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로봇: 분류:기독교사회 운동 제거
Shirobot (토론 | 기여)
잔글 白:사:Ysjbserver요청으로 {{주석}}을 {{각주}}로 바꿈 total:18220, replaced: {{주석 → {{각주 using AWB
1번째 줄:
'''남궁억'''(南宮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교육자, 계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사회운동가, 시인, 작사가, 작곡가, 언론인이다. 자(字)는 치만(致萬)이고 호(號)는 한서(翰西)이며 본관은 [[함열 남궁씨|함열]](咸悅)이다. 원적지는 [[강원도]] [[홍천군|홍천]]이며 [[한성부]] 출생인 그는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을 비롯한 노래들을 작곡하였으며 [[좌옹 윤치호]]의 사돈이기도 하다.
 
[[1887년]] 영어학교를 졸업하고 고종의 통역관이 되어 관직에 나갔으며 [[1894년]] [[내무부]] 토목국장이 되어 [[경성부]] [[탑골공원]](파고다 공원) 공사의 감독을 맡아 완공시켰다. 또한 [[경성부]]내의 도로 정비와 도시 계획을 주도하였다. 그뒤 개화, 계몽운동을 추진하다가 [[1903년]]부터 성주목사, 양양군수(襄陽郡守)를 지냈으나 [[1905년]] [[을사 보호 조약]]으로 관직을 사퇴하고 대한협회장, 관동학회(關東學會) 회장 등으로 활동하며 계몽, 교육 활동에 전념하였다.
 
[[1910년]] [[10월]] [[한일합방]] 이후에는 배화학당 교사와 상동학원 원장을 겸하며 교과서를 편찬하고 교회와 학교를 세웠으며, 신편언문체법(1914), 가정교육(1914) 등의 교과서를 저술하였다. [[1918년]] 고향 홍천 모곡으로 낙향하여 교회와 학교를 짓고 [[무궁화]] 보급 운동을 추진했다. [[1933년]] [[12월]] [[조선총독부]]의 불심검문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35년]] 석방되었다. 성이 남(南)이고, 이름이 궁억인 것으로 착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성이 남궁이고 이름이 억이다.
10번째 줄:
한서 남궁억은 [[1863년]](철종 14년) [[12월 27일]], [[한성부]] 종로방 정동 왜송골(倭松洞)에서 [[중추부]]도사(都事)를 지낸 [[남궁영]](南宮泳)과 덕수 이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유년 시절에는 정식으로 수학하지 못하고 [[한문]] 공부를 하다가 [[1883년]](고종 20년) [[미국인]]이 경영하는 영어학교에 다녔다.
 
[[1884년]](고종 21)에는 영어학교 1학년 재학 중 해관(海關) [[묄렌도르프]](P.G. Von Möllendorff)의 견습생이 되었고, 1886년 내부주사(內部主事)로 특채되었다. [[1887년]] 초 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조선 고종|고종]]의 어전통역관이 되었다.
 
==== 관료 생활 ====
17번째 줄:
=== 계몽, 구국 운동 ===
==== 독립협회, 독립신문 활동 ====
[[1895년]] [[12월]] [[서재필]]이 귀국하자, 이후 귀국한 [[서재필]](徐載弼), [[유길준]], [[윤치호]], [[이승만]] 등과 개화 운동을 펼친다. 또한 서재필과 함께 언론사 창립을 추진한다. [[1896년]] 초에는 [[서재필]], [[윤치호]]와 [[독립신문]] 창간에 참여하고 [[독립신문]]의 기자이자 필진의 한사람으로 활동하며 독립정신을 고취하였다. 그해 [[2월]] [[아관파천]]이 단행되자 관직을 사퇴하였다.
 
그해 별군직으로 임명되었으나 한직이었다. [[1896년]] [[7월 2일]]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李商在) 등과 [[독립협회]]의 창립총회에 참여했으며, 이때 남궁억은 독립협회의 중앙위원 겸 수석 총무로서 또 서기가 되었다가 [[독립협회]] 평의원, 사법 위원을 겸하였다. [[1897년]] 관직을 사퇴하였다. 한편 [[독립협회]] 기관지인 《대조선독립협회회보 (大朝鮮獨立協會會報)》의 발행에도 참가하였다.
 
[[1898년]](광무 1년) [[독립협회]] 관계로 투옥되었다가 석방되었다.
 
==== 언론 활동 ====
그해 [[9월]] 나수연(羅壽淵), 유근(柳瑾) 등과 함께 재정난에 허덕이던 [[윤치소]]의 [[경성신문]]을 인수하고 다시 [[황성신문]]사(皇城新聞社)를 창간하여 사장이 되었다. 이후 [[황성신문]]을 일간지로 발행하고 국한문 혼용체를 채택했다. 그밖에 국민 계몽과 독립협회 활동을 지원하는 데 힘을 쏟았다. 대한제국의 정치체제를 전제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로 개혁, 의회를 설립하고 대대적 개혁을 단행해야 된다는 주장을 하며 독립협회운동과 [[만민공동회]]의 지도자로 활동하다,
 
[[1898년]] [[11월]] 왕당파로부터 왕정타도와 [[공화정]]을 수립하려 한다는 이유로 탄핵당하고 17명의 지도자와 함께 경성부 외곽에 숨었으나 결국 경무청 형사들에 의해 체포되었다. [[1899년]] [[12월]] [[독립협회]]가 강제로 해산당하자 언론 활동에만 전념하였다. [[1900년]] [[7월]] [[황성신문]]에 [[러시아]]와 [[일본]]의 한국분할설을 주장하고 이를 번역하여 외국 신문에서 옮겨 실어, 러시아와 일본의 한국 침략 야욕을 폭로하는 논평을 게시했다가 경무청에 체포, 구금되었다.
41번째 줄:
[[1910년]](융희 4년) [[10월]] [[한일 합방 조약]]이 체결되자 [[배화학당]](培花學堂) 의 [[한글]], [[역사]], 가정 교사가 되고 [[1911년]]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배화학당 교사로 있으면서 《가정교육》 《신편언문체법(新編諺文體法)》 등 교과서를 지었고 '우리의 역사', '언문 체법', '가정 교육', '무궁화 지도', '육아법' 등의 책을 집필, 발간하고 시와 노래를 지었다. 1912년부터는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 원장을 겸하면서 독립사상 고취, 애국가사 보급, 한글서체 창안 및 보급에 힘썼다.
 
[[1910년]]부터 [[배화학당]]과 상동청년학원 교사로 재직하다, [[1918년]] 건강이 악화되면서, 친지들의 권고에 따라 울적함을 달래기 위해 [[강원도]] [[홍천군]](洪川) 서면 모곡리 보리울로 낙향하여 [[1919년]] [[9월]] 모곡(牟谷)에 교회와 모곡학교를 세웠다.
 
낙향 초기에는 교회를 설립한다 하여 주민들의 편견과 비방에 시달리기도 했다. 문맹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 그는 20대에서 30,40대의 학생들도 받아서 가르쳤다고 한다. 낮에는 학교 교사로 밤에는 부락의 마을 지도자로 활동하고 주말에는 교회에서 설교를 하였다. 또한 조선이야기 와 동사략 등을 집필, 간행하였다. 후에 모곡학교는 총독부 학제 개편에 의해 한서국민학교와 한서중학교로 분리되었다. 그는 홍천군 모곡리 유리산에 올라 매일 '불의의 일본을 이 땅에서 물리쳐 주소서.', '이 민족에게 불의에 굴하지 않는 힘을 주소서.'하고 매일과 같이 기도하였다 한다. 또한 일하러 가세 일하러 가 로 시작하는 삼천리반도 금수강산을 비롯한 몇몇 노래와 시 등을 직접 작사 작곡하였다. 그는 학교 안에 무궁화 묘포를 만들어 나라꽃인 무궁화를 전국에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노동과 애국심을 주제로 한 찬송가와 시, 가사 등을 지어 전국의 교회와 기독교계 학교들에 보급하였다. 특히 그가 지은 창가(唱歌) 가사 무궁화동산, 기러기 노래, 조선의 노래, 운동가, 조선지리가(朝鮮地理歌) 등은 민간에 널리 유행하였다.
 
==== 투옥과 석방 ====
{{참고|십자당 사건}}
그뒤〈무궁화 묘포〉(苗圃)를 만들었으며 1933년에는 무궁화동산이라는 노래를 지어 학생들에게 가르쳤다는 죄목으로 체포되었다가 8개월만에 풀려났다. 그러나 가석방된 뒤 [[1933년]] [[9월]] 기독교 계열 독립운동 비밀결사인 [[십자당]](十字黨)을 조직, 활동하다가, [[1933년]] [[12월]]에 총독부 경찰의 불심검문에 걸려 [[홍천]] 모곡리 무궁화 사건(십자당 사건)으로 비화되면서 홍천경찰서로 넘겨졌다가 [[경성부]] [[서대문형무소]]로 넘어가 복역한다. 일제가 민족 정신을 말살하기 위하여 [[일장기]]와 [[벚꽃]]을 보급하고 장려하려는 것에 항거해 당시 모곡리의 [[감리교]] [[전도사]]로 일하던 남궁억은 그의 동지들과 더불어 민족정신 고양을 위해 [[무궁화]] 묘목을 전국에 배포하였다.
 
남궁억은 [[1918년]] 자신의 선향인 [[강원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에 내려와 모곡 감리교회를 세우고 전도사로 목회하면서 더불어 교회내에 4년제 [[보통학교]]를 설립하였다. 그는 '무궁화 심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치고 무궁화 묘목을 가꾸어 보급하였으나 일제는 무궁화 묘목 8만주를 불태우고, 이들을 구속하였으며, 학교는 공립학교로 강제 편입시켜 버렸다.
 
=== 최후 ===
그뒤 조선총독부 경무국과 학무국의 회유를 받았으나 모두 거절하고 고문을 당하였다. [[1935년]], 복역 중 병으로 석방되어 [[개성]]의 [[윤치호]] 자택에서 얼마간 요양하다가 고향인 [[홍천]]으로 낙향하였다. 저서로는 《동사략(東史略)》, 《조선이야기》, 《가정교육》, 《조선어보충(朝鮮語補充)》, 《신편언문예법》, 《조선어문법(朝鮮語文法)》 등이 있으며 이 중에는 기독교계열 학교의 교과서, 교재로도 활용되었다. 석방된지 4년 만인 [[1939년]] 4월 5일에 고문 후유증 등으로 사망하였다.
 
[[1937년]] [[1월]] 부인 양씨의 장례식을 치룬 뒤 그는 제자들과 친지들에게 "내가 죽거든 무덤을 만들지 말고 과일나무 밑에 묻어 거름이나 되게 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 사후 ===
133번째 줄:
 
== 주석 ==
{{주석각주}}
 
== 참고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