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lyr (토론 | 기여)
"물리적 특성" 단락 추가. (마찬가지로 en:Pluto의 번역)
아즈사봇 (토론 | 기여)
잔글 영어식으로 되어 있는 날짜를 한국어에 알맞게 고침
2번째 줄:
[[파일:Pluto hubble photomap.jpg|right|thumb|250px|[[허블 우주 망원경]] 탐사용 고성능 카메라로 찍은 명왕성의 모습 (2002년~2003년 촬영)]]
 
'''명왕성'''(冥王星, Pluto) 또는 '''134340 Pluto'''는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이며, 카이퍼 대에서 가장 큰 천체이다. 알려진 왜행성 중에서는 [[에리스 (왜행성)|에리스]]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ref name="Wiley-2005">{{웹 인용 |last1=Stern |first1=Alan |last2=Mitton |first2=Jacqueline |title=명왕성과 카론: 태양계 변방의 얼음 세계들 (Pluto and Charon: ice worlds on the ragged edge of the solar system) |url=http://www.worldcat.org/search?q=isbn%3A3527405569 |year=2005 |publisher=Weinheim:[[Wiley-VCH]] |accessdate=July 3,2013년 20137월 3일 }}</ref> [[달]]에 비교하면 질량은 6분의 1, 부피는 3분의 1 정도이다. [[태양]]으로부터 29~49 [[천문 단위|AU]] 떨어진 타원형 궤도를 돌고 있으며, 공전주기는 약 214년, 자전주기는 14시간 30분이다. 타원형 궤도 때문에 [[해왕성]]보다 안쪽으로 들어올 때도 있다. [[2014년]] 기준으로 태양에서 32.6 AU 거리에 있다.
 
[[태양]]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어서 기온이 매우 낮으며, 평균 기온은 섭씨 -248도이다. [[산소]]와 [[메탄]] 가스가 고체로 있어 인간이 자원을 획득하는 데 가장 좋은 [[태양계]] [[천체]]로 알려져 있지만, [[지구]]와의 거리가 매우 멀고 기온이 낮기 때문에 인간이 살 수 없다. 명왕성의 중력은 지구의 약 6~7% 정도이므로 지구에서 몸무게가 60kg인 사람은 명왕성에서 약 4kg이 된다.
45번째 줄:
=== 모양새, 표면 ===
 
명왕성의 [[겉보기등급]]은 평균 15.1등급이고, 근일점에서는 13.65 등급까지 밝아진다.<ref name="Pluto Fact Sheet">{{웹 인용| author = D. R. Williams| title = Pluto Fact Sheet| publisher = NASA| date = September2006년 7,9월 20067일| url = http://nssdc.gsfc.nasa.gov/planetary/factsheet/plutofact.html| accessdate = 2007-03-24}}</ref> 맨눈으로는 관측할 수 없고 구경이 30cm 정도는 되는 망원경이 필요하다. <ref name="SSC2002">{{cite web| url = http://www.science.edu.sg/ssc/detailed.jsp?artid=1950&type=6&root=6&parent=6&cat=66| title = This month Pluto's apparent magnitude is m=14.1. Could we see it with an 11" reflector of focal length 3400 mm?| year = 2002| publisher = Singapore Science Centre| accessdate = 2011-11-29| archiveurl = http://web.archive.org/web/20051111151435/http://www.science.edu.sg/ssc/detailed.jsp?artid=1950&type=6&root=6&parent=6&cat=66| archivedate = November 11, 2005}}</ref> [[각지름]]이 0.11"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별처럼 보이고, 큰 망원경으로도 고리 등은 관측할 수 없다.
 
표면 지도는 1980년대에 최초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위성 카론과의 [[식 (천문)|식]]에 의한 밝기 변화를 이용했다. 예를 들어 카론이 명왕성의 밝은 부분을 가렸을 때와, 어두운 부분을 가렸을 때 전체 밝기가 변화하는 정도가 다르므로, 이를 이용해 표면의 어느 부분이 밝고 어느 부분이 어두운지를 알아낼 수 있다. 여러 관측 결과들을 컴퓨터를 이용해 처리해서, 최종적인 밝기 지도를 만들 수 있었다. 이 방법으로 시간에 따른 밝기의 변화 또한 추적할 수 있었다.<ref name="YoungBinzelCrane2000">{{cite journal| title = A Two-Color Map of Pluto Based on Mutual Event Lightcurves| first1 = E. F.| last1 = Young| first2 = R. P.| last2 = Binzel| first3 = K.| last3 = Crane| journal =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volume = 32| page = 1083| place = AA(SwRI), AB(M.I.T.), AC (Boulder High School)| bibcode = 2000DPS....32.4601Y| year = 2000}}</ref><ref name="BuieTholenHorne1992">{{cite journal| doi = 10.1016/0019-1035(92)90129-U| last1 = Buie| first1 = M. W.| last2 = Tholen| first2 = D. J.| last3 = Horne| first3 = K.| year = 1992| title = Albedo maps of Pluto and Charon: Initial mutual event results| journal = Icarus| volume = 97| issue = 2| pages = 221–227| bibcode = 1992Icar...97..211B| url = http://www.boulder.swri.edu/~buie/biblio/pub015.html}}</ref>
 
현재의 지도는 훨씬 높은 [[분해능]]을 가지는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해 만들어낸 것으로, 수백 킬로미터 단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극지방과 가장 밝은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등 조금 더 디테일하다.<ref name="Buie_web_map">{{cite web| url = http://www.boulder.swri.edu/~buie/pluto/hrcmap.html| title = 명왕성 지도 정보 (Pluto map information)| last = Buie| first = Marc W.| accessdate = February2010년 10,2월 201010일}}</ref><ref name="Buie_2010 surface-maps">{{cite journal| doi = 10.1088/0004-6256/139/3/1128| last1 = Buie| first1 = Marc W.| last2 = Grundy| first2 = William M.| last3 = Young| first3 = Eliot F.| last4 = Young| first4 = Leslie A.| last5 = Stern| first5 = S. Alan| year = 2010| title = Pluto and Charon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II. Resolving changes on Pluto's surface and a map for Charon| journal = Astronomical Journal| volume = 139| issue = 3| pages = 1128–1143| url = http://www.boulder.swri.edu/~buie/biblio/pub073.html| bibcode = 2010AJ....139.1128B}}</ref> 이 지도를 만드는 데에도 허블 망원경이 보내온 몇 픽셀에 가장 잘 맞는 표면 지도를 찾기 위해서 매우 복잡한 컴퓨터 처리가 필요했다.<ref name="Buie_mapmaking">{{cite web| url = http://www.boulder.swri.edu/~buie/pluto/mapstory.html| title = 명왕성 지도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How the Pluto maps were made)| last1 = Buie| first1 = Marc W.| accessdate = February2010년 10,2월 201010일}}</ref> 여기에 사용된 허블 망원경의 2개 카메라는 더이상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2015년]]까지는 이 지도가 명왕성의 가장 정밀한 지도가 될 것이다.<ref name="Buie_mapmaking" />
 
이 지도들이나 명왕성의 적외선 스펙트럼의 주기적인 변화 등을 참고해 보면, 명왕성의 표면은 색상이나 밝기가 꽤 다양고 변화가 큰 편으로,<ref name="Buie_2010 light curve">{{cite journal| doi = 10.1088/0004-6256/139/3/1117| last1 = Buie| first1 = Marc W.| last2 = Grundy| first2 = William M.| last3 = Young| first3 = Eliot F.| last4 = Young| first4 = Leslie A.| last5 = Stern| first5 = S. Alan| year = 2010| title = Pluto and Charon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I. Monitoring global change and improved surface propertices from light curves| journal = Astronomical Journal| volume = 139| issue = 3| pages = 1117–1127| url = http://www.boulder.swri.edu/~buie/biblio/pub072.html| bibcode = 2010AJ....139.1117B}}</ref> 태양계에서 색상 대비가 가장 뚜렷한 별들 중 하나에 속한다. 표면 색상은 차콜 블랙이나 어두운 오렌지색에, 흰색도 보인다.<ref name="Hubble2010">{{cite web| url = http://hubblesite.org/newscenter/archive/releases/2010/06/full/| title = 허블 망원경을 이용한 명왕성의 새로운 지도가 표면 변화를 보여주다 (New Hubble Maps of Pluto Show Surface Changes)| date = February2010년 4,2월 20104일<!-- 01:00&nbsp;pm (EST)-->| publisher = News Release Number: STScI-2010-06| accessdate = February2010년 10,2월 201010일}}</ref> [[화성]]보다는 훨씬 붉은 기가 적고, 색상으로 따지면 [[이오 (위성)|이오]]와 훨씬 비슷하고 오렌지색이 좀더 강하다.<ref name="Buie_2010 surface-maps" />
 
[[1994년]]과 [[2002년]]-[[2003년]]에는 명왕성 표면에 변화가 있는데, 북극 지방이 밝아지고 남쪽 반구는 어두워졌다.<ref name="Hubble2010" /> 또한 전체적으로 붉은색이 [[2000년]]-[[2002년]] 사이에 크게 증가했는데,<ref name="Hubble2010" /> 이런 변화는 계절 변화와 더불어 명왕성 대기의 [[승화]] 작용이 명왕성의 큰 궤도 경사각과 이심률로 인해서 증폭되었기 때문인 것 같다.<ref name="Hubble2010" />
101번째 줄:
명왕성은 [[지구형 행성]]들에 비해서도 훨씬 질량이 작고, 달 질량에 비해도 20%도 되지 않는다. 위성인 [[가니메데 (위성)|가니메데]]나 [[타이탄 (위성)|타이탄]], [[칼리스토 (위성)|칼리스토]], [[이오 (위성)|이오]], [[에우로파 (위성)|에우로파]], [[트리톤 (위성)|트리톤]] 등도 명왕성보다 질량이 크다. [[왜행성]]이자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인 [[세레스 (왜행성)|세레스]]와 비교하면, 직경은 2배, 질량은 12배 크다. 반면 [[2005년]]에 발견된 [[에리스 (왜행성)|에리스]]보다는 가볍다. 크기 추정의 오차 범위를 고려할 때 에리스와 명왕성 중 어느 쪽이 더 큰지는 아직 알 수 없다.<ref name="Plutosize" /> 양쪽 다 대략 2330km 정도 직경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Plutosize" />
 
명왕성의 대기와 탄화수소의 안개 때문에 정확한 크기의 추정이 다소 어렵다.<ref name="Plutosize" /> [[2014년]]에는 명왕성 대기의 메탄 비율을 고려했을 때 직경은 2360km 이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는데 이에 따르면 명왕성이 에리스보다는 조금 큰 것이다.<ref name=lellouch>{{저널 인용|title=Exploring the spatial, tempor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ethane in Pluto’s atmosphere|author=E. Lellouch, C. de Bergh, B. Sicardy|url=http://arxiv.org/ftp/arxiv/papers/1403/1403.3208.pdf|journal=Icarus|date=March 12,2014년 20143월 12일}}</ref>
 
=== 대기 ===
121번째 줄:
== 위성 ==
{{본문|명왕성의 위성}}
명왕성에는 다섯 개의 위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78년]] 제임스 크리스티가 발견한 [[카론 (위성)|카론]]과, [[2005년]] 발견된 [[닉스 (위성)|닉스]]와 [[히드라 (위성)|히드라]],<ref name="Gugliotta2005">Guy Gugliotta. "[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5/10/31/AR2005103101426.html Possible New Moons for Pluto]." ''[[Washington Post]].'' November 1, 2005. Retrieved on October 10, 2006.</ref> 그리고 2011년 발견된 [[케르베로스 (위성)|케르베로스]]와<ref name="P4">{{웹 인용| url = http://www.nasa.gov/mission_pages/hubble/science/pluto-moon.html| title = NASA의 허블 우주 망원경이 명왕성의 또다른 위성을 발견해 (NASA's Hubble Discovers Another Moon Around Pluto)| first =| last =| publisher = NASA| date = July2011년 20,7월 201120일| accessdate = 2011-07-20}}</ref> 2012년 발견된 [[스틱스 (위성)|스틱스]]이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pace.com/16531-pluto-fifth-moon-hubble-discovery.html|title=허블 우주 망원경이 명왕성의 다섯 번째 위성을 발견해 (Pluto Has a Fifth Moon, Hubble Telescope Reveals)|last=Wall|first=Mike|date=11 July 2012|work=Space.com|accessdate=11 July 2012}}</ref>
 
명왕성의 위성들은 다른 행성계에 비해 유독 명왕성에 가까이에 위치해 있다. 예를 들어 해왕성의 위성 [[프사마테 (위성)|프사마테]]는 해왕성을 [[힐 권]]의 40% 반경에서 공전한다. 명왕성의 경우, 위성들은 명왕성의 [[힐 권]] 반경의 최대 53% 거리에서 ([[역행 궤도]]로 돈다면 최대 69%) 공전 가능하나, 모든 위성들은 힐 권 안쪽 3% 반경 이내에 위치한다. 발견자에 따르면, 명왕성계는 고도로 압축되고 비어 있다.<ref name="Sternetal 2006">{{저널 인용| author = S.A. Stern| title = 명왕성 4중계의 특성과 기원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Quadruple System at Pluto)| journal = Nature| volume = 439| pages = 946–948| year = 2006| doi = 10.1038/nature04548| pmid = 16495992| issue = 7079| arxiv = astro-ph/0512599| bibcode = 2006Natur.439..946S| author-separator = ,| display-authors = 1| last2 = Weaver| first2 = H. A.| last3 = Steffl| first3 = A. J.| last4 = Mutchler| first4 = M. J.| last5 = Merline| first5 = W. J.| last6 = Buie| first6 = M. W.| last7 = Young| first7 = E. F.| last8 = Young| first8 = L. A.| last9 = Spencer| first9 = J. R.}}</ref> 그러나 고리를 포함해서 다른 천체들이 추가로 존재할 가능성도 지적되었다.<ref name="Steffl 2006">{{저널 인용| author = Andrew J. Steffl| coauthors = S. Alan Stern| title = 명왕성계의 고리에 관한 일차 제약조건 (First Constraints on Rings in the Pluto System)| journal = The Astronomical Journal| volume = 133| pages = 1485–1489| doi = 10.1086/511770| year = 2007| issue = 4| arxiv = astro-ph/0608036| bibcode = 2007AJ....133.1485S}}</ref><ref>{{cite news|url=http://news.discovery.com/space/astronomy/pluto-could-have-ten-moons.htm|title=Pluto Could Have Ten Moons|date=18 March 2013|work=Discovery.com|accessdate=25 March 2013}}</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