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와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틀 변경., replaced: {{위키백과 → {{인터위키 using AWB
34번째 줄:
* ''둘은 (서로에게)적의를 품었다.''
* ''둘다 막상막하로 싸웠다.''
* ''둘다 죽어버렸다''
 
이 언어의 [[모음]] [[음운]]의 수는 /a/, /i/, /o/, /u/, /ɔ/, /e/, /ə/, /ɛ/의 8개로,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에 비해 많은 편이다. 또 인도네시아어 등에는 없는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도 존재한다. [[라틴 알파벳]]으로 전사했을 때 'i', 'o', 'u'는 해당 모음 음운을 가리키지만, 'a'는 단어에 따라 /a/와 /ɔ/의 두 가지로 발음되며 'e'는 /ə/를, 'é'는 /e/를, 'è'는 /ɛ/를 가리킨다. 또한 자음 음운은 23~26개 정도가 있다.<ref>[http://www.omniglot.com/writing/javanese.htm 자와어 문자 및 발음]</ref>
49번째 줄:
위의 두 문장은 모두 "그는(S) 그(정관사) 궁전을(O) 방문한다(V)."라는 뜻이다. 고대 자바어에서는 위와 같이 동사가 문두에 오면 불변사 'ta'가 동사와 나머지 문장을 나누게 되는데, 이는 [[타갈로그어]]의 경우와 유사한 점이 있다. 또 현대 자와어에서는 관사가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않고 사라지게 되었다.(이는 다른 방법으로 표현된다)
 
자와어에서 [[동사]]는 [[성 (문법)|성]]이나 [[수 (문법)|수]]에 따라 굴절되지 않으며, [[시제]] 역시 동사에 나타나지 않고 시제부사를 통해 표현된다. 다만 주어와 목적어의 상대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동사에 접사를 붙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대 자와어와 현대 자와어를 통틀어 자와어의 문장은 앞서와 같이 고전 문법이나 통사론의 범주들을 사용해 설명하지 않고, [[주제 우세 언어]](Topic-prominent language) 모델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이 모델을 따르는 언어에서는 [[주제 (언어학)|주제]](topic)는 문두에 오고, [[초점 (언어학)|초점]](focus)은 한정어(modifier)가 된다. 예컨대 위와 같은 문장에서 'Dhèwèké'는 주제, 'teka'는 초점으로 볼 수 있다.
73번째 줄:
* {{언어고리|en}}[http://home.planet.nl/~koeso002/articles/Javanese%20Suriname.htm Javanese in Suriname strive to preserve origins ''Jakarta Post'' article]
 
{{위키백과인터위키|jv}}
 
[[분류:오스트로네시아어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