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홀드 니부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d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인터위키 링크 18 개가 위키데이터d:q358561 항목으로 옮겨짐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전거 정보 틀 추가; 예쁘게 바꿈
14번째 줄:
|웹사이트=
}}
'''칼 폴 라인홀드 니부어'''({{lang|en|Karl Paul Reinhold Niebuhr}}, [[1892년]] [[6월 21일]] ~ [[1971년]] [[6월 1일]])는 [[개신교]] [[신학자]]이다. 기독교 신앙을 현실적인 현대 [[정치]]와 [[외교]]에 접목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현대 정의로운 전쟁([[:en:just war|just war]]) 사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 생애 ==
=== 신학교육 ===
미국 [[미주리 주]] [[:en:Wright City, Missouri|라이트 시]](Wright city)에서 독일 선교사인 구스타프 니부어(Gustav Neibuhr)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구스타프 목사는 [[복음주의 개혁교회]](Evangelical and Reformed Church)의 신학을 따르는 북미 복음주의 시노드(Evangelical Synod of North America)의 목사(Pastor)였다.
동생인 [[헬무트 리처드 니부어]](Helmut Richard Niebuhr)와 함께 아버지와 같은 길을 걷기로 결심하였다. [[일리노이 주]]의 [[엘름허스트 대학]](Elmhurst College)<ref>니부어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져 있다.</ref>에 입학하여 [[1910년]]에 졸업하였다. 후에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St. Louis)에 있는 에덴 신학교(Eden Seminary)에서 공부하였고, 다시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에서 [[1914년]] 신학사 학위(Bachelor of Divinity Degree, 약칭 B.D.)를 받고 알파 시그마 파이회(Alpha Sigma Phi Fraternity)의 회원이 되었다. 개신교 목사 안수를 받은<ref>정식으로 목사가 된</ref> 것은 [[1915년]]이다.
 
=== 목회 ===
==== 노동운동 지지 ====
독일 복음주의 선교 위원회(the German Evangelical mission board)는 그를 [[디트로이트]](Detroit)로 보냈다. 도착 당시 신도의 수는 65명이었으나 [[1928년]] 그곳을 떠날 때에는 700명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증가는 당시 자동차 산업의 붐에 이끌린 새로운 인구의 유입에 힘입었다. 산업화가 노동자들에게 끼친 비도덕화에 괴로워하여 [[헨리 포드]]를 비판하였고, 설교를 통해 노조를 조직하도록 돕거나 공장의 조립 라인이 초래하는 비인간적인 노동조건과 잘못된 근로관행에 관한 글을 썼다.
==== KKK와의 대결 ====
[[KKK]] (Ku Klux Klan)이 [[1915년]]에 부활하여 [[1920년대]]에 중서부와 서부의 주요도시에서 위세를 떨쳤다. 미시간 주의 7만 (KKK)회원 절반가량이 디트로이트에 살았는데, [[1924년]]에는 시장 선거에서 그 회원이 당선될 뻔한 일도 있었다. 백인과 흑인의 긴장에 더하여, 동부및 서남부 유럽으로부터 점증하는 이주민들까지 끼어서, 도시 전체가 사회적인 격변에 휩싸였다. 이 조직은 새로이 유입되는 사람들에 대해 경쟁력을 갖지 못한 백인 하층민들에게 특히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니부어는 KKK를 비판하였다. 그는 이를 "종교적인 자존심을 가진 사람들이 발전시킨 부정적인 사회현상의 하나"라고 보았다. <ref>Kenneth T. Jackson, ''The Ku Klux Klan in the City'', 1915-1930.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reprint, Chicago: Elephant Paperback, 1992, pp.129,134-138, 142.</ref>
==== 평화주의 ====
[[1923년]] [[유럽]]을 방문하여 지식인들과 신학자들을 만났다. [[프랑스]]의 점령하에 있던 [[독일]]의 상황에 실망하였고, [[제1차 세계대전]]때 취했던 [[평화주의자]]의 입장이 더욱 확고해졌다.
 
[[1928년]] 디트로이트를 떠나 [[뉴욕 시|뉴욕]]에 있는 [[유니온 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의 교수가 되었고 [[1960년]]까지 생의 나머지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다. 이곳에서 많은 세대의 학생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나치]]의 국가폭력([[유대인 박해]])에 대항하여 [[고백교회]](Confessing Church)를 세운 독일의 [[루터교회]]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도 그 중 한 사람이다.
 
생애 전반에 걸쳐 저술과 출판활동을 계속하였으며, [[1941년]]부터 [[1966년]]까지 잡지 《기독교와 위기》(Christianity and Crisis)의 편집자로서 일했다.
 
==== 가족 ====
[[1931년]] 영국의 신학자 우르술라 케셀 콤프턴 (Ursula Kessel-Compton)과 결혼하였다. 슬하에 아들과 딸이 각각 1 명 있다.
 
== 업적 ==
==== 정치활동 ====
[[1930년대]]에 [[미국 사회당]]([[:en:Socialist Party of America|Socialist Party of America]])의 전투적인 분파의 리더였다. [[미국 공산당]](Communist Party of the USA, CPUSA)이 통일전선 계획을 채택하도록 도왔다. 정치적으로 반대자였던 루이스 왈드만(Louis Waldman)에 따르면 심지어 젊은이들 사이에서 군사적인 훈련을 이끌기도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의 자유주의적 사상의 뿌리인 평화주의에 중대한 변화가 생겼다. 자유주의적인 동료들로부터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전쟁을 옹호하게 되었다. 곧 화해의 동지회([[:en:Fellowship of Reconiliation|Fellowship of Reconiliation]])<ref>평화주의적인 신학자와 목사들의 모임</ref>를 이탈하였고 그들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결국 기독교 현실주의([[:en:Christian Realism|Christian Realism]])라고 불리는 운동을 일으켰다. 기독교 현실주의는 동시대 기독교인들의 이상주의보다 훨씬 강경한 정치적태도를 취했다. 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의 적극적인 활동과 [[반공산주의]] 그리고 [[핵무기]]개발을 지지하였다.
 
==== 철학적 저술 ====
[[1952년]]에 《미국 역사의 아이러니》에서 자신의 정치, 이데올로기, 도덕, 종교적 투쟁에 대해 썼다. 젊은 시절 몸담았던 [[자유주의]]적인 [[사회복음주의]](social gospel liberalism)을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한동안 [[마르크스주의]]와 기독교를 융합하는 시도를 하였지만 여러가지 정치적인 경험과 기독교적 가치의 깊은 뿌리가 이데올로기 편향적 자세를 버리도록 하였다. 자신의 고유한 정치적 지혜와 [[칼뱅주의|개혁주의]] 신학의 [[어거스틴]] 사상을 결합시켰다. [[1939년]] 에딘버러대학교([[:en:Edinburgh University|Edinburgh University]])의 기포드 강연([[:en:Gifford Lectures|Gifford Lectures]])에 초빙되었는데 이때 자신의 사상의 정수를 표현하였다.<ref>이때의 강연내용을 책으로 펴낸 것이 바로 《[[인간의 본성과 운명]]》이다.</ref>
 
그의 정치, 사상적 활동은 세계사의 가장 힘든 시기에 이루어졌다. 두 번의 세계대전과 [[대공황]] 등을 몸소 체험했으며 인간의 부정의(injustice)와 그러한 부정의를 점증시키는 시스템을 무너뜨려야할 필요성에 대해서 저술하였다. 유럽에서 [[파시즘]]의 가공할 위협과 2차 세계대전의 공포를 목도하고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인이라도 힘으로 맞서야 한다고 보았다. 이로부터 얻은 교훈을 확장하여 민중들에게 권력을 가져다줄 수 있는 민주주의를 만들고 타인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없앨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사회적 정의를 소리높여 외치는 열렬한 [[민주사회주의]]자(democratic socialist)였다. 한때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New Deal)이 실현불가능하다고 비판하였지만 전후에는 실용주의적인 자세를 취하여, 뉴딜 정책과 [[미국 민주당|민주당]]의 '활력넘치는 중도'([[:en:Vital Center|Vital Center]])<ref>미국 역사가 아서 슐레진저([[:en:Arthur M. Schlesinger|Arthur M. Schlesinger]])가 니부어의 영향을 받고 창안하였음</ref>라는 개념을 지지하였다. 복지 자본주의([[:en:Welfare capitalism|Welfare capitalism]]) 등장에 큰 역할을 했다.
 
==== 평온을 비는 기도 ====
{{인용문2|주여, 우리에게 은혜를 내려주소서. 그리하여, 바꿀 수 없는 일을 받아들이는 평온과, 바꿀 수 있는 일을 바꾸는 용기를, 그리고 이 두 가지를 분별하는 지혜를 허락해주소서.}}
 
〈[[평온을 비는 기도]]〉(serenity prayer)의 저자이다. 금주협회(Alcoholics Anonymous, AA)에서는 이를 약간 바꿔서 사용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전혀 논란의 여지가 없었으나 근래 기도문의 진정한 저자에 대해서 다소간 논쟁이 발생하였다. 니부어는 자신이 그 저자임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ref>[http://www.aahistory.com/prayer.html 평온을 비는 기도의 원저자(The Origin of our Serenity Prayer)]</ref>
 
==== 저작 ====
64번째 줄:
* 미국 역사의 아이러니 (The Irony of American History , 1952)
* Christian Realism and Political Problems (1953)
* The Self and the Dramas of History (1955)
* Love and Justice (1957)
* Pious and Secular America (1958)
* The Structure of Nations and Empires (1959)
* The Essential Reinhold Niebuhr (1987)
86번째 줄:
 
{{생애|1892|1971|니부어, 라인홀트}}
{{Authority control}}
 
[[분류:개신교 신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