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증후군 출혈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2번째 줄:
유행성 출혈열은 19세기 초 [[러시아]]의 [[아무르]] 지역에서 발생하기 시작했다고도 한다. 문헌상으로는 1939년 일본인들이 [[흑룡강]] 유역의 송고 지방에 주둔한 [[일본 관동군]]에서 발생한 것을 기록한 것이 최초로 여겨지고 있다.<ref name="동아_1">不請客…반갑잖은疾病들, 《동아일보》, 1963.6.15</ref> 당시 러시아군과 일본군에서는 만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관동군 [[731부대]]에서는 [[한국인|한국인들]]과 [[중국인|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생체실험을 하였다고도 한다.<ref>[http://bric.postech.ac.kr/myboard/read.php?Board=interview&id=94&ksr=1&FindText=%C7%D1%C5%B8%B9%D9%C0%CC%B7%AF%BD%BA 대한학술원 이호왕 회장 (1)] - BRIC이 만난 사람들, BRIC, 2003.9.</ref><ref name="경향_1">韓國人등 3千명 細菌실험 祭物로, 《경향신문》, 1981.5.26</ref> 이 병은 '''코린열''', '''코카열''', '''송고열'''로도 불렸다.<ref name="동아_2">正體不明의 疾病 流行性出血熱, 《동아일보》, 1975.10.24</ref>
 
이 병은 1951년 한국전쟁 중에 다시 발견되었다. 중부전선에 주둔해 있던 유엔군 장병 2,070명이 감염되었고, 그중 다수가 사망하였다.<ref name="동아_1"/> 당시 학자들은이는 일찌기 한 번도 보지 못했던 한국의질병으로 특수한여겨졌고, 풍토병으로감염된 간주하여중공군으로부터 '한국형진드기를 출혈열'매개로 이라는발생한 이름을것으로 붙였다추정하였다.<ref name="동아_1"/>
 
[[세계보건기구]]는 이 질병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신증후군 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이라 명명하였다.<ref name="WHO">{{언어고리|en}} [http://www.who.int/biologicals/vaccines/haemorrhagic_fever/en/ Ha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WHO, 2011.11.14</ref> 따라서 공식적인 명칭은 '신증후군 출혈열' 이지만, '유행성 출혈열' 이라는 명칭도 자주 혼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