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출혈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3번째 줄:
 
== 원인 ==
{{본문|에볼라 바이러스에볼라바이러스속}}
[[파일:EbolaCycle.png|250px|섬네일|에볼라 바이러스가 순환하며 인간에게 걸리게 되는 원리를 설명한 그림.]]
에볼라 바이러스로 일어나는 에볼라 출혈열은 [[모노네가바이러스목]](Mononegavirales) [[필로비리바이러스과]](Filoviridae) [[에볼라바이러스속]](Ebolavirus)에 속하는 4~5가지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발한다. 그 종류로는 [[분비부교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수단 바이러스]], [[타이 숲 바이러스]]이다. 다섯 번째 바이러스인 [[레스턴 바이러스]]는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줄 47 ⟶ 48:
 
박쥐의 임상적 증상이 없는 것이 보균종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가봉]]과 콩고 공화국에서 박쥐 679마리를 포함한 동물 1,030마리에 대한 조사 결과, 과일박쥐 13마리가 에볼라 바이러스 RNA의 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ref>{{저널 인용 | author = Leroy EM, Kumulungui B, Pourrut X, Rouquet P, Hassanin A, Yaba P, Délicat A, Paweska JT, Gonzalez JP, Swanepoel R | title = Fruit bats as reservoirs of Ebola virus | journal = Nature | volume = 438 | issue = 7068 | pages = 575–576 | year = 2005 | pmid = 16319873 | doi = 10.1038/438575a | bibcode = 2005Natur.438..575L }}</ref> 2003년, [[큰박쥐류]] 중 3개 종([[망치머리박쥐]], [[프랑케견장박쥐]], [[작은목도리과일박쥐]])가 에볼라 바이러스와 접촉이 가능한 것이 밝혀졌다. 이제, 이 박쥐들은 에볼라 바이러스의 전파종으로 의심하고 있다.<ref>{{저널 인용 | author = Pourrut X, Délicat A, Rollin PE, Ksiazek TG, Gonzalez JP, Leroy EM | title =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Zaire ebolavirus antibody prevalence in the possible reservoir bat species | journal =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 volume = Suppl 2 | issue = s2 | pages = S176–S183 | year = 2007 | pmid = 17940947 | doi = 10.1086/520541 }}</ref><ref name = Times>Starkey, Jerome (5 April 2014) [http://www.thetimes.co.uk/tto/news/world/africa/article4054794.ece 90 killed as fruit bats spread Ebola virus across West Africa] The Times (subscription may be needed), Retrieved 5 April 2014</ref>
 
=== 바이러스학 ===
{{본문|에볼라 바이러스}}
 
==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