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7,387
번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제우스의 여인) |
|||
{{출처 필요}}
[[File:Mnemosyne (color) Rossetti.jpg|thumb|[[단테이 게이브리얼 로세티|로세티]]에 의한 므네모시네 (1876년-1881년 즈음의 작품)]]
'''므네모시네''' ({{llang|grc|Mνημοσύνη|Mnemosyne}})는 [[그리스 신화]]에서 ‘기억’([[영어]]로 memory)이라는 추상적 개념이 의인화된 신으로 [[티탄 (신화)|티탄족 여신]] 중의 하나이다. [[우라노스]]와 [[가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6명의 딸 중의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므네모시네는 [[제우스]]와 9일 동안을 동침했는데 그 결과로 시와 음악의 요정들인 9명의 [[무사 (신화)|무사이]](Muses)를 낳았다고 한다.<ref>헤시오도스,
므네모시네는 또한 지하 세계인 [[하데스]]에서 기억의 연못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 므네모시네의 물은 [[레테 강]](Lethe)의 물과 대(對)를 이룬다. 죽은 사람이 [[레테 강]]의 물을 마시면 [[윤회|환생]]할 때 전생의 기억을 모두 잃고 므네모시네의 물을 마시면 전생의 기억이 되살아난다고 한다. 이 때문에 신비 의식의 비전 입문자들(initiates)은 므네모시네의 물을 마시도록 권장되었다.
므네모시네는 이름을 붙이는 것을 시작했다고 여겨지며<ref>시케리아의 디오드로스, 5권 67・3.</ref>, 또 학문의 길을 연구할 때는 므네모시네와 무사이에게 기원했다<ref>「파이안」 제7가 b16~20(단편 52 h).</ref>.
덧붙여 [[소행성번호]] 57번의 [[소행성대]]의 [[소행성]]은 므네모시네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 각주==
<div class="references-small"><references /></div>
== 참고문헌 ==
* [[아포로드로스]] 「그리스 신화」[[고우즈 하루시게]] 역, [[이와나미 문고]] (1953년)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디오도로스]] 「일본의 신화 시대 지지」이이오 도시사람 역, 용계서사(1999년)
* [[핀다로스]] 「승리 축하 가집/단편선」우치다차신 역, [[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 (2001년)
* 헤시오도스 「신통기」[[히로카와 요우이치]] 역, 이와나미 문고(1984년)
* 고우즈 하루시게 「그리스·로마 신화사전」, [[이와나미 서점]] (1960년)
== 함께 보기 ==
{{공용|Mnemosyne}}
* [[그리스 신화]]
* [[57 므네모시네]]
{{그리스 신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