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숙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이숙 (불교)|이숙]]'''(異熟: 다름게 익음)은 [[선인낙과]](善因樂果) [[악인고과]](惡因苦果)의 [[불교의 인과사상]] 또는 교의를 말한다. '''다르게 익는다'''는 것은 [[선 (3성)|선]](善)이 쌓여서 그 결과 [[무기 (3성)|무기]]의 [[낙 (불교)|낙]](樂)으로 성숙 또는 변환되고, [[불선 (3성)|불선]] 즉 [[악 (3성)|악]](惡)이 쌓여서 그 결과 [[무기 (3성)|무기]]의 [[고 (불교)|고]](苦)로 성숙 또는 변환되는 것을 말한다. (선이 고가 되고 악이 낙이 된다는 의미는 없다.)
 
이숙 (異熟)이라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과보]]를 '''이숙과'''(異熟果) 또는 '''이숙생'''(異熟生)이라고 하는데, 이 두 낱말은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특히, [[이숙과]]는 [[전생]]의 [[선악업]]의 총체적인 결과물로서 [[현생]]에서 태어날 때 받은 [[몸 (불교)|몸]]과 [[마음 (불교)|마음]]을 가리킨다.
 
[[이숙 (불교)|이숙]](異熟)의 [[성질 (불교)|성질]] 즉 [[다르게 익음]]의 [[성질 (불교)|성질]]을 '''이숙성'''(異熟性)이라 하는데, 어떤 존재 또는 개체가 '''다름의 익음'''의 성질을 지니면 그 존재 또는 개체가 이숙성을 지녔다고 말한다.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르면 [[제8아뢰야식]]만이 이숙성을 지닌다.
 
==이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