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의 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마의 산'''(魔의 山; Der Zauberberg, [[1924년]])은 [[토마스 만]]의 장편소설이다. 토마스 만의 사상 전환과 관련하여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초기의 대립적 인생관을 극복하여 대립에 지배당하지 않고 역으로 대립을 지배하고 전진하는 것이 인간의 이상적인 생활방식이라는 사상을 제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3398868 다보스포럼 X파일]. 매일경제. 2015년 1월 20일.</ref>
 
해석의 관점에 따라 교양소설, 시대소설, 시간소설, 성년입문소설 등으로 분류된다. 마의 산은 소설의 공간적 배경인 [[알프스 산맥]]에 위치한 요양원을 상징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전에 시민사회가 끝난다는 것을 알려주는 소설로서 토마스 만이 전통적인 문화와 사회의 죽음을 형상화하는 데 사용한 이미지는 요양원의 세계이다. 요양원의 모습을 통해 한 문화 전체가 몰락하는 것을 묘사하고, 주인공 카스토르프의 개인적 삶을 통해 시민적 주체가 사라지는 것을 형상화한다.
 
== 집필 동기 ==
[[1912년]] 만의 배우자 카티아가 폐렴이[[폐렴]]이 의심되는 증상으로 [[스위스]] [[그라우뷘덴 주]] [[다보스]]의 [[요양소]]에 입원했을 때 문병을 가 3주간 체재하면서 얻은 체험을 토대로 쓰여졌는데, [[제1차 세계대전세계 대전]]이 중도에 발발했기 때문에 집필에 12년이 걸렸다.
 
1000페이지에 달하는 《마의 산》의 핵심은 '인간은 선과 사랑을 위해 결코 죽음에 자기 사고의 지배권을 내주어서는 안 된다'라는 문장이다. 이 문장만 이탤릭체로 표기되어 있을 정도로, 잔인한 현실 앞에 이상을 저버리지 말자고 힘주어 주장한다.<ref>김용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2&aid=0001998042 오만하고 돈 밝히던 작가, '민주주의'에 눈 뜨다!]. 프레시안. 2014년 3월 4일.</ref>
 
== 줄거리 ==
줄 25 ⟶ 27:
페페르코른은 커피 재배업자로 동양과 서양을 동시에 대표하고 있는 인물이다. 요양원을 떠났던 쇼샤와 함께 요양원에 하였다. 건강과 삶을 긍정하는 디오니소스적 인물로서, 제템브리니와 나프타를 왜소하게 만들고 쇼샤의 위험성을 줄여주며 카스토르프를 강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을 한다.
 
요아힘 침센은 병이 완쾌되지도 않았는데, 요양원 생활에 지친 나머지 하산해 다시 군대로 돌아간다. 사촌형제를사촌 형제를 떠나보내고 혼자가 된 카스토르프는 요양원 생활의 단조로움과 무기력함을 부끄럽게 생각해 스키를 배울 결심을 한다. 몇 차례의 연습을 통해 스키를 탈 수 있게 되고 그러다 어느 하루 스키를 타고 흰 눈이 덮인 아름다운 계곡을 따라가다가 길을 잃고 눈보라에 갇혀버리게 된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카스토르프는 꿈을 꾸는데, 시간을 잊어버리고 몽환의 상태에서 어떤 경계 지역에 도착한다. 그곳은 삶과 죽음, 각성과 꿈, 문화와 자연, 시간성과 비시간성 사이의 중간 지점이다. 시간을 잊어버린다는 것은 눈으로 뒤덮인 요양원의 세계, 지향점을 찾는 카스토르프가 겪는 혼란, 형식들의 해체, 삶과 죽음의 근접성, 지속적으로 해체되는 인간의 존재 형식을 나타내는 표지로서의 시간 개념의 상실이다.
 
카스토르프는 병과 죽음이 지배하는 요양원에서 하산하고 현실적 삶으로 방향을 돌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다.
 
== 각주 ==
<references/>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