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힌골 전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
 
'''할힌골 전투'''({{llang|mn|Халхын голын байлдаан}}, {{llang|ru|бои на реке Халхин-Гол}}, {{llang|ja|ノモンハン事件|노몬한 지켄}}, {{llang|en|Battles of Khalkhin Gol}}, [[한국]]에서는 일본의 영향으로 '''노몬한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는 [[1939년]] 5월부터 8월까지 [[몽골]]과 [[만주국]]의 국경 지대인 [[할힌골할하 강]] 유역에서 [[소련군]]과 [[몽골]]군과 [[일본 제국]]의 [[관동군]], [[만주국군]]의 전투를 말한다.
 
당시 만주는 [[일본 관동군]]이 장악하고 있었는데, 노몬한 부근은 국경선이 확실치 않아 잦은 분쟁이 일어났다. 1939년 5월 11일 몽골군 기병 70-90명이 할힌골할하 강(江)을 건너오자 일본군은 이를 불법월경불법 월경(不法 越境)으로 간주하여 할힌골 전투가 일어나게 된 것이다. 이 전투에서 일본군은 소련군에게 참패하여 소련이 요구하는 대로 [[할힌골할하 강]]을 경계로 만주국과 몽골의 국경선이 확정되었다. 또한 양국은 [[소련-일본 불가침 조약]]을 맺게 되었고,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독일이 소련의 극동을 공격해 달라는 요청을 계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끝까지 소련과 맺은 조약을 지킨 것도 바로 이 전투의 패배의 영향이 컸다.
 
== 제1차 할힌골 전투 ==
50번째 줄:
이와 같은 급습을 당한 소련은 보복전을 준비하였다. 당시 소련의 외무인민위원이었던 [[몰로토프]]는 앞으로 전개될 보복전이 단순히 톰스크 기지의 피해를 앙갚은 하는 것을 넘어 만주와 몽고의 국경을 정함에 있어서 소련의 우위를 점하는 것에 목표를 두어야한다고 역설을 하였다. [[몰로토프]]의 주장에 대해서 [[스탈린]]은 옳다고 생각하여 [[벨라루스]] 관할군 부사령관이었던 [[게오르기 주코프]]를 할힌골 전투의 총지휘관으로 임명하였다.
 
[[파일:MNRA soldiers 1939.jpg|right|thumb|200px|할힌골할하 강 서안에서 일본군의 반격에 맞서 싸우고 있는 몽골군]]
이에 맞서 관동군 내에서도 정예라 불리는 제 7사단을 투입했다. 이로써 일본군은 돌이킬 수 없는 수렁에 빠지기 시작하였다.
 
61번째 줄:
7월 2-3일에 80대의 전차와 100문이 넘는 대포로 일본군 10,000여 명이 공격해 왔으나 446대의 전차와 장갑차를 장비하고 있던 소련군에게 대패했다. 일본군은 악착같이 맞서 싸우기는 했으나 결국 수천여 명의 사상자를 낸 채 4-5일에 걸쳐 일방적으로 패주했다. 일본군 전사자들 갸운데는 익사자도 적지 않았다. 소련군도 수천여 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파일:Soviet tanks cross Khalkhin Gol river 1939.jpg|thumb|left|250px|할힌골할하 강을 도하 중인 소련군 전차]]
일본군의 공세가 소진되기를 기다린 주코프는 현대화된 기갑 전력을 이용하여 8월 20일 대규모의 포병력과 차량화 보병을 이용한 화력지원을 하고 폭격기와 전투기를 동원한 공중지원과 함께 기갑전력(3개 기갑여단, 2개 기계화여단)과 보병을 포함한 50,000여 명의 대병력으로 하여금 강을 도하하게 하는 대담한 기동 작전을 감행했다.
 
78번째 줄:
 
==== 전투의 의의 ====
이 전투에서 근대화된 소련군의 기갑 전력에 “총검 백병주의”를 앞세우던 관동군은 참패하여 소련이 요구하는 대로 [[할힌골할하 강]]을 경계로 만주국과 몽골의 국경선이 확정되었다. 이 전투 이후 그 동안 계속되었던 소련-일본 국경 분쟁은, 이로써 결국 끝을 맺었다. 소련은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이 전투가 끝난 직후인 9월 1일에 개시되었던 탓에 동쪽에 신경 쓸 여유가 없었다. 소련은 9월 17일 폴란드 동부 국경을 대대적으로 침공한다.
 
[[파일:Khalkhin Gol Captured Japanese guns 1939.jpg|thumb|left|250px|소련군에 노획된 일본군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