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himJS KHU (토론 | 기여)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FA/GA 틀 제거. 위키데이터 배지시스템 적용; 예쁘게 바꿈
17번째 줄:
==== 소뇌 피질 ====
 
두개의 반구로 이루어진 소뇌 피질은 모든 부분이 균등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중앙부인 충부(Vermis)를 넘어 양 옆에 있는 반구로 연장된다. 피질의 표면이 매우 밀접하게 접혀 소뇌회(folia)를 이루고있다.
대뇌 피질과는 매우 다른 모양으로 소뇌 피질은 뚜렷하게 3층으로 나누어 진다.
[[파일:011.jpg|350px|섬네일|오른쪽|소뇌 피질의 3층과 구성 세포 종류]]
35번째 줄:
과립층에는 둥글거나 타원형의 5~8um의 과립 세포가 매우 밀집되어 있다. 과립 세포가 핵막 주위에 염색과립을 가지고 있어서 소뇌 피질을 염색하면 매우 진하게 염색이 된다. 과립세포의 축삭들은 수직으로 분자층으로 들어가서 2갈래로 갈라져서 소뇌회의 평행방향으로 뻗어 평형섬유를 이룬다.
 
== 세포 구성 ==
 
'''1. 푸르키네 세포(Purkinje cell);조롱박 세포'''
64번째 줄:
== 역할 및 작용 ==
 
=== 구심성 회로(Afferent pathway) ===
대뇌 피질에서 소뇌로 3가지의 경로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81번째 줄:
대뇌 피질 중 감각 영역에 존재하는 신경세포, corticoreticular 섬유가 연수의 정중곁그물핵(Paramedian reticular nucleus)과 가쪽그물핵(Lateral reticular nucleus)으로부터 소뇌의 양쪽에 존재하는 아래소뇌다리 핵 (Inferior olivary nuclei)로 들어온다.<ref>통합강의를 위한 임상신경해부학 5판 천명훈 외 18명 </ref>
 
=== 원심성 회로(Efferent pathway) ===
 
소뇌 피질에서 나가는 모든 원심성 회로는 푸르키네세포의 축삭을 통해서 나간다. 소뇌 피질에서 나가는 원심성 섬유는 적색 핵(red nucleus), 시상(thalamus), 전정 복합체(vestibular complex), 망양체(reticular formation)와 연결되어 있다.
106번째 줄:
실정핵의 저부에서 나오는 섬유군은 정중선을 교차한 후 상소뇌 각 주위를 돌아 상행 섬유는 시상에 도달하여 연접 결합을 한다.
 
== 운동조절 ==
 
소뇌의 작용은 골격근의 활동 조절을 하는 것이다. 어떤 운동을 할지, 그러기 위해서는 몇 가지 근육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계획은 대뇌 피질의 전두엽(6영역)에서 세워지는데, 실제로 운동이 시작되고 나서 그 계획대로 여러 활동이 실현되도록 피드백 기구로 관여하는 것은 소뇌이다. 그래서 소뇌는 '추체 외로'라는 운동 명령 전달 경로에 관계하고 있다.
117번째 줄:
소뇌 피질에서 내보내는 명령은 소뇌핵을 통해 주로 간뇌나 중뇌로 보내져 거기에서 추체 외로에 연락한다. 따라서 제1경로보다 복잡하며, 그만큼 다른 방면에서 정보가 개입할 여지를 남기고 있다. 또 소뇌핵에서는 대뇌 피질에도 간접적이나마 연락이 있으며, 조절 기구의 일부는 의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병리학 ==
* 소뇌충부증후군 : 소뇌충부의 수질아세포종을 원인으로 한 증상이다. 편엽소절엽이 침범된으로써 전정계통과 관련된 증상과 징후들이 나타난다. 소뇌충부는 하나뿐으로 중앙선상의 구조물들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지를 제외한 머리나 체간에서 근육장애가 나타난다. 앞이나 뒤로 쓰러지는 경향이 있으며 머리를 지탱하거나 똑바로 서있기가 힘들다. 또한 몸통을 똑바로 세우는 것도 힘들다.
 
132번째 줄:
* 신소뇌증후군 : 신소뇌의 장애에 의해 같은 쪽의 근육긴장저하, 공동운동불능 및 변환운동장애 들이 나타난다. 치상핵까지 장애되면 의도진전이 더해진다.
 
== 출처 ==
<references/>
 
142번째 줄:
 
[[분류:뇌]]
 
{{Link FA|en}}
{{Link GA|lt}}
{{Link GA|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