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리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Shirobot (토론 | 기여)
잔글 白:사:Ysjbserver요청으로 {{주석}}을 {{각주}}로 바꿈 total:18220, replaced: {{주석 → {{각주 using AWB
1번째 줄:
{{정리 필요}}
 
'''추리물'''(推理物)은 [[탐정]]이나 [[형사]] 등을 [[주인공]]으로 하여 범죄나 사건을 해결하는 것을 줄거리로 하는 문학 장르로, [[미스터리물]]과 [[범죄물]]의 하위장르이다. 추리 소설은 수수께끼 풀이에 중점을 두는 [[소설]]로서, 증거에 입각하여 범죄의 진상을 규명하는 것이므로 경찰사법제도가 확립되고 민주적인 재판이 행해지는 나라가 아니면 발달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근대 [[범죄학]]의 체계를 세운 [[외젠 프랑수아 비도크]]의 회고록은 근대 추리 소설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ref name="유용"/>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0142049 범죄 심리학자가 꼽은 최악의 살인사건은?]. 노컷뉴스. 2007년 3월 6일.</ref> <ref>이연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45&aid=0000004658 신문칼럼 기고로 검사 그만둔 금태섭 변호사의 진실 찾기]. 레이디경향. 2008년 11월 7일.</ref> <ref>김기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0447080 인간적인 자베르, 표창원]. 헤럴드경제. 2013년 4월 4일.</ref>
 
수수께끼에 빠진 사건이 탐정의 합리적 추리에 의해 해결되는 추리 소설의 [[플롯]]은 근대적 사법제도의 형성이라는 '사회적 배경', 이성의 힘으로 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는 '근대적 사유', 시민사회의 안정적 유지를 희구하는 '보수적 태도' 등을 함축한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 등장하면서 이에 공감하는 작가 중에는 추리 소설의 이러한 기본 전제를 해체하려는 의도로 이 플롯을 차용하기도 했는데,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은 사건이 해결된 뒤에도 손상된 질서는 다시 회복되지 않으며 현실은 여전히 불가해한 미궁의 상태에 처해 있음을 그렸다.<ref>김호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3&aid=0000025655 ‘장미의 이름’과 다원주의적 상상력]. 주간경향. 2013년 6월 26일.</ref>
 
세계 3대 탐정으로는 [[에드거 앨런 포]]가 창조한 [[오귀스트 뒤팽]], [[아서 코넌 도일]]이 창조한 [[셜록 홈즈]], [[애거사 크리스티]]가 창조한 [[에르퀼 푸아로]] 등이 있다.<ref>신동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5&aid=0002235318 홈즈·포와르…명탐정 '독심술'에서 마케팅 미래를 본다]. 한국경제. 2010년 5월 6일.</ref> 추리물의 주인공은 대개 탁월한 조사 능력과 독특한 개성을 지닌 것으로 묘사된다. 주인공의 동료나 조수가 사건을 기록하거나 이야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화자로 등장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셜록 홈즈'와 함께 나오는 '왓슨'이나, '에르퀼 푸아로'와 함께 나오는 '헤이스팅스'가 대표적 예다.
 
== 역사 ==
38번째 줄:
 
== 참조 ==
{{주석각주}}
 
[[분류:추리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