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한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번째 줄:
이 조건은 이 [[위상군]]이 [[이산공간|이산]] [[유한군]]들의 [[사영극한]](projective/inverse limit)과 [[동형]]이어야 한다는 조건과 [[동치]]이다.
 
== 사유한 완성완비 ==
임의의 [[군 (수학)|군]] <math>G</math>의 '''사유한 완성완비'''(射有限完備 {{llang|en|profinite completion}}) <math>\hat G</math>는 다음과 같다.
:<math>\hat G=\varprojlim_{N\triangleleft G}G/N</math>
즉, <math>G</math>의 모든 [[정규부분군]] <math>N</math>에 대한 [[몫군]]들의 [[사영극한]]이다. <math>\hat G</math>는 자연스럽게 사유한군을 이룬다. 또한,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사상]] <math>G\to\hat G</math>가 존재하며, 이 준동형사상의 [[상 (수학)|상]]은 <math>\hat G</math>의 [[조밀집합]]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단사사상]]이 아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유한 완비 연산은 [[멱등법칙|멱등]]이 아니다. 즉, <math>\hat{\hat G}\not\cong\hat G</math>일 수 있다.
 
== 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