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익찬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앱
장난성 편집 전부 되돌림
5번째 줄:
| 로고= Taisei Yokusankai.svg
| 크기= 200px
| 약칭=익찬
| 당수총재= [[도조고노에 히데키후미마로]]
| 당수=
| 의장=
| 대표=
줄 21 ⟶ 22:
| 해산= [[1945년]] [[6월 13일]]
| 중앙 당사= {{국기|일본 제국}} [[도쿄]] 도쿄회관
| 이념= [[일본제국주의]]<br/>[[전체주의]]<br/>[[군국주의]]<br/>[[극우익]]
| 교섭단체=
| 국제=
줄 27 ⟶ 28:
|}}
 
'''대정익찬회'''({{ja-y|大政翼賛会|たいせいよくさんかい|타이세이요쿠산카이}})는 [[1940년]](쇼와 15년) [[10월 12일]]부터 [[1945년]](쇼와 20년) [[6월 13일]]까지 존재하였던 [[일본 제국]]의 관제 국민통합 단일기구이다. [[1940년]] 무렵부터 [[도조고노에 히데키후미마로]](近衛文麿)를 중심으로 거국정치 체제를 목표로 한 '''신체제운동'''이 계획되고 있었다.<ref name="개설">도쿄대 교양학부 일본사연구실 편, 《일본사개설》, 지영사, 1998년, 347 ~ 348쪽.</ref> [[1940년]] [[7월 22일]] 제2차 도조고노에 내각이 성립하자, 각 정당들이 해체되어 무정당 시대를 맞게되었다.<ref name="개설"/> 그 결과 10월에 군부·관료·정당·우익 등을 망라한 대정익찬회를 결성하게 된다.<ref name="개설"/> 본래 의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정치력을 결집하여 고도의 국방국가의 건설을 목표로 하였지만, 경제신체제안을 작성한 관료가 체포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신체제운동은 정신운동으로 전환되었다.<ref name="개설"/> 이후 군부가 주도권을 장악하고 대정익찬회는 행정보조기관으로 전락한다.<ref name="개설"/>
 
== 개요 ==
[[파일:Establishment of Imperial Rule Assistance Association.JPG|thumb|200px|대정익찬회의 발족]]
[[일본의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 [[도조고노에 히데키]]를후미마로를 중심으로 국가 체제의 쇄신을 요구하는 혁신파를 총결집시켜 신당을 결성하려는 구상은 비교적 일찍부터 검토되었다. [[1938년]] [[국가 총동원법]]이 중의원의 기성 정당의 반대로 폐기되기 직전에 몰렸을 때,도조를 [[아리마 요리야스]](有馬頼寧) 농림대신·[[오타니 손유]](大谷尊由) 탁무대신은 고노에를 당수로 한 신당을 만들어 중의원을 해산하고 총선거를 행하는 것을 검토하였지만, 신당에 의해 당이 붕괴되는 것을 우려한 정우회(政友会)·민정당(民政党)이 찬성으로 선회하여 법안이 성립했기 때문에 신당의 필요성이 없어졌고 일단 계획은 백지화 되었다.
 
[[도조고노에의 히데키]]취임총리 사임 이후로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어 국제 정세가 긴박하게 진행되자 일본도 강력한 지도 체제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는 신체제운동이 일어났고, 그 맹주로서 명문 출신이며 인기와 명성도 높았던 도조에고노에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기성 정당측에서도 도조에고노에에 대항하는 것보다 신체제에 참가하여 유리한 입장을 차지해야 한다고 하는 의견이 높아졌다. 민정당 총재 [[마치다 츄지]](町田忠治)와 정우회 정통파의 [[하토야마 이치로]]가 은밀히 협의하여 양당이 합동하는 반도조반고노에 신당을 구상하였다. 하지만 민정당에서는 [[나가이 류타로]](永井柳太郎)가 당의 해산론을 주창하였고, 정우회 정통파의 총재 [[구하라 후사노스케]](久原房之助)도 요나이(米内) 내각의 총사직에 가담하여 고노에의 수상으로의 재등장을 공언하였기 때문에 합동 구상은 실패로 끝났으며, 민정당·정우회 양파(정통파·혁신파)는 당을 해산하는 쪽으로 기운다.
 
도조도고노에도 제3차 도조고노에 내각의 성립 이후에 이와 같은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신체제를 담당할 일국일당 조직의 구상에 착수한다. 당시 도조의고노에의 브레인이브레인인 고토 류노스케(後藤隆之助)가 주재하는, 도조도고노에도 참가하고 있던 정책연구단체 쇼와연구회(昭和研究会)가 동아협동체론이나 신체제운동 촉진 등을 주창하고 있었다. 구상의 결과로서 대정익찬회가 발족되어 국민동원체제의 핵심 조직이 된다. 총재는 내각총리대신이 맡았으며, 중앙 본부 사무국 아래에 하부 조직으로 도부현 지부, 대도시 지부, 시구정촌 지부, 정내회, 부락회 등이 설치된다. 본부는 도쿄회관(東京會舘)에 설치되었다.
 
[[1940년]], 결사가 금지되고 있던 근로국민당(勤労国民党)이나 우익 정당인 동방회(東方会)를 제외한 모든 정당이 자발적으로 해산하여 대정익찬회에 합류하고 있었다. 쇼와연구회도 대정익찬회에 발전적으로 해소한다는 명목으로 [[1940년]] 11월에 해산하였다. 의회 내의 파벌은 존속하였지만 정치 활동은 하지 못하고, 관련 단체들이단체인 [[익찬의원동맹]] 등이 정치 활동을 하였다. 해산한 각 정당이나 내무성 등도 대정익찬회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협력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대정익찬회를 중심으로 [[태평양 전쟁]]하에서의 군부의 방침을 추인하여 지원하는 체제를 익찬체제라고 한다. [[1942년]] [[4월 30일]]에 실시된 제2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익찬정치체제협의회(익협)가 결성되어 466명(정원과 동수)의 후보자를 추천하여, 전 의석의 81.8%에 해당하는 381명이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