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 공간 (수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54번째 줄:
주어진 위상 공간 <math>(X,\mathcal T)</math>의 열린 집합들은 [[완비 격자|완비]] [[헤이팅 대수]]를 이룬다. 즉, 위상 공간은 [[직관 논리]]의 모형으로 여길 수 있다. 또한, 위상 공간은 [[양상 논리]] S4의 모형으로 여길 수 있다. 이 경우 양상 기호 <math>\square</math>(필연 기호)는 집합의 [[내부 (위상수학)|내부]]에, 양상 기호 <math>\diamond</math>(개연 기호)는 집합의 [[폐포 (위상수학)|폐포]]에 대등한다.
 
주어진 집합 <math>X</math> 위의 위상들은 섬세성 관계에 따라서 [[완비 격자|완비]] [[유계 격자|유계]] [[격자 (순서론)|격자]]를 이룬다. 이 격자의 [[최대 원소]](즉, 가장 섬세한 위상)는 [[이산 위상]]이며, [[최소 원소]](즉, 가장 엉성한 위상)는 자명[[비이산 위상이다위상]]이다.
 
주어진 집합 <math>X</math> 위의 위상들의 족 <math>\{\mathcal T_i\}_{i\in I}</math>의 [[하한]](만남)은
72번째 줄:
:<math>I\colon\operatorname{Set}\to\operatorname{Top}</math>
:<math>I\colon X\mapsto(X,\{\varnothing,X\})</math>
는 집합을 [[비이산 공간]]으로 대응시킨다.
는 집합에 자명 위상을 부여한다.
 
<math>\operatorname{Top}</math>은 [[완비 범주]]이며 [[쌍대 완비 범주]]이다. 즉, 모든 작은 (= [[고유 모임]] 크기가 아닌) [[극한 (범주론)|극한]]과 [[쌍대극한]]이 존재한다. [[시작 대상]]은 (유일한 위상을 갖춘) [[공집합]] <math>(\varnothing,\{\varnothing\})</math>이며, [[끝 대상]]은 하나의 점을 갖는 공간 <math>(\{\bullet\},\{\varnothing,\{\bullet\}\})</math>이다.
79번째 줄:
[[파일:Topological space examples.svg|frame|right|300px|집합 {1,2,3} 위의 집합족들 가운데, 처음 네 개는 위상이지만, 붉은색 가위표가 그려진 마지막 두 개는 위상이 아니다.]]
[[유한 집합]] 위의 위상의 경우, 열린 집합들을 그대로 나열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집합 ''X'' = {1,2,3} 위에서, 다음은 위상을 이룬다.
* <math>\{\varnothing,\{1,2,3\}\}</math> (자명[[비이산 위상]])
* <math>\{\varnothing,\{1,2,3\},\{1\}\}</math>
* <math>\{\varnothing,\{1,2,3\},\{1,2\},\{1\},\{2\}\}</math>
95번째 줄:
* 아무런 구조 없는 집합 <math>S</math> 위에도 여러 위상을 줄 수 있다.
** 모든 집합을 열린 집합으로 하는 '''[[이산 위상]]'''
** 공집합과 전체 집합 밖에 열린 집합이 없는 '''자명[[[비이산 위상]]'''({{llang|en|trivial topology}})
** [[쌍대 유한 집합]] 및 [[공집합]]이 열린 집합인 '''쌍대 유한 위상'''({{llang|en|cofinite topology}})
**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무한 [[기수 (수학)|기수]] <math>\kappa</math>에 대하여, <math>|S\setminus U|<\kappa</math>인 집합 <math>U</math> 및 공집합이 열린 집합인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