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3,532
번
(→2015년) |
(→팟캐스트) |
||
약 2년 후인 2013년 3월 25일에 옹달샘은 《옹달샘과 꿈꾸는 라디오》를 팟캐스트로 새롭게 시작한다는 예고편을 공개했다. 29일에는 유세윤이 자신의 트위터에 옹꾸라를 다시 시작한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출판사=마이데일리|제목=유세윤·장동민·유상무 DJ '옹꾸라' 팟캐스트로 '부활'|저자=이승길|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17&aid=0002320209|작성일자=2013-03-29}}</ref><ref>{{뉴스 인용|출판사=매일신문|제목=옹달샘 옹꾸라 부활 팟캐스트로... “유세윤+장동민+유상무 음성파일 공개!”|저자=뉴미디어부|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285948|작성일자=2013-03-29}}</ref><ref>{{뉴스 인용|출판사=뉴스1|제목=유세윤 "옹달샘의 꿈꾸는 라디오 방송 재개"|저자=유기림|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421&aid=0000226139|작성일자=2013-03-29}}</ref> 초기 방송은 MBC 《옹달샘과 꿈꾸는 라디오》, 《[[친한친구|유세윤과 뮤지의 친한친구]]》에서 호흡을 맞추기도 했던 공지원 작가가 구성을 맡았고, 연출은 [[뮤지]]가 맡았다. 2013년 5월 29일에는 유세윤에게 일련의 사건이 생겨 모든 방송에서 하차하게 되면서,<ref>{{뉴스 인용|출판사=TV리포트|제목=유세윤, 심경고백 "스트레스 쌓여 충동적 행동…죄송"|저자=손효정|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333906|작성일자=2013-05-31}}</ref> 옹꾸라 방송도 5월 31일 〈9회〉를 끝으로 잠정 중단됐다가 9월 4일 〈10회〉부터 재개되었다. 이 후에는 뮤지가 개인사정 등의 이유로 편집 작업을 못하게 되자 17회 방송분부터는 공지원 작가가 그를 대신하여 작업을 하고 있다. 진행은 옹달샘이 매주 한 가지 주제를 정하고, 청취자들은 그에 맞는 사연이나 전 회차의 방송 후기 등을 메일로 보내면 옹달샘이 이를 소개하고 상담을 하거나 의견을 나누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방송분의 형태로는 녹음 스튜디오에서 진행한 녹음분이 대부분이지만 모 처에 있는 음악학원에서 진행하는 청취자와의 공개방송이 진행된 회차에서는 현장 녹음분이 업로드 된다.
2014년 4월 16일 39회차 방송에서 유세윤은 청취자였던 J군이 옹꾸라의 조연출로 기용되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일주일 후인 4월 23일의 안내방송에서는 [[세월호 침몰 사고]]의 여파로 당분간 옹꾸라 방송을 휴식한다는 내용을 전했으며, 5월 16일의 두 번째 안내방송에서는 옹꾸라 방송이 공개 코미디(《[[개그콘서트]]》, 《[[코미디빅리그]]》 류의 방송) 프로그램들이 다시 시작하는 시점에 재개한다고 전했고, 다음달인 6월 4일에 업로드 된 40회로 옹꾸라 방송이 재개되었다.
2015년 3월, 방송을 재개하여 공개방송을 한 회 업로드하고 옹꾸라 시즌2의 첫방송도 시작되었다.
== 회차 정보 ==
|