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Nancykwo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번째 줄:
'''황태자'''(皇太子) 또는 '''왕태자'''(王太子)는 제국과 독립 왕국의 [[제위계승]]이나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황자]]나 [[왕자]]를 가리키는 칭호이다칭호다. 경칭은 [[전하 (호칭)|전하]](殿下)이다. 서양에서는 황태자 또는 왕태자와 [[왕세자]]의 경칭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황태자 또는 왕태자의 부인은 비궁(妃宮) 또는 '''[[황태자비]]'''(皇太子妃), '''왕태자비'''(王太子妃)라고 한다. 명칭의 유래는 중국에 있는데, 중국에서는 차기 [[왕위 계승자]]를 태자, 왕태자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것이 진의 통일 이후 군주의 칭호가 황제가 되면서 차기 제위 계승자의 칭호도 자연스럽게 황태자로 바뀌었다. 원래, [[황후]] 소생의 적장자를 태자로 책봉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이를 제대로 지킨 경우는 많지 않으며, 한나라 이후에는 제후왕의 후계자를 태자가 아닌 세자로 낮춰 불렀기에 제후왕의 후계자를 '왕세자'라고 불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태자가 세자보다 높은 의미를 갖기에 왕국이라도 독립 왕국이나 황제국에 버금가는 왕국은 왕세자 대신 왕태자를 사용하였다사용했다. 그러므로 현재 영국의 왕위계승자는 왕세자가 아닌 '왕태자'로 번역하고 부르는 것이 맞다. 그러나 한국의 조선왕조 같은 경우는, '왕태자'를 사용한 고려 초,중기랑은 다르게 형식상 중국의 제후국이었기에 '왕세자'라고 낮춰 불렀다.
 
[[한국]]의 경우, [[고려]] 시대 [[원나라]] [[원 간섭기|간섭기]] 때부터 [[중국 대륙]]의 책봉 체제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왕태자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못한 대신 왕세자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사용했다. 그러나 [[청나라]]의 종속으로부터 벗어날 무렵인 [[1894년]](고종 31년), 다시 왕태자라는 칭호를 복권시켰다<ref>[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query_ime=%EB%8C%80%EA%B5%B0%EC%A3%BC+%EC%A0%84%ED%95%98&keyword=%EB%8C%80%EA%B5%B0%EC%A3%BC+%EC%A0%84%ED%95%98 《조선왕조실록》1894년(고종 31년) 12월 17일 1번째 기사]</ref>. 처음에는 대조선국 대군주 폐하와 왕태자 전하였다가전했다가, 후에 대한제국이 성립되면서 황제 폐하와 황태자 전하로 바뀐다.
 
그러나 [[한일 병합]]에 의해 [[대한제국]]이 [[일본 제국]]의 [[식민지]]로 전락하면서 대한제국의 [[황제]]는 이왕(李王)으로 격하되어 왕위 계승자 칭호는 다시 왕세자로 바뀌어바뀌여 버렸다. 현재는 일본으로부터 독립하여 [[공화정]]이 들어서면서 [[군주제]]가 폐지되어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대한제국]]에서 마지막으로 정식 책봉을 받은 황태자는 순종의 이복동생 [[의민 황태자|의민황태자 이은]]이다.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