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ongofSol/작업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ongofSol (토론 | 기여)
SongofSol (토론 | 기여)
61번째 줄:
The mechanism behind full collapse fusion has been shown to be the target of the [[Botulinum toxin|botulinum]] and [[tetanus]] toxins. The botulinum toxin has [[protease]] activity which degrades the [[SNAP-25]] protein. The [[SNAP-25]] protein is required for vesicle fusion that releases neurotransmitters, in particular acetylcholine.<ref name="pmid12381720">{{cite journal |author=Foran PG, Mohammed N, Lisk GO, Nagwaney S, Lawrence GW, Johnson E, Smith L, Aoki KR, Dolly JO |title=Evaluation of the therapeutic usefulness of botulinum neurotoxin B, C1, E, and F compared with the long lasting type A. Basis for distinct durations of inhibition of exocytosis in central neurons |journal=J. Biol. Chem. |volume=278 |issue=2 |pages=1363–71 |year=2003 |pmid=12381720 |doi=10.1074/jbc.M209821200 |url=}}</ref> Botulinum toxin essentially cleaves these SNARE proteins, and in doing so, prevents synaptic vesicles from fusing with the cellular synaptic membrane and releasing their neurotransmitters. Tetanus toxin follows a similar pathway, but instead attacks the protein [[synaptobrevin]] on the synaptic vesicle. In turn, these [[neurotoxin]]s prevent synaptic vesicles from completing full collapse fusion. Without this mechanism in effect, muscle spasms, paralysis, and death can occur.
 
=== "kiss-and-run"키스앤런 ===
시냅스 소포가 재활용되는 방법으로 키스앤런 융합([[:en:kiss-and-run fusion|kiss-and-run fusion]]) 모델도 있다. 시냅스 소포가 세포막 일부와 접촉하면서("kiss") 작은 구멍을 뚫고 소포에 들어 있는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한 다음, 구멍을 닫고 세포로 돌아간다는 모델이다.<ref name="3synapse" /> 키스앤런 기작과 그 효과를 관찰한 사례는 많지만, 막을 완전히 융합하는 대신 세포가 이 기작을 따르는 이유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다만 자극(입력) 빈도가 높을 때, 그리고 소포가 부족하여 자원을 보존하여야 할 때 키스앤런 기작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f name="4synapse">{{cite journal |author=Harata NC, Aravanis AM, Tsien RW |title=Kiss-and-run and full-collapse fusion as modes of exo-endocytosis in neurosecretion |journal=J. Neurochem. |volume=97 |issue=6 |pages=1546–70 |year=2006 |pmid=16805768 |doi=10.1111/j.1471-4159.2006.03987.x |url=}}</ref> 버나드 카츠({{lang|de|Bernard Katz}})와 델 카스티요({{lang|es|José del Castillo}})$가 처음 관찰하였으며, 이후에 완전융합 기작과는 달리 키스앤런 기작에서는 세포의 전기용량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ref name="4synapse" /> 이로 인하여 키스앤런 방식으로는키스앤런은 시냅스 소포가 내용물을 방출하고 막에서 분리된다는분리되는 방식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되었다.
 
=== 조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