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8,440
번
Linear Functio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앱 |
잔글 (白:사:Ysjbserver의 요청으로 {{주석}}을 {{각주}}로 바꿈 total:18220, replaced: {{주석 → {{각주 using AWB) |
||
1581년에 영국의 로버트 노먼({{lang|en|Robert Norman}})은 저서 《새로운 인력》({{lang|en|The Newe Attractive}})에서 [[나침반]] 바늘이 아래로 살짝 기울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처음에 그는 나침반의 불균형을 그 이유로 생각했지만 반복적인 실험으로 단순 나침반의 불균형이 아니라 실제로 아래쪽으로 힘을 받음을 발견했다. 노먼은 생각하지 못했지만, 이 실험은 나침반 바늘을 움직이는 힘이 하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지구에 의한 것임을 발견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1600년에, [[윌리엄 길버트]]는 《자석에 대하여》<ref>W. Gilbert, De Magnete (P. Fleury Mottelay 영역), Dover Publications, 1991.</ref> 라는 제목으로 자기 현상을 연구한 책을 출판하였다. 이 책에서 길버트는 나침반이 지구의 자기적 성질에 의하여 작동한다고 주장하였고, 이는 자기 현상에 대한 첫 과학적 연구로 여겨진다.
그 뒤, 자기 현상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발해져 더욱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이론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는 자기 현상이 어떤 가상의 자기 [[유체]] ({{lang|en|magnetic fluids}})로 인한 것이라는 가설이 유망하였으나, 19세기에 와서 자기장은 전류의 흐름에 의해서 생기게 된다는 [[앙드레마리 앙페르]]의 발견을 토대로 [[마이클 패러데이]]는 자기 유체의 존재를 부정하였고,<ref>M. Faraday, Experimental Researches in Electricity, vol III Taylor and Francis, 1855.</ref> 이후 이 가설은 곧 잊혀졌다.
패러데이의 자기와 전기현상에 대한 발견 이후, 스코틀랜드 과학자인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이때까지 관측된 자기현상과 전기현상을 바탕으로 전자기학 이론<ref>J.C. Maxwell, A dynamical theory of the electromagnetic
==주석==
{{
== 같이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