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벨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삶과 죽음의 신을(를) 삭제함, 분류:죽음과 재생의 신을(를) 추가함
Shirobot (토론 | 기여)
잔글 白:사:Ysjbserver요청으로 {{주석}}을 {{각주}}로 바꿈 total:18220, replaced: {{주석 → {{각주 using AWB
27번째 줄:
기원전 2000년경 키벨레는 [[힛타이트]]의 [[후르리인]]들 사이에서 쿠바바라고 알려졌다. 쿠바바는 손에 [[석류나무]]와 거울을 가진 위엄이 있는 부인의 모습으로 그려져, 힛타이트 제국의 주요 도시인 [[카르케미시]]의 수호신이 되었다.
 
프리기아에서는 키벨레를 레아(또는 아그디스티스)로 여겨 상업도시였던 펫시누스<ref>본래 아티스는 이곳의 왕녀와 결혼하려고 했으나 어머니(키벨레)의 방해로 실패한다.</ref> 에 신전을 세웠다.<ref>역사가 스트라본이 언급한 사실</ref>
 
프리기아에서 키벨레의 우상은 대개 건물의 현관에 새겨져 있다. 외관 그 자체가 프리기아의 고지에 있는 바위를 깍아 만들어진 비석과 관계가 있다. 벨트가 있는 긴 드레스를 입고 있으며, 원통형의 키가 큰 모자를 쓰고 전신을 베일로 가리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맹금류와 항아리를 함께 지니고 있다. 그 후, [[페이디아스]]의 제자인 [[아고라크리토스]]([[:en:Agoracritos]])는 전형적인 키벨레의 성상을 만들었다. 그것에서 키벨레는 왕좌에 앉아 있지만 기품과 함께 모성을 지니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한 손은 사자의 갈기를 쓰다듬으며 나머지 손으로는 [[탬버린]]과 같은 악기를 들고 있다.
34번째 줄:
키벨레 숭배는 아나톨리아와 [[시리아]]의 내륙으로부터 [[크레타 섬]]을 비롯한 다른 [[에게 해]]의 섬들과 그리스까지 퍼졌다. 특히 [[아테네]]에서 유행하였다.
 
{{인용문2|다른 모든 것들과 함께, 아테네의 시민들은 외래의 사물을 환대했다. 신들을 숭배하는 것 역시 그랬다. 그들은 지극히 많은 외래의 종파를 환영했던 것이다. ……[[데모스테네스]]에 의해 초래된 프리기아의 그것(키벨레)도 포함된다. 그(데모스테네스)는 [[아이스키네스]]([[:en:Aeschines]])의 어머니와 아이스키네스에게 비난을 퍼부어 비의를 내리게 하고, 디오니소스 행진의 선두에 서 ''evoe saboe, hyes attes, attes hyes''<ref>이것의 의미는 [[프레이저 (영국)|프레이저]]가 저술한 《[[황금가지]]》의 49장의 3편 [http://www.sacred-texts.com/pag/frazer/gb04903.htm 〈아티스, 아도니스 그리고 돼지〉] 을 참조. 프레이저는 hyes를 돼지로 이해했다.</ref> 라고 몇번이나 외쳤는데, 이것들은 [[사바지오스]]([[:en:Sabazios]]) 의식과 레아(키벨레)에 대한 것이었다.|[[스트라본]], (10. 3:18)}}
 
[[알렉산드리아]]에서 키벨레는 그리스계 주민에 의해 "모든 어머니중의 어머니, 우리들의 기원을 듣는 구세주", "모든 어머니중의 어머니, 기원이 닿는 분"으로 숭배되었다. 소아시아 지중해 연안에서 상업 활동의 중심지였던 [[에페소스]]에서는, 기원전 10세기부터 이미 키벨레를 숭배하여 황홀함을 수반하는 도시의 축제(Ephesia)가 열리고 있었다.
41번째 줄:
 
=== 로마 ===
로마에서는 기원전 203년에 마그나 마테르로서 키벨레 신앙이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 당시의 로마는 [[제2차 포에니 전쟁|제2 차 포에니 전쟁]]을 치르고 있었다. 그 전년에, 《[[신탁집]]》([[:en:Sibylline Books]])에서 펫시누스의 키벨레에 대한 예언을 찾아내었다. 신탁에선 어떠한 외적이 이탈리아에 싸움을 걸었을 때, 마그나 마테르를 로마에 부르면 적을 격퇴할 수 있다고 적혀 있었다.<ref>Boatwright et al., ''The Romans, from Village to Empire'' ISBN 978-0-19-511875-9</ref> 신탁을 받은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스키피오]]는 여신을 만나고 싶다고 하는 모든 부녀자를 동반해 [[오스티아]]([[:en:Ostia (Rome)]])의 항으로 향했다. 그리고 스키피오는 여신<ref>펫사누스의 대모를 상징하는 숭배물</ref> 을 배에 싣고 되돌아와 [[파르테논 신전]]에 안치했다. 그 날은 4월 12일의 메갈레시안(Megalesian)의 축제였는데 모두가 볼 수 있었다.<ref>[[티투스]], 《로마의 역사》 29.10-11, .14 </ref>
 
로마에서는 이 여신이 프리기아에서 유래한 사실을 [[카툴루스]]에 의해 알려졌다. 그는 아티스를 테마로 한 유명한 시에서 키벨레의 신앙을 퍼트렸다. 그러나 [[성모 대성전]]이 키벨레의 신전이 있던 장소에 쌓아 올려졌을 때, 키벨레 신앙은 점차 쇠퇴했다.
59번째 줄:
* Vermaseren, Maarten Jozef.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trans. from Dutch by A. M. H. Lemmers (Thames and Hudson, 1977)
* Virgil. ''The Aeneid'' trans from Latin by West, David (Penguin Putnam Inc. 2003)
* Roller, Lynn E. ''In Search of God the Mother: the cult of Anatolian Cybele'' (U. of California Press, 1999) pp.230-231&nbsp;230–231
 
== 주석 ==
{{주석각주|2}}
 
[[분류:아나톨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