통해 생물은 몸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고 생장한다.
 
대부분의 생물은 [[태양]]에서 비롯된 에너지로 생명 활동을 한다. <ref>D.A. Bryant & N.-U. Frigaard (November 2006). "Prokaryotic photosynthesis and phototrophy illuminated". Trends Microbiol 14 (11): 488. doi:10.1016/j.tim.2006.09.001. PMID 16997562. </ref> 태양에서 시작되어 [[먹이그물]]의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에너지의 흐름을 [[영양 단계]]라 한다.<ref>G. Tyler Miller, 한국환경과학회 역, 환경과학, 시그마프레스, 2008, 49쪽, ISBN 10-89-58324-333 </ref>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태양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한다. 이 화학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아데노신 삼인산|ATP]] 형태로 저장된다. [[아데노신 삼인산|ATP]]는 에너지가 필요한 곳에서 [[ADP]]와 [[인산]]으로 분리되면서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ref>Smith, A. L. (1997). Oxford dictionary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xford [Oxfordshire]: Oxford University Press. pp. 508. ISBN 0-19-854768-4. </ref> 산소나 빛이 희박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일부 생물은 이 대신 [[메탄]]이나 황산염과 같은 물질을 활용하여 화학에너지를 얻는다.<ref>Katrina Edwards. Microbiology of a Sediment Pond and the Underlying Young, Cold, Hydrologically Active Ridge Flank.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ref>
 
획득된 에너지는 생명의 유지와 생장 등에 사용되며 사용되지 않은 에너지는 잉여 분자로 남게 되거나 열로 방출된다.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에너지 소비를 [[물질대사]]라 하고<ref>Campbell, Neil A. and Reece Jane B (2001). "6". Biology. Benjamin Cummings. ISBN 978-0-8053-6624-2. OCLC 47521441 48195194 53439122 55707478 64759228 79136407. </ref>, 특히 세포 내에서의 에너지 소비는 [[세포 호흡]]이라 한다.<ref>Bartsch/Colvard, The Living Environment. (2009) New York State Prentice Hall Regents Review. Retrieved Oct. 16, 2009. </ref>
 
=== 항상성 ===
{{본문|항상성}}
[[항상성]]은 열린 [[계 (물리학)|계]]가 [[자연환경]]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다. 열린계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절 기제를 통해 다중의 [[동적 평형]]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모든 생물은 그것이 [[단세포 생물]]이든 [[다세포 생물]]이든 항상성을 유지한다.<ref>Kelvin Rodolfo, [http://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cfm?id=what-is-homeostasis Explanation of Homeostasis on scientificamerican.com]. Retrieved Oct. 16, 2009. </ref>
 
생물은 항상성을 유지하는 열린 계로서, 동적 평형을 유지하고 갖고 있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기 위해 변동하는 환경을 감지하고 이에 알맞은 대응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감지와 대응을 위해 대부분의 생물은 [[음성 되먹임]] 기제를 사용한다. 즉, 생물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물질대사나 행동을 조절한다. 인간의 경우를 예로 들면 [[혈당]]이 낮아지면 [[글루카곤]] 분비량을 높여 혈당량을 조절한다.<ref group="주해">이와 반대로 혈당이 너무 높으면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당을 조정한다. 이러한 음성 되먹임의 결과 인체 내의 혈당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어떠한 이유로 인해 이러한 동적 평형을 맞출 수 없게 되면 [[당뇨병]]에 걸리게 된다.</ref>
 
=== 유전학 ===
{{본문|유전자|유전학}}
[[파일:Punnett square mendel flowers.svg|thumb|멘델의 유전법칙<br /><small>붉은 꽃을 피우는 우성인자 B와 흰 꽃을 피우는 열성인자 b를 갖는 완두콩을 자가 수정할 경우 3:1의 확률로 흰 꽃이 나타난다.</small>]]
부모에서 자식으로 [[유전]]되는 생물학적 특징을 [[유전형질]]이라 한다. 모든 생물의 [[유전형질]]은 [[유전자]] 단위로 유전된다. [[유전자]]는 [[염색체]]를 이루는 [[DNA]] 사슬의 일정 구간을 이루는 염기 서열이다.<ref>Genotype definition - Medical Dictionary definitions </ref> [[박테리아]]에서부터 [[동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물의 유전형질은 같은 방식으로 전달된다. 세포핵에 있는 [[DNA]]는 [[코돈]]이라 불리는 염기 서열에 따라 어떤 [[단백질]]을 형성할 것인지를 지정한다. [[RNA]]에 의해 전사되어 나온 DNA의 코돈은 [[리보솜]]으로 전달되며 리보솜은 이 코돈을 [[번역 (생물학)|번역]]하여 단백질을 생성한다. 생물의 종류과 관계 없이 같은 염기서열을 갖는 DNA는 같은 단백질을 만들게 된다. 예를 들어 사람의 [[인슐린]]을 만드는 DNA는 다른 생물에 이식되어 배양되어도 같은 인슐린을 만들게 된다.<ref>[http://www.businessweek.com/magazine/content/07_33/b4046083.htm From SemBiosys, A New Kind Of Insulin] INSIDE WALL STREET By Gene G. Marcial(AUGUST 13, 2007) </ref><ref>[http://www.i-sis.org.uk/gmSaffloweHumanPro-Insulin.php GM Safflower with Human Pro-Insulin], i-sis.org.uk</ref>
 
[[진핵 생물]]의 경우 생체를 형성하고 [[효소]]와 같은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정보가 들어있는 DNA는 [[세포핵]]에 있는 [[염색체]]에 있다. DNA 사슬은 마치 실패에 감긴 실처럼 [[히스톤]]에 감겨 염색체를 이룬다. 한편 [[세포소기관]] 가운데 [[미토콘드리아]], [[엽록소]]와 같은 것들은 세포핵과는 다른 고유한 [[게놈]]을 갖고 있다.<ref>Thanbichler M, Wang S, Shapiro L (2005). "[http://www.medterms.com/script/main/art.asp?articlekey=8472 The bacterial nucleoid: a highly organized and dynamic structure]". J Cell Biochem 96 (3): 506–21. doi:10.1002/jcb.20519. PMID 15988757.</ref>
 
=== 진화 ===
{{본문|진화}}
생물학의 핵심적인 개념 가운데 한 가지는 생물이 [[진화]]를 통해 변화해 왔다는 것이다. [[현대 진화 이론]]에서는 지구의 모든 생물이 하나의 [[공통조상]]에서 [[종분화|분화]]되어 오늘날과 같은 [[생물 다양성]]을 이루게 되었다고 밝힌다.<ref> Gould, S.J. (2002). The Structure of Evolutionary Theory. Cambridge: Belknap Pres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0-674-00613-5. </ref><ref> Futuyma, Douglas J. (2005). Evolution. Sunderland, Massachusetts: Sinauer Associates, Inc. ISBN 0-87893-187-2. </ref>
 
진화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원인은 생물의 [[종 (생물학)|종]]이나 집단 안에 대립하는 [[유전형질]]이 다양하게 존재하는 [[유전자 다양성]] 때문이다. 생물의 유전형질은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면서 [[유전자 부동]], [[자연선택]]과 같은 외부의 작용에 의해 변화하게 된다. 그 결과 생물 집단은 환경에 [[적응]]하기에 유리한 형질은 유전되고 그렇지 않은 형질은 사라지는 변화를 겪게 된다. 이것이 진화의 과정이다.<ref>Lande R, Arnold SJ (1983). "The measurement of selection on correlated characters". Evolution 37: 1210–26. doi:10.2307/2408842 </ref>
 
=== 발생 ===
{{본문|발생 (생물학)}}
 
발생은 [[동물]]의 [[정자]]와 [[난자]]가 [[수정 (생물학)|수정]]된 후 [[배 (생물학)|배]]를 형성하고 생장하여 새로운 개체가 되는 과정이다.<ref>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 89-7085-516-5, 759쪽</ref> 발생의 과정은 초기 발생과 후기 발생으로 나뉘는데, 최초의 [[난할]]에서 [[배엽]]이 형성되는 때 까지를 [[초기 발생]]이라 하고.<ref name="초기 발생">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초기 발생</ref>, [[기관 (생물)|기관]]이 형성되는 때 부터 새로운 개체가 되는 때 까지를 [[후기 발생]]이라 한다.<ref name="후기 발생">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후기 발생</ref>
 
* [[초기 발생]] : [[수정 (생물학)|수정]]된 수정란은 [[난할]] 과정을 통해 [[포배기]]와 [[낭배기]]의 [[배아]]가 된다. 낭배기에 이르면 [[외배엽]]과 [[내배엽]]이 구분되어 [[세포 분화]]가 결정된다.<ref name="초기 발생"/>
 
* [[후기 발생]] : [[외배엽]]이나 [[내배엽]]에서 [[중배엽]]이 분화한 후 배아는 [[신경관]], [[소화강]], [[체절]]과 같이 특별한 기능을 갖는 [[기관 (생물)|기관]]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ref name="후기 발생"/>
 
* [[출생]]과 생장 - 기관과 형태의 형성이 완료되면 [[부화]]하거나 [[출산]]하여 새로운 [[개체 (생물)|개체]]가 된다. 어린 개체는 생장과정을 통해 성체가 되며 [[곤충]]과 같은 생물은 생장과정에서 유충과 성충의 모습이 다른 [[변태 (생물)|변태]]를 하기도 한다.<ref name="후기 발생"/>
 
== 연구 분야 ==
{{col-begin}}
{{col-2}}
'''생물학의 전문 연구분야'''
* [[분자생물학]]
* [[미생물학]]
* [[진화생물학]]
* [[생물분류학]]
* [[생물형태학]]
* [[생물환경학]] (생태학)
* [[세포생물학]]
* [[생물정보학]]
* [[생물결정학]]
* [[인간생물학]]
* [[유전학]] (분자유전학)
{{col-2}}
'''생물학의 관련 연구 분야'''
* [[면역학]]
* [[해부학]]
* [[생화학]]
* [[신경생물학]]
* [[고생물학]]
* [[생물지리학]]
* [[동물지리학]]
* [[식물지리학]]
* [[생물리학]]
* [[전염병 생물학]]
* [[암질병학]]
* [[생체학]]
* [[행동 생물학]]
* [[사회 생물학]]
* [[진화 인류학]]
* [[해양 생물학]]
* [[합성생물학]]
* [[생명정보학]]
* [[신호전달학]]
{{col-end}}
 
== 읽어보기 ==
* [[찰스 다윈]]: 종의 기원(''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 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1859 London'').
* [[그레고르 멘델]]: 식물 잡종에 관한 실험(''Versuche über Pflanzen-Hybriden, 1865 Brünn'').
* [[생물학 연표]]
* [[생물학 용어집]]
 
== 주해 ==
<references group="주해"/>
 
== 주석 ==
{{주석}}
 
== 바깥 고리 ==
{{commonscat|Biology|생물학}}
=== 주요 국제 학술잡지 ===
* Nature (영국) - [http://www.nature.com/nature/ 홈페이지]
* Science (미국) - [http://www.sciencemag.org/ 홈페이지]
* PNAS (미국) - [http://www.pnas.org/ 홈페이지]
* Cell (미국) -[http://www.cell.com/ 홈페이지]
 
=== 생물학(生物學) 관련 주요 웹사이트 ===
* [[KOBIC]] (한국) - [http://www.kobic.kr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
* [[NCBI]] (미국) - [http://www.ncbi.nlm.nih.gov/ 홈페이지]
* ExPASy (스위스 - 한국 미러)- [http://kr.expasy.org/ 홈페이지]
* EMBL (유럽) - [http://www.embl.org/ 홈페이지]
* NIH (미국) - [http://www.nih.gov/ 홈페이지]
 
=== 학회 및 기관 ===
* [http://bric.postech.ac.kr/ 한국생물학 연구정보센터]
* [http://www.kaobs.or.kr/kaobs_re/index/index.php 한국생물과학협회]
* [http://www.ksmkorea.org/ 대한미생물학회]
 
=== 기타 웹사이트 ===
* [http://biopedia.org BioPedia]
* [http://biosites.org/index.php/Alphabetical_list BioSites]
 
{{자연과학}}
{{생물학 분야}}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분류:생물학|*]]
[[분류:자연과학]]
 
{{Link FA|he}}
{{Link FA|ja}}
{{Link FA|km}}
{{Link FA|vi}}
{{Link GA|en}}
{{Link GA|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