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체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Parkyongjoo (토론 | 기여)
Parkyongjoo (토론 | 기여)
19번째 줄:
이런 인식이 확산되는데 가장 결정적인 사건은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라고 할 수 있다. 당시 현장의 지휘체계로는 자발적으로 모여든 시민, 의료진 등이 조직적으로 활동할 수 없었고 경찰, 구급대, 민간구조대 등이 뒤엉켜 구조된 환자를 취재진 앞에서 서로 데려가려고 나서기도 했다<ref>부실-비리 합작 안전불감'백화점' 삼풍백화점 붕괴참사 취재기자 방담, 한겨레 신문, 1995년 7월 24일, 20면.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ref>. 한편 사고 초기, 현장 인근의 [[강남성모병원]]에는 200명 가까운 환자들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아비규환을 이룬 반면, 사고 소식을 듣고 병상을 비워 놓고 있던 [[서울대병원]]에는 한명의 환자도 후송되지 않았다. 또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일반화된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triage)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 사건을 두고 당시 대한외상학회 왕순주 총무는 "통신 체계, 현장처치 체계, 이송 체계에 총체적 허점을 보여준 사건이다"라고 말했다<ref>후송 응급 조치 총체적 허점, 경향신문, 1995년 7월 5일, 4면.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ref>.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는 응급의학이[[응급의학]]이 전문 진료과목으로 인정되는데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1995년 [[응급구조사]]가 공식적으로 배출되기 시작하였고, 1996년 첫번째 [[응급의학과]] [[전문의]] 시험이 치러졌으며, 2000년 현재와 같은 [[응급의료기관]] 체계가 수립되었다.
 
==병원 전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