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hirobot (토론 | 기여)
잔글 白:사:Ysjbserver요청으로 {{주석}}을 {{각주}}로 바꿈 total:18220, replaced: {{주석 → {{각주 using AWB
23번째 줄:
해파리는 몸을 활짝 벌렸다가 재빨리 안쪽으로 오므리면서 헤엄친다. 그러다 움직임을 멈추면 바다 바닥으로 가라앉는데, 가라앉는 동안 촉수와 구엽에 부딪치는 작은 동물들을 잡는다. 촉수와 구엽에는 자포가 있는데, 자포로 미세한 독이 있는 실을 쏘아 동물을 마취시킨 후 입으로 삼킨다.
 
해파리는 알을 낳아 번식한다. 알은 미세한 폴립으로 발달하는데, 이 폴립은 바다 바닥에 몸을 부착시킨다. 여기서 출아라는 방법으로 해파리가 나온다. 또한 일정한 크기로 자라면 폴립에서 떨어져 나가 성체로 자란다. 어떤 해파리는 독을 가지고 있어 사람이 그 독에 쏘이면 고통을 느끼거나, 심하면 죽기도 한다.
 
[[키아네아 카필라타]]는 세상에서 가장 크고 긴 해파리로 알려져 있다.<ref>[http://www.waterford-today.ie/index.php?option=com_content&task=view&id=933&Itemid=10177&ed=68 Waterford Today - Rare sighting of a lion’s mane jellyfish in Tramore Bay<!--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www.jellyfishfacts.net/mane-jellyfish.htm</ref><ref>[http://www.redorbit.com/education/reference_library/cnidaria/lions_mane_jellyfish/4326/index.html Lion’s Mane Jellyfish - Reference Library - redOrbit<!-- 봇이 따온 제목 -->]</ref>
 
== 해부 구조 ==
[[파일:Cross_section_jellyfish_enCross section jellyfish en.svg|500px]]
: [[꽃모자해파리]](Olindias formosa)의 단면으로, 메두사(medusa) 단계의 해파리를 해부한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39번째 줄:
 
== 피해 ==
2007년 북아일랜드에서는 해파리가 수십㎢의 해역을 뒤덮은 탓에 양식하던 연어 10만 마리가 질식해 폐사하였다. 대한민국에서도 해파리의 대량 증식으로 어업의 피해가 이어지는 등 세계 곳곳에서 해파리로 인한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수가 증가한 해파리가 전 세계 바다를 점령할 거라는 '해파리 지배설'이 등장해 힘을 받았다. 그러나 2012년 2월 과학학술지 [[네이처]]의 기사를 통해 세계해파리그룹(GJG) 연구진은 해파리는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으며, 해파리 지배설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주장에서도 한반도와 일본 연안은 예외로 두었다.<ref name="변태섭">[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1202/h20120212213509111720.htm 해파리떼 출몰 빈발… 한반도 바닷가 점령하나] 변태섭《한국일보》2012-02-12</ref> 이 지역은 [[온난화]]로 세계 기온이 평균 0.24도 오른것과 다르게 1.7도나 올랐고<ref>[http://www.ytn.co.kr/_ln/0108_201107051352218998 "'장마' 대신 '우기'...한반도 기후 아열대화 진행].《YTN》.2011-07-05.</ref> 무분별한 어획으로 인한 어린 물고기 수의 감소와 오폐수 증가가 용존산소량이 4ppm 이상 돼야 살 수 있는 타 어류와 달리 1ppm만 돼도 살 수있는 해파리에게 유리해져 바다 생태계의 빈자리가 많아짐에따라 해파리의 증식에 좋은 조건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ref name="변태섭"/>
 
== 사진첩 ==
57번째 줄:
 
== 주석 ==
{{주석각주}}
 
== 참고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