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천문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1930년대에 잰스키가 은하수를 관측하기 전에도, 물리학자들은 천체가 전파원이 되어 그 전파를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1860년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의 [[맥스웰 방정식]]은 [[전자기파]]가 [[전기]] 및 [[자기]]와 관련이 있으며 어떠한 [[파장]]에서도 존재할 수 있음을 보였다. [[니콜라 테슬라]], [[올리버 로지]] 등이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검출하려고 여러 번 시도하였으나,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번번히 실패하였다.<ref>{{웹 인용 | url=http://www.nrao.edu/whatisra/hist_prehist.shtml | 제목 = Pre-History of Radio Astronomy | 편집자= F. Ghigo | 확인일자= 2010-04-09}}</ref>
 
[[칼 잰스키]]는 1930년대 초반에 천문학적 전파원을 최초로, [[세런디피티|우연히]] 발견하였다. [[벨 연구소|벨 전화 연구소]] 소속 공학자였던 그는 대서양 횡단 음성전송에 사용되는 [[단파]] 통신에 자꾸 끼어드는 잡음을 조사하고 있었다. 커다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 잰스키는 [[아날로그 신호|아날로그]] 펜과 종이 기록에 정체불명의 전파원에서 오는 반복되는 신호가 기록되고 있음을 알아차렸다. 신호가 매 24시간마다 절정에 달하였기 때문에, 잰스키는 처음에는 간섭의 원인이 자신의 지향성 안테나의 시야를 가로지르던 [[태양]]이 아닌가 추측하였다. 분석을 계속한 결과 전파원의 반복 주기는 태양을 따라가는 정확한 24시간이 아니라, 23시간 56분으로 나타났다. 잰스키는 이 영문 모를 현상을 동료인 천체물리학자이자 교사인 [[앨버트 멜빈 스켈렛]]에게 털어놓았다. 스켈렛은 23시간 56분이 1 [[항성시]]를 가리키며, 이것은 전파원이 지구가 1회 자전할 때마다 안테나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는, 천구상에 "곶 ㅓㅇ고정"되어 있는 천체라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ref name="bookrags.com">{{웹 인용 | url = http://www.bookrags.com/biography/karl-jansky-wsd/ | 제목= World of Scientific Discovery on Karl Jansky | 확인일자= 2010-04-09}}</ref> 자신의 관측 결과를 광학 천문도와 대조해 본 잰스키는 마침내 자신의 안테나가 [[궁수자리]]의 [[은하수]]가 가장 짙은 지역을 가리켰을 때 문제의 전파원이 절정에 달하였다고 결론내렸다.<ref>{{저널 인용 | doi = 10.1038/132066a0 | 저자= Jansky, Karl G. | 제목= Radio waves from outside the solar system | 저널= Nature | volume = 132 | issue = 3323 | 쪽= 66 | 연도= 1933 | bibcode = 1933Natur.132...66J|꺾쇠표없음=예}}</ref> 그는 태양(그리고 다른 항성들)이 전파 잡읍을 일으킬 정도로 큰 전파원이 아니므로, 문제의 전파 간섭은 은하의 성간 가스와 먼지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고 생각했다.<ref name="bookrags.com"/> (잰스키의 전파원은 하늘에서 가장 강력한 전파원 중 하나로, 1950년대에 [[궁수자리 A]]라고 명명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성간 "가스와 먼지"는 아니었으며, 이 구역에서 발견된 천체들이 발생시키는 강력한 자기장과 그 안의 [[전자]]에서 방출되는 것임이 밝혀졌다).<ref>{{서적 인용 |제목=Relativity, astrophysics and cosmology: Volume 1 |author=Radoje Belusević |url= |꺾쇠표없음=예}} [http://books.google.com/books?id=WeICTHIxP2MC&pg=PA163&dq=Jansky+%22center+of+the+galaxy%22+%22sagittarius+A%22&hl=en&sa=X&ei=Er-nT4zTDYfn0QGA8-n5BA&ved=0CFUQ6AEwBQ#v=onepage&q=Jansky%20%22center%20of%20the%20galaxy%22%20%22sagittarius%20A%22&f=false p. 163.]</ref><ref>[http://books.google.com/books?id=3vxLNPNHOcwC&pg=PA131&dq=jansky+strongest+%22Sagittarius+A%22&hl=en&sa=X&ei=xeSnT7r_MsOT0QHk482XBQ&ved=0CD4Q6AEwAg#v=onepage&q=jansky%20strongest%20%22Sagittarius%20A%22&f=false Bojan Kambič, Viewing the Constellations with Binoculars, pages 131-133]</ref>
 
잰스키는 자신의 발견을 1933년에 발표하였다. 그는 은하수에서 나오는 전파를 보다 상세히 조사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벨 연구소는 그를 다른 프로젝트로 전출시켰고, 이후 잰스키가 천문학 분야에 있어 다른 업적을 남긴 바는 없다. 하지만 전파천문학에 있어 그의 선구자적 업적은 [[선속밀도]]의 기본 단위 [[잰스키]](Jy)를 그의 이름을 따 명명함으로써 기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