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효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7번째 줄:
|타석 = 좌
|프로 입단 연도 = [[1983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1983년]]
|드래프트 순위 = [[1983년 한국한국프로야구 프로신인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드래프트|1983년]] 1차 3순위 ([[삼성 라이온즈]])
|첫 출장 =
|최종 출장 마지막 경기 =
|획득 타이틀 = <nowiki></nowiki>
*1983,1985~1987년 수위 타자
42번째 줄:
}}
 
'''장효조'''(張孝祚, [[1954년]] [[7월 6일]] ~ [[2011년]] [[9월 7일]])는 전 [[한국 프로 야구한국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의 [[외야수]]이자 전 [[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이다. [[2011년]] [[9월 7일]], 부산 [[동아대학교]]병원에서 간암 투병 끝에 56세로58세로 세상을 떠났다.<ref>[[스포츠 조선]] -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09080100054980004452&servicedate=20110907 "장효조 삼성 2군 감독 별세"]</ref>
 
== 야구 입문 ==
49번째 줄:
키 174cm, 체중 70kg에 지나지 않았던 장효조는 [[1972년]]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고]]에 진학하면서 본격적으로 능력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2학년이었던 1973년에 각종 대회에서 맹활약을 펼치며 대구상고를 대통령배, 봉황대기, 황금사자기 정상에 올려놓았다. 특히 황금사자기에서는 14타수 6안타를 몰아치며 우수선수, 타격 1위(0.428), 최다 안타상을 받았고<ref>[http://news.donga.com/3//20070705/8462712/1 ‘타격 달인’ 장효조“요즘 고교야구 투지 실종…잔꾀만 늘어”], 《동아일보》, 2007년 7월 5일</ref> 봉황대기에서도 타격왕을 수상했다.<ref name="park"/> 그 해 [[일본]]과의 고교야구 친선경기를 위해 대한민국 국가대표에 선발된 장효조는 다시 맹활약하여 한국이 2승 1무로 일본을 누르는데 큰 기여를 했다. 1974년에도 대구상고를 봉황기를 우승에 올려놓으며 또다시 타격왕과 최다안타 상을 수상했고<ref>[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109072138233&sec_id=510201&pt=nv ‘전설’ 장효조의 발자취], 《스포츠경향》, 2011년 9월 7일</ref>, 대통령배 고교야구대회에서는 5할을 기록하며 다시 타격상을 수상했다. 장효조는 그 해 출전한 네 개 고교야구대회에서 0.383라는 타율을 기록했다.<ref>[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1/09/09/5815493.html?cloc=olink|article|default 〈노재현의 시시각각〉 장효조에게 명예의 전당을], 《중앙일보》, 2011년 9월 9일</ref>
 
[[1975년]] [[한양대학교]]에 진학한 장효조는 1학년 때 대표팀에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고, [[1976년]] 백호기 대회에서 0.714(14타수 10안타)라는 경이로운 타율을 기록하며 타격왕을 달성하고 4연타석 2루타를 쳐 내는 등 크게 성장할 선수로 큰 기대를 모았다.<ref name="park"/>
 
== 프로 야구 경력 ==
실업 팀 포항제철에 입단하였다가 경리단에서 병역을 마친 후 연고 팀인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해 첫해부터첫 해부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프로 적응기가 필요하다는 전망을 비웃듯 1군 92경기에서 타율 3할 6푼 9리(1위), 18홈런(공위), 22도루(4위), 장타율 6할 1푼 8리(1위), 출루율 4할 7푼 5리(1위)로 천재성을 입증했다. <ref>김은진, '장효조, 최동원 불멸의 야구 천재' <<주간경향>>, 2011, 9, 27</ref> [[1983년]] 5월에 8연타석 안타에 3연타석 홈런을 때려 내며 타율이 0.414까지 치솟았다. 이는 [[한국 프로 야구]] 역사상 최초이며, [[1983년]] 시즌 내내 0.380 이상의 고타율을 기록하였으나, 막판에 약간 부진하여 0.369 의369의 타율로 시즌을 마감했다. [[삼성 라이온즈]]의 대표적 프랜차이즈 스타로 활약하며 '타격의 달인', '안타 제조기'등의 명성을 얻었다. [[1985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1985 시즌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 우승]]을 이끈 주역이기도 하다.<ref>[[일간 스포츠]] - 2010년 4월 기사 [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372186 "OB의 재구성 - 삼성 역대 최고 타선"]</ref>
 
그는 기자들 가운데서 '장효조가 치지 않으면 볼'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정도로 선구안이 뛰어났으며 그의 컨택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하지만 그는 타격실력에 비하여 형편없는 수비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도 삼성이 졌던 여러 원인중에 장효조의 캐치 미스가 있었다. 물론 그렇지만 해설자들이 평가하기로 그는 약한어깨긴하지만 유격수나 2루수가 커트 안하고 홈까지 직선으로 갈만큼 놀라운 송구정확도를 보였다.
58번째 줄:
선수협 사태로 인해 [[1988년]] [[12월 21일]] 좌완 [[투수]] [[장태수 (1964년)|장태수]]와 함께 [[외야수]] [[김용철 (야구 선수)|김용철]]과 [[투수]] [[이문한]]을 상대로 [[롯데 자이언츠]]에 트레이드되었다. 이는 [[최동원]]과 [[김시진]] 등이 트레이드된 후 한 달 후의 일이었다. [[1989년]] 1월 [[삼성 라이온즈]]에서 [[롯데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될 때 연봉 5,600만 원에 계약한 바 있다.
 
그리고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고]] 후배였던 [[이정훈 (1963년)|이정훈]]이 [[1991년]]의 그를 평가하기를 '장효조 선배는 늘 경기 후 밤에 맥주를 2캔 마시고 자는 습관이 있었다. 하지만 나와 타격왕 경쟁을 하면서 그 맥주를[[맥주]]를 끊고 밤새 연습을 하더라' 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그가 [[삼성 라이온즈]]에서 지녔던 등번호 10번은 그가 팀을 떠난 뒤 [[1993년]]에 입단한 [[양준혁]]이 달기도 했는데, [[양준혁]]은 그와 동일하게 좌타자이면서 타격왕을 네 차례나 수상하였다. 네 차례의 타격왕 수상은 역대 타격왕 최다 수상 횟수이다. 두 선수의 통산 타율은 각각 장효조 0.331와 [[양준혁]] 0.316로서 한국 프로 야구 통산 타율 1위와 2위의 성적이다. 이에 따라 삼성 구단과 팬들은 등번호 10번이야말로 삼성 팀 내에서 가장 타율이 높은 타자가 물려받는 등번호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ref>[[스포츠 서울]] - 2007년 9월 기사 [http://www.sportsseoul.com/news/baseball/pro/070928/2007092872470854000.htm "이래서 내가 타격왕 해야 한다, 사연 있는 타격왕 전쟁"]</ref><ref>[[한국일보]] - 2009년 9월 기사 [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0909/h2009091202363391800.htm "등번호엔 가치관 · 꿈 · 사연이…"]</ref><ref>[[일간 스포츠]] - 2010년 7월 기사 [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452630 "숫자로 본 양준혁 데뷔 이후 줄곧 썼던 등번호는?"]</ref>
 
[[2011년]] [[한국 프로 야구한국프로야구]] 30년 레전드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 사망 ==
그러나 레전드 올스타 행사 이후 몸에 이상을 느껴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은 결과 간암과 위암이 동시에 발견되었고, 2군 감독직을 [[투수]]코치 [[양일환]]에게 넘기고 [[동아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았으나 투병 도중 [[2011년]] [[9월 7일]] 오전 7시 30분 56세의 나이로 아깝게 세상을 떠났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두구동|두구동]] 영락공원의 묘지에 묻혔다안장됬다. 그가 세상을 떠난지 한 지 1주일 만에 [[최동원]]도 54세로 별세해 [[2011년]] 9월에만 [[대한민국한국프로야구]] 프로 야구계에서계에서 두 별이 떨어졌다.
 
== 출신 학교 ==
74번째 줄:
 
== 주요 기록 ==
* 진한 바탕은 한국 프로 야구[[한국프로야구]] 최초 기록임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