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톤 (위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lyr (토론 | 기여)
일부 표현 수정, en:Triton (moon)을 번역하여 내용 및 출처 보강, 내용주/참고문헌 구분, 출처명 번역. 출처 필요 틀은 뗍니다.
Elyr (토론 | 기여)
잔글 링크 탈자 수정
10번째 줄:
라셀은 그의 아마추어 망원경을 위한 반사경을 1820년에 만들기 시작했다. [[존 허셜]]은 해왕성 발견의 소식을 접한 후 라셀에게 위성을 찾아볼 것을 권유하는 편지를 썼다. 라셀은 그렇게 하였고 8일 후 트리톤을 발견하였다.<ref name="Lassell refs" /><ref name="LassellDiscovery" /> 그는 또한 해왕성의 고리를 발견했다고 주장하였다. 추후 해왕성에 실제로 고리가 있음이 판명되었으나, 고리는 매우 희미하고 어두워서 라셀이 정말로 고리를 본 것인지에 관해서는 의문점이 있다<ref name="Smithetal1984" />.
 
트리톤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 또는 로마 신화의 [[넵투누스]]의 아들이자 바다의 신인 [[트리톤 (신화)|트리톤]]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이름은 1880년에 쓰여진 [[카미유 플라마리옹]](Camille Flammarion)의 저서 Astronomie Populaire<ref name="Flammarion1880" />에 처음으로 쓰였지만 공식적으로는 이후 수십년 동안 채택되지 않았다.<ref name="PMoore" /> 해왕성의 2번째 위성 [[네레이드 (위성)|네레이드]]가 발견되기 전까지 트리톤은 보통 ‘해왕성의 위성’으로 불렸다. 트리톤을 발견한 라셀 본인은 위성에 이름을 붙이지 않았지만, 나중에 [[토성]]의 여덟 번째 위성인 [[하이페리온 (위성)|하이페리온]]을 발견했을 때에는 이름을 제안한 적이 있다. [[천왕성]]의 세 번째와 네 번째 위성인 [[아리엘 (위성)|아리엘]]과 [[움브리엘 (위성)|움브리엘]]도 [[1851년]]에 라셀이 발견하였으나, 이들은 [[존 허셜]]에 의해 이름이 붙여졌다.<ref name="IAU-solarsysNam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