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나선은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막대
(→막대) |
|||
[[File:Blue bursts of hot young stars.jpg|thumb|청색, 백색, 황색의 작은 별들이 보이는 나선은하 IC 5052의 일부를 촬영한 사진.<ref>{{cite news|title=뜨겁고 어린 별들의 청색 폭발|url=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potw1309a/|accessdate=2013년 4월 3일|newspaper=ESA/Hubble}}</ref>]]
막대나선은하는 확실히 수적으로 우세하다. 관련 탐사들이 모든 나선은하의 3분의 2까지가 막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ref>{{cite journal | author=P. B. Eskridge, J. A. Frogel | title=막대나선은하의 실제 비율은 얼마인가? | journal=천체물리학 및 우주과학 | year=1999 | volume=269/270 | pages=427–430 | bibcode=1999Ap&SS.269..427E | doi=10.1023/A:1017025820201}}</ref> 현재 가설은 막대구조가 중심에서 별의 형성을 도모하여
막대의 형성은 일반적으로 안쪽 별의 궤도에 영향을 주는,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퍼져나가는
막대는 나선은하의 일생에서 일시적인 현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막대구조는 시간이 흐르면서 붕괴하여 막대나선형에서 "정상" 나선형 패턴으로 은하를 변화시킨다. 막대의 응집 질량은은 구조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무너뜨린다. 중심에 응집한 질량이 큰 막대나선은하는 짧고 뭉툭한 막대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ref>[http://web.archive.org/web/20020512044348/http://www.govertschilling.nl/artikelen/archief/2002/0204/020401_st.htm 잠깐 동안만 존재하는 막대나선은하], [[스카이 앤드 텔레스코프]], 2002년 4월</ref> 매우 많은 나선은하가 막대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막대구조는 아마 나선은하의 진화에서 반복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 나선은하에서 막대나선은하로의 변동 진화주기는 평균적으로 약 20억 년 걸리는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www.sciamdigital.com/index.cfm?fa=Products.ViewIssuePreview&ARTICLEID_CHAR=3BC08F0C-2B35-221B-67A9F2AE04AFC79A 은하 연못에서의 물결],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2005년 10월</ref>
최근 연구는 막대가 "형성시기"의 끝으로서 완숙한 상태에 이른 은하의 징후라는 생각을 확인해보였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스피처
== 같이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